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D-29
YG님의 대화: 혹시 언급한 책들 가운데 알도 레오폴드의 『모래군의 열두 달』. 읽어보지 않았어도, 어디선가 접한 낯 익은 책 아닌가요? 저도 재미있게 읽고 좋아하는 델리아 오언스의 『가재가 노래하는 곳』에서 주인공 카야가 처음 읽고 영향을 받은 책이 바로 레오폴드의 『모래군의 열두 달』입니다!
책 검색해보고 왜 제목이 귀에 익지? 했는데, 가재가 노래하는 곳때문에 그랬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
YG님의 대화: 내일 2월 5일 수요일에는 '들어가며'의 4 탤리즈먼을 읽습니다. 탤리즈먼은 저자가 세계 이곳저곳을 여행하면서 수집한, 그래서 부적(탤리즈먼)처럼 여기는 물건과 그 사연을 언급하면서 이 책에서 저자가 함께 여행하고 싶은 장소와 메시지를 얘기하는 독특한 형식의 '들어가며'입니다. (저는 그런 수집을 전혀 하지 않습니다만, 뭔가 수집을 하시는 분들은 나중에 글쓰기를 할 때 한번 따라해보길 권합니다.) 여기서 언급한 탤리즈먼은 나중에 소환되기도 하니 기억해 두셔도 좋아요! 내일 수요일까지 천천히 읽고, 모레 목요일부터는 본격적으로 하루 분량을 읽습니다!
https://portarthur.org.au/history/ 어린 죄수들이 겪었을 고통이 상상되는 곳인데, 이젠 관광객을 모으는 장소가 되어 있네요.
저도 여행하는 곳에서 작은 물건을 가져와 보관했었는데, 코로나가 시작되었던 해부터 조금씩 집을 비워내고 있어요. 여전히 취미용품, 수집품으로 가득한 집이지만 앞으로 2-30년은 꾸준히 비워내면서 내가 떠났을 때 남은 가족에게 처치곤란한 것들을 남기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가득해 시작한건데, 이번 장을 읽으면서 작가가 수집한 물건들과 그에 관련된 에피소드들을 읽으니 살짝 아쉬운 마음이 드네요. 고래잡이의 역사가 남겨진 그리트비켄, 아르헨티나 앞바다에 있는 영국의 해외영토때문에 불거졌던 말비나스 전쟁에 대해서도 생각해봤습니다.
한 해 한 해 지나며 세월이 흘렀지만, 내가 작업실에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그 옆을 지날 때 이 물건들은 나에게 여전히 통렬한 매력을 발휘하고, 침묵으로도 풍부한 이야기를 전해준다.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자기 가족에게 먹을 것을 제공한다는 것은, 그 먹을 것이 물범 고기든 자루에 든 곡식이든 아보카도 과육이든, 죽음이 생명을 공급하는 방식에 관한 불편한 질문과 다시 마주하게 되는 일이다. 여기서 행동한다는 것은 자신이 범하는 죄를 직시하는 일, 자신의 일족이 계속 생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다른 생명을 빼앗기를 선택하는 일이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Real de a ocho - 팔 레알짜리 은화입니다. ‘누에스트라세뇨라데라푸라이림피아콘셉시온‘ 은 띄어쓰기 제대로 해주셨으면 어땠을까 싶네요. Nuestra Señora de la Pura y Limpia Concepción 누에스트라 쎄뇨라 데 라 푸라 이 림피아 콘셉시온. 피나르델리오 역시 피나르 델 리오로 표기해줬으면 좋았겠다 싶네요. Pinar del Río.
The horrors—ethnic cleansing, industrial rapine, political corruption, racist lynching, extrajudicial execution—once identified and then denounced, always return, wearing different clothes but with the same obsessive face of indifference. We denounce those who order it, we condemn the people who carry out the policies, calling them inhumane. But the behavior is fully human. We are the darkness, as we are, too, the light.
호라이즌 킨들 62/689,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새벽서가님의 문장 수집: "The horrors—ethnic cleansing, industrial rapine, political corruption, racist lynching, extrajudicial execution—once identified and then denounced, always return, wearing different clothes but with the same obsessive face of indifference. We denounce those who order it, we condemn the people who carry out the policies, calling them inhumane. But the behavior is fully human. We are the darkness, as we are, too, the light."
