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 개인에 대한 드라마보다 이런 측면을 저널리스트라면 더 다뤘어야하지않나 싶습니다. 포는 드라마로 치면 매력적인 캐릭터죠. 저자가 이런 드라마? 스러운 쪽에 치중하고, 제도적, 윤리적 측면같은 건조하고 추상적인 측면은 잘 안다룬 것 같습니다.
또. 의료진이나 법조인 못지않게, 어쩌면 그 이상으로 비중있게 대변도어야할 쪽은 환자와 유가족이라 보거든요. 이들은 전문 지식도, 조직(포는 의사단체, 이해관계를 같이하는 병원 업체측)도 없는 약자들입니다.
[벽돌책 챌린지] 2. 재난, 그 이후
D-29
브라이트박가
장맥주
한국 기자들은 ‘야마’라는 표현을 많 이 씁니다. 언론사 입사하자마자 배우는 용어이고 기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개념인데 일본어에서 왔다며 우리말로 순화시키자고 하지만 몇십 년째 못 그러고 있습니다. 그만큼 다른 단어로 대체하기 어려운 독특한 개념이라고 봅니다. 프레임, 첫 문장, 관점, 논조, 헤드라인... 글쎄요. 전하려는 메시지를 선명하게 한 가지로 뽑고, 팩트를 그 메시지에 따라 구성하고, 그 구성과 결이 다른 팩트는 취하지 않거나 뒤로 빼는 취재방법론입니다. 수집한 팩트를 바탕으로 두괄식으로 정연하게 글을 쓰려면 이렇게 해야 합니다.
장맥주
미국 기자들이 야마라는 말을 쓰지는 않겠지만, 셰리 핑크가 이 책에서 잡은 야마는 두 가지입니다. 안락사, 그리고 정의. 허리케인 카트리나와 메모리얼 병원의 참극을 두고 방재 시스템 붕괴, 혹은 재난 피해와 계급 문제를 야마로 뽑을 수도 있었겠지만 그러지는 않았습니다. 저자는 자신이 고른 야마에 맞는 주연 캐릭터들을 골랐고, 환자가 아닌 의료진과 수사관이라는 두 그룹에 초점을 두게 되었다고 봅니다.
장맥주
왜 이 사건을 두고 그 두 야마를 골랐느냐고 비판할 수는 있을 것 같아요. 하지만 저는 전직 기자 겸 현직 작가로서 모든 주제를 다 다루는 것보다는 최대 두 가지 주제에 집중하는 편이 르포르타주로서 완성도는 더 높아지는 길이었다고 옹호해 보렵니다. ^^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