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논개잎갈나무, 궁금해서 찾아보았는데, 제눈에는 그냥 소나무 ㅠㅠ 네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D-29

오구오구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새벽서가
오구오구님의 대화: 레바논개잎갈나무, 궁금해서 찾아보았는데, 제눈에는 그냥 소나무 ㅠㅠ 네요
제 눈에도요. ㅎㅎ
저만 그런게 아니라니 묘하게 안심이(?) 됩니다. 대학에 있는 큰애 전공이 natural resource management 이에요. 이전 학기에 Dendrology and Herbaceous Plant ID 수업 듣는다던데, 사진 보여주고 뭐라고 하는지 보려고요. ㅋㅋㅋ

오구오구
새벽서가님의 대화: 제 눈에도요. ㅎㅎ
저만 그런게 아니라니 묘하게 안심이(?) 됩니다. 대학에 있는 큰애 전공이 natural resource management 이에요. 이전 학기에 Dendrology and Herbaceous Plant ID 수업 듣는다던데, 사진 보여주고 뭐라고 하는지 보려고요. ㅋㅋㅋ
와, 자녀분이 중요한 전공을 하네요. 미국에 있을때 제 친구가 forest engineering??? 뭐 이런거 박사했었는데, 제가 너무 무식해서 그게 뭐하는거냐고 물어보니 나무 유전자 조합? 이런거 한다고 간단히 이야기해주었던 기억이 있어요. Dendrology and Herbaceous Plant 제목부터 진입장벽이 느껴지네요 ㅎ

오구오구
“ 내 경험상 이렇게 해변에 있을 때든 바다 한가운데 있을 때든, 바닷물을 꼼꼼히 살펴보는—이따금 보이는 새나 수면 위로 올라오는 고래를 관찰하고, 수면에서 노니는 빛의 움직임을 바라보는—시간은 다른 어디서도 쉽게 느낄 수 없는 또 다른 종류의 시간, 광활하고 균질적인 공간의 부피를 가득 채우는 시간을 인식하게 한다. 그런 날에는 아무 생각 없어 보이는 이런 집중적 관찰이 오히려 일상적 경험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
『호라이즌』 13%,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이 상황들을 바라보는 그 다른 방식이란 것이 무엇인지는 나도 분명히 말할 수 없다. 햇빛을 받는 대양이라는 거대한 돔 같은 공간이, 거의 아무런 물체도 내보이지 않아 흘러가는 시간에 대한 또 다른 감각을 제공하는 이 공간이, 어떻게 흔해 빠진 인간의 결함을 덜 영구적이고 덜 위협적인 것으로 보이게 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인지 말이다. 하지만 이 광경을 보고 있을 때면 나는 늘 우리에게 무언가 묘책이 남아 있을 거라고 느낀다.
”
『호라이즌』 13%,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오구오구
오구오구님의 문장 수집: "이 상황들을 바라보는 그 다른 방식이란 것이 무엇인지는 나도 분명히 말할 수 없다. 햇빛을 받는 대양이라는 거대한 돔 같은 공간이, 거의 아무런 물체도 내보이지 않아 흘러가는 시간에 대한 또 다른 감각을 제공하는 이 공간이, 어떻게 흔해 빠진 인간의 결함을 덜 영구적이고 덜 위협적인 것으로 보이게 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인지 말이다. 하지만 이 광경을 보고 있을 때면 나는 늘 우리에게 무언가 묘책이 남아 있을 거라고 느낀다.
"
"아무런 물체도 내보이지 않아 흘러가는 시간에 대한 또 다른 감각을 제공하는 공간" 이라는 표현이 멋지네요.
제가 이전에도 표현한 적이 있는것 같은데, 저는 깊은 산속에 들어갔을때 받는 단절 의 느낌이 너무 좋아요. 세상과 격리되는 느낌이요. 바다를 가만히 바라보는 느낌과 제가 정상에 앉아서 바람맞으며 커피마시며 하늘과 땅의 경계를 바라보는 느낌, 그리고 흘러가는 구름을 바라보는 느낌이, 저자가 이야기한 흘러가는 시간에 대한 또다른 감각이라는 표현과 뭔가 비슷한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밥심
오구오구님의 대화: 등산 애호가로 우리나라 100대명산 완주한 1인임을 여기에서 자랑하고 싶어지네요 ㅎㅎㅎㅎ
블랙야크에서 하는 강원 20챌린지 (매년 5월에서 10월까지, 강원도 산 20개 인증하는것)도 2년 연속했고 ㅎㅎ 주말이면 남편이랑 미친듯이 강원도, 지방으로 산타러 다닙니다 ~ 요즘은 날도 그렇고 조금 시큰둥 해졌지만요...
전 등산 애호가는 아니지만 이제 체력이 떨어져 오르고 싶은 산이 있어도 오르지 못한다는 사실이 몹시 아쉽습니다. 20대 때 설악산 대청봉에 올라 천불동 계곡 쪽을 바라보면서 이런 풍경을 못 보고 죽는 사람은 정말 억울하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다시 보고 싶어도 이제 오를 수가 없어서, 환경 문제 잘 고려해서 케이블카든 곤돌라든 설치해주었으면 하는 바램까지 생기더라니까요. 그런 면에서 알프스 고봉에까지 산악열차와 곤돌라를 설치해서 노인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도 자연의 숭고미를 느낄 수 있게 한 스위스가 부럽기도 합니다. 오를실 수 있을 때 등산 마음껏 즐기시기 바래요.

