페이지는 e-book 기준
매일 독서
D-29

혜초모임지기의 말

혜초
“ 확실히 가장 가난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모든 것을 하는, 낡은 코트 차림의 이 단순하고 걱정 없는 남자는 자기 땅을 순시하는 지주처럼 여유롭고 다정하게 동네 곳곳을 돌아다녔다. 그는 누구의 집에든 들어갈 수 있었고, 어떤 자리에든 앉을 수 있었으며, 오직 최소한의 것만 원했기에 그에게는 모든 것이 허락되었다. 나는 안톤이 가진 힘의 비밀을 곧바로 이해했다. 돈이 아니라 사람을 위해 일했기에 모두가 그를 존경했다. <걱정 없이 사는 기술> ”
『어두울 때에야 보이는 것들이 있습니다 - 슈테판 츠바이크의 마지막 수업』 p.23,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배명자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혜초
“ 때때로 사소하고 어리석은 돈 걱정이 들 때면, 나는 당장 단 하루에 필요한 것 이상을 원하지 않아 늘 여유롭고 태평하게 살 수 있는 이 남자를 떠올린다. 허름한 옷차림의 그를 여러 차례 보았다. 그는 늘 한결같이 쾌활하고 태평했다. 그럴 때마다 나는 생각했다. 모든 사람이 이런 상호 신뢰의 비결을 배운다면, 경찰도 법원도 교도소도 돈도 필요 없을 거라고. <걱정 없이 사는 기술> ”
『어두울 때에야 보이는 것들이 있습니다 - 슈테판 츠바이크의 마지막 수업』 p.30,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배명자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혜초
“ 그 중요한 순간에 그를 저버리고 만 것은 공감 부족이나 무관심, 못된 의도가 아니었다. 가장 필 요할 때 올바른 말을 못 하게 막는 것은 많은 경우 용기 부족인 것 같다. 패배나 굴욕의 수치심으로 영혼을 다친 사람에게 다가가는 일이 절대 쉽지 않음을 잘 알지만, 이때의 경험을 통해 나는 누군가를 돕고 싶은 첫 번째 충동에 주저 없이 순종해야 한다는 사실을 배웠다. 공감의 말과 행위는 도움이 가장 절실한 순간에만 참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필요한 건 오직 용기 뿐> ”
『어두울 때에야 보이는 것들이 있습니다 - 슈테판 츠바이크의 마지막 수업』 p.40~41,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배명자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혜초
“ 우리는 비록 돈에 실패앴지만, 삶의 용기와 기쁨을 잃지는 않았다. 오히려 돈의 가치가 떨어질수록 삶의 오랜 가치(일, 사랑, 우정, 예술, 자연 등)가 더욱 중요해졌다. ... 돈을 믿지 못하게 되면서 사람들은 여전히 신뢰할 수 있는 것들의 진수를 깨달았다. 그리고 그것의 가치를 보존하고 수호하기 위해 더욱 노력했다. <나에게 돈이란> ”
『어두울 때에야 보이는 것들이 있습니다 - 슈테판 츠바이크의 마지막 수업』 p.51~52,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배명자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혜초
그날의 경험을 통해 나는 지울 수 없는 교훈을 배웠다. 우리의 진정한 안전은 가진 재산에 있지 않고, 우리가 누구고 어떤 사람이 되느냐에 달렸다. <나에게 돈이란>
『어두울 때에야 보이는 것들이 있습니다 - 슈테판 츠바이크의 마지막 수업』 p.53~54,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배명자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혜초
“ 이 시대의 우리는 쏟아지는 이 모든 사건을 매일, 매시간 주의를 기울여 따라갈 여력과 참여의식을 충분히 가졌을까? 솔직하게 자문해 본다면, 우리 중 누구도 이렇게 끊임없이 닥치는 높은 긴장에 대처할 여력이 없고, 우리는 그저 이따금 좌절과 절망의 눈으로 사건을 바라볼 뿐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이 시대의 대다수는 역사가 아니라 언제나 오직 자신의 삶을 산다. <센강의 낚시꾼> ”
『어두울 때에야 보이는 것들이 있습니다 - 슈테판 츠바이크의 마지막 수업』 p.62~63,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배명자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혜초
“ 세계의 극이 길어질수록 장면은 점점더 끔찍해지고, 사건이 자극적일수록 그것을 진심으로 연민하는 능력이 더욱 줄어든다. 전쟁에 대한 끊임없는 생각은 마음을 파괴하고, 시대가 우리에게 연민을 더 많이 요구할수록, 우리의 지친 영혼이 느낄 수 있는 연민은 더 줄어든다. ... 우리의 심장은 너무 작아서 일정량 이상의 불행을 감당하지 못한다. 공감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런 '역사적 시대'에 너무 많은 일이 벌어지기 때문이고, 우리의 마음이 당장 벌어지고 있는 일에서 잠시 떠나 아무런 감정도 일지 않는다면, 이는 그것을 감당할 힘이 부족하기 때문이지 선한 의지가 없어서가 아니다. <센 강의 낚시꾼> ”
『어두울 때에야 보이는 것들이 있습니다 - 슈테판 츠바이크의 마지막 수업』 p.66~67,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배명자 옮김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