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습지 않고 큰 재미 주셨어요. ^^ 크나큰 애정의 산물이라 생각합니다. 남극은 가 본 적도 없고, 매체로 본 적도 거의 없고, 읽은 적도 없어 잘 모르지만 기대하겠습니다~! (남극의 셰프는 봤네요. ㅎㅎㅎ)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D-29

siouxsie

YG
오늘 읽을 분량에 나오는, 저자가 아직 완공이 안 되어서 아쉬움을 표하는 '스퀘어 킬로미터 어레이(SKA, Square Kilometre Array) 프로젝트에는 한국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이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동영상이에요. 지금도 오스트레일리아와 남아공에서 건설 중이랍니다.
https://ska.kasi.re.kr/ska-%EC%86%8C%EA%B0%9C/ska%EB%A5%BC-%EC%86%8C%EA%B0%9C%ED%95%A9%EB%8B%88%EB%8B%A4

오뉴
“ 산등성이를 넘어 돌아오는 동안, 예전에 내가 내 문화의 존경스러운 측면들을—예컨대 우리가 지닌 관대함의 역량, 긴급한 상황에 기꺼이 대처하고자 하는 의지를—식민지 침략의 잔혹한 기세를 경험한 문화에 속한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은 충동에 얼마나 자주 저항했었는지 떠올렸다. 그런 상황에 처한 사람들에게 줄 수 있는 유일하게 올바른 선물은 그들의 말을 듣는 것, 주의를 기울이는 것임을 나는 알고 있었다. 대체로 그런 상황에서 무언가를 말하고 싶은 충동에 굴복하는 것은 그저 자기 탐닉적이거나 이기적이기만 한 일이었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뉴
“ 앞에서 말했듯이 스크랠링섬에서 보낸 몇 주 동안 내 관심을 가장 사로잡은 것은 툴레인과 그 선조들의 생활 방식이었고, 무엇보다도 그들이 역사적으로 인류가 거의 거주한 적 없던 지리적으로 가장 바깥 자리에 살았다는 충격적인 사실, 그리고 추위와 어둠, 서 로 멀리 흩어져 있는 식량의 원천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이곳에서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재료들과 아이디어들을 발견하거나 발명했다는 사실이었다. 그들이 무엇을 믿었으며, 어떤 심상들이 그들의 꿈을 지배했는지, 그 공동체 원로들의 생각에서 사랑과 아름다움과 관용은 어떤 자리를 차지했는지는 고고학이 밝혀낼 수 없는 질문들이다. 하지만 그들의 후손인 이누이트와 이누구이트와 대화를 나누거나, 내가 속한 문화만큼 툴레의 세계와 철저하게 분리되지는 않은 다른 문화권의 연장자들과 대화를 나눠보면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지도 모른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뉴
“ 내가 만난 여러 문화의 공식적인 원로들—어떤 것이 통하고 어떤 것이 통하지 않는지에 관한 지혜의 역사를 품고 있는 이들—은 모두 자기네 문화 안에서 자신들만의 은유와 신화에서 벗어나 사고하고 행동할 수 있는 소수였고, 동시에 역사가 자신들에게 강요하는 행동 방식들에도 주의를 기울이는 소수였다. 그들은 자신에게 부과된 세계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선택할 자유의 차이를 아는 이들이다. 그 어른들을 착잡하게 하는 것은 그들에게 부과된 세계의 유혹적 매력, 그러니까 물질적 평안과 부의 매력, 모든 욕구를 만족시켜주겠다는 광고주의 약속이다. 그들은 이 모든 것이 부패를 초래할 수 있다고 여기며, 거기에 저항은커녕 의문도 제기하지 않고 굴복하는 것은 죽고자 하는 열망이라고 여긴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고인류학 분야, 특히 사람속의 기원에 관한 이러저러한 학설에 이해관계가 걸려 있는 사람들 사이에는 남다른 수준의 의심과 질투가 오고간다는 특징이 있다. 고인류학에 몸담은 사람들은 경계심과 소유욕이 강한 경우가 많으며, 발표되지 않은 데이터와 아직 과학 문헌에서 완전히 설명된 적 없는 화석을 둘러싸고는 특히 더 그렇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이 대목 관련 책 한권 추천합니다. ^^

화석맨 - 인류의 기원을 추적하는 고인류학자들의 끝없는 모험‘루시’보다 100만 년 앞선 인류 화석 ‘아르디’를 발견한 과학자들의 모험과 경쟁에 관한 휴먼 드라마, 인류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생생하고 철저한 기록을 담은 책이다.
책장 바로가기