Nana
dobedo님의 대화: 저는 '산떡쑥' 같은 정감 가는 우리말 이름들을 좋아해요. 의학계, 문화계, 산업계 등에서 쓰는 전문 용어들은 대부분 외래어 그대로 쓰거나 일본식 한자어라 첨 들으면 낯설고 직관적으로 뜻을 파악하기도 힘든데, 식물이나 동물들의 속명은 (아마도 학자들이) 쉽고 예쁘고 직관적으로 번역해줘서 좋더라고요. 입에도 잘 붙고요. '푸른발부비새'나 '붉은머리오목눈이'처럼요. 근데 산떡쑥은 좀 모양을 짐작하기는 힘들긴 하네요. ^^
푸른발부비새 너무 귀엽잖아요!!! 세상에 ㅎㅎㅎ

Nana
그러믄요님의 대화: 미국은 모순이 많은 나라인 것 같아요. 종종 “너나 잘하세요” 하고 싶게하죠. 그나마 이 작가나 수잔 손택 같은 사람들이라도 있어서 불편한 진실을 인정하고 양심적인 성찰을 한다는 건 (좀 아니꼽게 보일 수 있으나)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네 맞아요. 읽다보면 끊임없이 자신의 글이 너무 서구중심적 사고에서 나온 이야기일까봐 고심한 흔적들이 보입니다.
그래서 참 좋네요.

새벽서가
오구오구님의 대화: 와, 자녀분이 중요한 전공을 하네요. 미국에 있을때 제 친구가 forest engineering??? 뭐 이런거 박사했었는데, 제가 너무 무식해서 그게 뭐하는거냐고 물어보니 나무 유전자 조합? 이런거 한다고 간단히 이야기해주었던 기억이 있어요. Dendrology and Herbaceous Plant 제목부터 진입장벽이 느껴지네요 ㅎ
이나무 저나무, 이풀 저풀 이름이 뭔지 그런거 배우는 과목인데, 재밌다더라구요~ ^^

새벽서가
오구오구님의 대화: "아무런 물체도 내보이지 않아 흘러가는 시간에 대한 또 다른 감각을 제공하는 공간" 이라는 표현이 멋지네요.
제가 이전에도 표현한 적이 있는것 같은데, 저는 깊은 산속에 들어갔을때 받는 단절의 느낌이 너무 좋아요. 세상과 격리되는 느낌이요. 바다를 가만히 바라보는 느낌과 제가 정상에 앉아서 바람맞으며 커피마시며 하늘과 땅의 경계를 바라보는 느낌, 그리고 흘러가는 구름을 바라보는 느낌이, 저자가 이야기한 흘러가는 시간에 대한 또다른 감각이라는 표현과 뭔가 비슷한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비슷한 이유로 절에 가는걸 좋아해요. 천주교신자지만 산사에 앉아 시간이 흘러가는 걸 보고 몸으로 느낄때 제속에 차오르는 마음이 좋더라구요.

YG
새벽서가님의 대화: 목포에는 가본 적 없는데, 유달산이 동산이에요?! 😳
@새벽서가 제가 고향 떠나고 나서 서울 와서, 특히 KTX와 서해안 고속도로 때문에 목포 접근성이 용이해지고 나서, 제일 많이 듣는 놀람과 질문이 "유달산이 가보니까 동산이더라고!" 입니다. :)
동산까지는 아니고 해발 228미터인데. 노적봉 있는 곳까지는 제가 초등학교 다닐 때도 일주 도로가 나 있어서 사실 정상(일등 바위)까지 30분이면 올라가요. 그러니 산 좀 타시는 분들 입장에선 동산이죠.
서울 사시는 분들이 많이 가시는 동네(?) 산 인왕산이 300미터대, 관악산이나 청계산이 600미터대랍니다. (서대문 연세대학교 뒤에 있는 안산 정도가 200미터대.)

