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독서
매일 독서
D-29

혜초모임지기의 말

혜초
“ 허무의 시대를 배경으로 해서 철학이 탄생했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 탄생 설화가 지중해세계에서의 '철학'이라는 담론을 오랫동안 특징지어왔기 때문이다. 허무하다는 것은 참된 것, 영원한 것, 필연적인 것, 보편적인 것이란 그 어디에도 없다는 것을 뜻한다. 달리 말해, 우리가 삶에서 기댈 수 있는 것, 의지해서 살아갈 수 있는 것, 우리의 삶을 근거 지어주는 것, 그런 것(들)은 없다는 것이다. 이런 느낌, 이런 직관, 이런 분위기에서 사유가 탄생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
『세계철학사 1 - 지중해세계의 철학』 p.45, 이정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만일 밀레토스학파가 '질료'라는 것을 논했다면, 그때의 질료란 물질, 생명, 정신을 모두 포괄하는 무엇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밀레토스학파가 질료 중심의 사유를 했다는 것은 이미 사유의 역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준까지 진행되었다는 것을 전제했을 때 성립하는 이야기이다. 철학의 모든 개념들은 그 개념들이 성립한 시대, 지역, 철학자, 텍스트를 신중하게 고려해서 이해해야 한다. ”
『세계철학사 1 - 지중해세계의 철학』 p.58, 이정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이렇게 자연철학의 등장, 아르케 탐구라는 행위의 등장에는 현상을 넘어 실재를, 다자를 넘어 일자를, 시간과 변화를 넘어 영원한 것을, 결국 동일성을 찾으려는 시도가 함축되어 있다. 이 세 가지 존재론적 함의 외에도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인식론적 함의가 있다. 아르케를 찾는다는 것은 "우리에게 나타난(for us)" 존재들이 아니라 "그 자체에 있어서의(in itself)" 사물들을 찾는 것이다. ... 이것은 곧 감성에 대한 이성의 우위를 선언하는 것이다. ”
『세계철학사 1 - 지중해세계의 철학』 p.62, 이정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