YG
@새벽서가 아, 제가 3월에 같이 읽어보려고 마음먹고 있는 책은 국내 저자 권보드래 선생님의 『3월 1일의 밤: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돌베개, 2019)입니다.
3.1 운동 100주년이 되는 2019년 3월 1일에 나왔던 책인데, 저자의 노고나 책의 가치에 비해서 주목을 받지 못했어요. 그런데, 저는 아주 좋게 읽었고 몇 차례 권하기도 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잊었습니다. 이번에 알라딘 서점에서 21세기의 첫 25년의 책을 선정하는 추천 도서 목록에서 다시 이 책의 이름을 발견하고 나서(저도 아는 지인 경제학자 김두얼 선생님이 추천하셨어요!) 아, 더 늦기 전에 벽돌 책 함께 읽기에서 같이 읽자고 권해야겠다고 생각했답니다.
지금, 새삼 3.1 운동? 이런 생각을 하시는 분이라면 사실 3.1 운동에 대해서 아무 것도 모르고 있었다고 감히 말씀을 드립니다.
이 책은 실제로 1919년 3월 1일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때 만세를 불렀던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면서 또 어떤 욕망과 비전을 가지고 만세를 불렀는지, 3.1 운동이 일어나기까지 1910년대 한반도에서는 또 전 세계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에 계속해서 고양된 유토피아를 향한 열망과 전 세계적 열정은 3.1 운동과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 그런 열망과 열정은 과연 세계를 좋게 만들 토양이었는지 아니면 그 역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는지, 3월 1일에 만세를 불렀던 사람들이 안고 있던 1,000개의 욕망은 이후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또 보편적으로 전개되어 때로는 성공하고 때로는 좌절하고 때로는 배신하고 배신당했는지 등.
국문학도가 더듬거리면서 쓴 역사 책이기도 하고, 제대로 된 문학사 책이자 문화사 책이기도 하고, 한 편의 긴 역사 에세이 같기도 한 독특한 작품이에요. 전체 647쪽으로 @장맥주 작가님 기준 벽돌 책 기준(700쪽)에는 못 미치지만 내용의 밀도만 놓고 보면 벽돌 책 맞고요. 읽다 보면, 과거 함께 읽었던 한반도 바깥의 20세기 초반에 살았던 벽돌 책에서 마주쳤던 사람들이 수시로 등장하고, 또 1월과 2월에 읽었던 책과도 묘하게 겹치는 재미도 느낄 수 있답니다.
그래서 3월에는 106년 전의 한반도와 세계로 떠나보려고 합니다. 흥미롭게도 한 인터넷 서점의 후기를 보면 "장엄하고 아름답다"와 "3.1 운동의 정신을 훼손시킨 책"이라는 상반된 반응이 있어요. 저는 이런 상반된 반응, 너무 좋고 후자의 댓글을 단 분의 의도와는 다르게 이 책이 더욱더 매력적으로 보였답니다. :) (후자의 감상을 남기시며 별점 테러하신 분께는 죄송합니다만.)
이번 주말쯤에 다음 3월 모임 모집 시작하려고 합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문학과 역사를 넘나들며 근대를 보는 지평을 넓혀 온 고려대 국어국문과 권보드래 교수가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 그간의 연구와 기록을 한 권에 담았다. 1910년대 전 세계로 무대를 넓히고 당시의 신문 및 잡지, 재판기록, 문학작품, 국내외 선학자들의 연구와 시각자료 등을 재료 삼아 1919년 3월 1일의 한반도를 복원한다.
책장 바로가기

장맥주
권보드래 선생님 저 아주 좋아합니다. 책도 흥미롭습니다. 700쪽은 안 되지만... 그런데 저도 ‘3.1 운동의 정신을 훼손시킨 책’이라는 악평 때문에 더 관심이 가네요. ^^

YG
@장맥주 저도 그 훼손하는 대열에 동참하고 싶습니다. 하하하!

장맥주
경악... 중견 언론인 "3.1 운동 정신 훼손하는데 동참하고 싶다" 발언...

YG
@장맥주 "경악" 다음에 느낌표! 붙이셔야죠. :)

borumis
오오 저도 실은 이거 알라딘 21세기 최고의 책 중 하나로 꼽히고 돌베개 책인데 전자책이 없어서 고민하던 책인데 알라딘 100자평을 보고 결국 땡겨서 알라딘중고서점에서 구매했습니다. ㅋ

YG
@장맥주 "700쪽 기준"에서 망설였습니다. 아, 작가님 영향 받아서 자기 검열합니다. ㅋ.

dobedo
안 그래도 다음 책 소개 올라올 때가 됐는데... 이제 좀 알려 달라고 졸라야 되나 생각하고 있었어요. 신간일 줄 알았는데 전혀 예상 못한 책이네요! 역사맹인 저한테는 도전이 될 것 같지만, 언제나처럼 덥석 덤비고 싶게 만드는 마법의 책 소개에 설득당했습니다.

새벽서가
저 돌베개 출판사의 책들 너무 좋아해요. 3월을 맞아 읽고 싶으나 전자책이 없는 관계로 저는 4월의 벽돌책으로 뵙겠습니다. 아직 아프리카에 머물러 있어서 주말에나 오세아니아로 넘어갈 수 있을거 같아요~

YG
@새벽서가 앗, 나온 지 꽤 되어서 당연히 전자책이 있을 줄 알았는데. 전자책이 없네요!!!

새벽서가
네에. ㅠㅠ
그러믄요
전자책 없어요. 저도 아쉽게 3월 책은 힘들 것 같네요. 종이책은 주문하면 오래 걸리거든요

새벽서가
저도요. 종이책은 기본 2-3주는 걸려 오더라구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