Nana
세바스티앙 살가두라는 분 처음 알게되었는데 훌륭하신 분이네요.
다큐멘터리 한 번 봐야겠어요. 빔 밴더스가 만들었네요!

장맥주
YG님의 대화: @새벽서가 제가 고향 떠나고 나서 서울 와서, 특히 KTX와 서해안 고속도로 때문에 목포 접근성이 용이해지고 나서, 제일 많이 듣는 놀람과 질문이 "유달산이 가보니까 동산이더라고!" 입니다. :)
동산까지는 아니고 해발 228미터인데. 노적봉 있는 곳까지는 제가 초등학교 다닐 때도 일주 도로가 나 있어서 사실 정상(일등 바위)까지 30분이면 올라가요. 그러니 산 좀 타시는 분들 입장에선 동산이죠.
서울 사시는 분들이 많이 가시는 동네(?) 산 인왕산이 300미터대, 관악산이나 청계산이 600미터대랍니다. (서대문 연세대학교 뒤에 있는 안산 정도가 200미터대.)
서울 노고산(106m), 응봉산(95.4m), 매봉산(95m), 와우산(79m), 성미산(66m) 같은 산도 있어서 딱히 유달산을 보고 ‘동산을 왜 산이라고 불러?’ 하는 기분은 들지 않았어요. 게다가 서울은 평균 고도가 있는데 유달산은 바다에서 곧장 솟은 산이니 그런 점도 감안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거꾸로 부산의 금정산(801.5m), 장산(643m)이 생각보다 높아서 깜짝 놀랐습니다.

장맥주
오구오구님의 대화: 등산 애호가로 우리나라 100대명산 완주한 1인임을 여기에서 자랑하고 싶어지네요 ㅎㅎㅎㅎ
블랙야크에서 하는 강원 20챌린지 (매년 5월에서 10월까지, 강원도 산 20개 인증하는것)도 2년 연속했고 ㅎㅎ 주말이면 남편이랑 미친듯이 강원도, 지방으로 산타러 다닙니다 ~ 요즘은 날도 그렇고 조금 시큰둥 해졌지만요...
와... 대단하십니다! 정말 멋지십니다.

YG
장맥주님의 대화: 서울 노고산(106m), 응봉산(95.4m), 매봉산(95m), 와우산(79m), 성미산(66m) 같은 산도 있어서 딱히 유달산을 보고 ‘동산을 왜 산이라고 불러?’ 하는 기분은 들지 않았어요. 게다가 서울은 평균 고도가 있는데 유달산은 바다에서 곧장 솟은 산이니 그런 점도 감안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거꾸로 부산의 금정산(801.5m), 장산(643m)이 생각보다 높아서 깜짝 놀랐습니다.
아, 그런 진짜 동네 산들도 있었네요. :) 아마 유달산이 지역의 산 중에서는 꽤 유명한 편이어서 더 그렇게 느끼시나 봅니다. (이난영 씨의 '목포의 눈물' 때문일까요?) 그나저나, 금정산 정말 좋죠! :)
밥심
YG님의 대화: @새벽서가 제가 고향 떠나고 나서 서울 와서, 특히 KTX와 서해안 고속도로 때문에 목포 접근성이 용이해지고 나서, 제일 많이 듣는 놀람과 질문이 "유달산이 가보니까 동산이더라고!" 입니다. :)
동산까지는 아니고 해발 228미터인데. 노적봉 있는 곳까지는 제가 초등학교 다닐 때도 일주 도로가 나 있어서 사실 정상(일등 바위)까지 30분이면 올라가요. 그러니 산 좀 타시는 분들 입장에선 동산이죠.
서울 사시는 분들이 많이 가시는 동네(?) 산 인왕산이 300미터대, 관악산이나 청계산이 600미터대랍니다. (서대문 연세대학교 뒤에 있는 안산 정도가 200미터대.)
일년에 한 두번 목포에 놀러가는데 유달산 좋아요. 바위산이라 풍광이 좋고 오르기도 쉽고요, 오르지 않고 유달산이 한 눈에 보이는 카페에서 통창을 통해 바라보며 커피 한 잔 해도 좋아요.

장맥주
새벽서가님의 대화: 저는 깊은 물에 대한 공포심이 있어요 (이건 익사할뻔한 경험이 있어서에요. 5분 가까이 제심장이 멈췄었다더라구요), 하지만 동시에 배에 대한 환상도 있어요. 그래서 세일링도 종종 하는데, 엔진이 아닌 돛단배들을 보면 그 옛날 항해를 떠나던, 모험심에 찬 당시 사람들의 모습이 떠오르는듯해서 좋아요.
뒷부분에 증기선 시대의 해상 재해 사전에 관한 이야기들을 할 때 저자가 당시에 수영할 줄 아는 사람이 드물었던 시대라고 하던데, 수영을 못하는 사람이 배를 탈 생각을 했다는게 무모하다는 생각이 든건 저만 그런가요? 수영할 줄 알아도 저는 바다가 무서운데 말이에요. ^^;
아이코... 그런 일이 있으셨군요. 저는 생존 수영만 할 줄 아는데 이게 도움이 될 날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배에 대한 낭만은 뱃멀미 몇 번에 다 사라졌네요. 책걸상 벽돌책 함께 읽기 모임에서 <메리와 메리>를 읽으면서 퍼시 셸리의 최후에 혀를 찼던 기억이 납니다. 수영도 못하면서 요트를 몰고 바다로 나가서 물에 빠져 죽다니. 왜 이리 무모한가.

YG
새벽서가님의 대화: 저자는 초창기 허블 망원경 사진에 담긴 이미지들을 이야기할 때 허드슨강 화파의 알베르트 비어슈타트를 언급하는데, 전 그의 대표작중 하나인 이 그림을 보면 어린시절의 피아노학원이 떠올라요. 그러고보니, 첫남친 군대 면회를 갔을때 갔던 시골 다방 벽에도 이 그림이 있었지 싶네요 (왜 떠오르냐고?!!) 개인적으로는 그 화파의 창시자라 불리기도하는 토마스 콜의 그림을 더 좋아합니다. 이건 The Met 에 걸려있는 콜의 작품중 하나에요.
@새벽서가 이 대목 읽고서 허블 우주 망원경 천체 사진이 색을 입힌 거였어? 하고 놀라실 분들이 있으실 텐데요. 네, 그렇다고 알고 있어요. 원래 망원경은 아주 먼 별에서 오는 빛을 포착하는 방식이라서 망원경이 찍은 처음의 결과물은 희미한 빛 무리 사진이라고 해요. 이 때문에 빛의 삼원색(RGB: 적색, 청색, 녹색) 세 파장에 민감한 필터를 끼워서 그 필터에 반응한 정도만큼 천문학자들이 색을 입힌다고 합니다. 그 과정을 통해서 나오는 화려한 우주 사진을 저자가 염두에 둔 것이죠. (그러니까, 막 근거 없이 예쁘게 꾸미고 그러는 것과는 거리가 멀어요.)
허블 우주 망원경 은퇴 후에 우주로 올린 제임스 웹(웨브) 우주 망원경 같은 경우는 더한 경우인데요. 그건 아예 우리 눈으로 보지 못하는 적외선 영역을 포착하거든요. 당연히 적외선 영역은 우리 인간의 시각으로는 볼 수 없는 영역의 빛이니, 그곳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려면 거의 예술 수준의 시각적 보정이 불가피하겠죠. (제가 천체 사진이나 해당 분야 전문가는 아니라서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YG
YG님의 대화: @새벽서가 이 대목 읽고서 허블 우주 망원경 천체 사진이 색을 입힌 거였어? 하고 놀라실 분들이 있으실 텐데요. 네, 그렇다고 알고 있어요. 원래 망원경은 아주 먼 별에서 오는 빛을 포착하는 방식이라서 망원경이 찍은 처음의 결과물은 희미한 빛 무리 사진이라고 해요. 이 때문에 빛의 삼원색(RGB: 적색, 청색, 녹색) 세 파장에 민감한 필터를 끼워서 그 필터에 반응한 정도만큼 천문학자들이 색을 입힌다고 합니다. 그 과정을 통해서 나오는 화려한 우주 사진을 저자가 염두에 둔 것이죠. (그러니까, 막 근거 없이 예쁘게 꾸미고 그러는 것과는 거리가 멀어요.)
허블 우주 망원경 은퇴 후에 우주로 올린 제임스 웹(웨브) 우주 망원경 같은 경우는 더한 경우인데요. 그건 아예 우리 눈으로 보지 못하는 적외선 영역을 포착하거든요. 당연히 적외선 영역은 우리 인간의 시각으로는 볼 수 없는 영역의 빛이니, 그곳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려면 거의 예술 수준의 시각적 보정이 불가피하겠죠. (제가 천체 사진이나 해당 분야 전문가는 아니라서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허블 우주 망원경 사진 모아 놓은 나사(NASA) 사이트입니다.
https://science.nasa.gov/gallery/hubble-images/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