그 끔찍한 일들—인종 청소, 산업적 약탈, 정치적 부패, 인종차별자들의 무법적 제재, 법의 테두리 밖에서 행해지는 처형—은 일단 밝혀지면 비난을 받지만, 그래 봐야 언제나 다시 일어난다고. 옷은 바꿔 입었을지 몰라도 병적인 냉담함의 표정은 그대로라고. 우리는 그런 일을 명령한 자들을 규탄하고 그 정책을 수행한 자들을 비난하며 그들을 비인간적이라 말한다. 하지만 그건 전적으로 인간다운 행동이다. 우리가 그 어둠이다. 우리가 빛이기도 하듯이.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나는 아무 의심 없던 그 순진한 남자아이를, 세상을 알고 싶고 자기 눈으로 볼 수 있는 곳보다 더 멀리 헤엄쳐 나가고 싶은 욕망에 다른 아무 생각도 할 수 없었던 그 아이를 되돌아본다. 그 아이가 바로 그렇게, 자기가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도 모르는 채 언제나 무언가를 찾으려 하며 인생을 살아가게 되리라는 걸 나는 안다. 그렇게 끊임없이 의미를 찾는 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따르는 소명이라는 것을 아이가 이해하기까지는 여러 해가 지나야 할 것이다. 혼돈을 마주할 때 때로 우리는 자신이 열심히 찾고 있는 것이 일관성이라고, 우리가 살면서 한 모든 경험의 조각들을 의미 있는 전체로 짜 맞춰주고 계속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일러줄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그런 일관성을 찾는다면 우리를 따라다니는 불안 중 일부에서나마 벗어날 거라 기대하면서.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74a685a3c94534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봄솔님의 문장 수집: "나는 아무 의심 없던 그 순진한 남자아이를, 세상을 알고 싶고 자기 눈으로 볼 수 있는 곳보다 더 멀리 헤엄쳐 나가고 싶은 욕망에 다른 아무 생각도 할 수 없었던 그 아이를 되돌아본다. 그 아이가 바로 그렇게, 자기가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도 모르는 채 언제나 무언가를 찾으려 하며 인생을 살아가게 되리라는 걸 나는 안다. 그렇게 끊임없이 의미를 찾는 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따르는 소명이라는 것을 아이가 이해하기까지는 여러 해가 지나야 할 것이다. 혼돈을 마주할 때 때로 우리는 자신이 열심히 찾고 있는 것이 일관성이라고, 우리가 살면서 한 모든 경험의 조각들을 의미 있는 전체로 짜 맞춰주고 계속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일러줄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그런 일관성을 찾는다면 우리를 따라다니는 불안 중 일부에서나마 벗어날 거라 기대하면서.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74a685a3c94534"
정말 호흡이 길긴 하네요. 헥헥... 세상을 자기 눈으로 볼 수 있는 곳보다 더 멀리 헤엄쳐 나가고 싶은 욕망이라는 표현이 좋네요. 저는 제가 보는 곳 밖으로는 안나가고 싶어하는 유형의 인간인지라.. 뭔가 제목 호라이즌도 저 문장에서 생각이 났어요. 결국 인생이라는것이 알 수 없는것을 쫒으며 가는 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인간 세계의 운명을 인간 이외 존재들의 세계와 분리하려 애쓰며 나아가던 우리는 바로 그 위협들 앞에서 별안간 멈춰 서게 되고, 비로소 생물학적 현실을 직시하게 된다. 바로 자연은 우리 없이도 잘 지내리라는 현실을.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이제 인간의 안락과 이득을 위해 자연 세계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가 아니라, 우리가 서로 어떻게 협력해야 언젠가 자연 세계 안에서 우리가 지배하는 자리가 아니라 우리에게 적합한 자리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인가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어떤 문화에 속한 이든 지혜로운 사람들이라 해도 자신의 세계관을 형성한 형이상학적 가정을 철두철미하게 이해한다는 건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또한 다른 민족들을 이끄는 설화들이 펼쳐질 때 꼼꼼히 귀 기울이는 일도, 또는 그 이야기들 속에서 축자적 의미와 비유적 의미를, 사실과 은유를 제대로 분별하는 것도 쉽지 않다. 그렇지만 어느 문화 안에서 살고 있든 우리만 옳다고 고집한다면, 따라서 우리가 보통 잘 이해하지도 못하고 그래서 그에 관해 논의할 마음도 없는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는 어느 것도 들을 필요가 없다는 생각을 고수한다면, 그것은 우리 스스로 위험 속으로 뛰어드는 일이다. 인간의 다양성을 계속 두려워한다면, 우리가 가장 두려워하는 일, 바로 우리 스스로 자신의 치명적 숙적이 될 가능성만 더욱 커질 뿐이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봄솔님의 대화: 정말 호흡이 길긴 하네요. 헥헥... 세상을 자기 눈으로 볼 수 있는 곳보다 더 멀리 헤엄쳐 나가고 싶은 욕망이라는 표현이 좋네요. 저는 제가 보는 곳 밖으로는 안나가고 싶어하는 유형의 인간인지라.. 뭔가 제목 호라이즌도 저 문장에서 생각이 났어요. 결국 인생이라는것이 알 수 없는것을 쫒으며 가는 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말씀처럼 문장들이 길죠? 그런데, 이제 익숙해지는건지 그런 긴 호흡의 문장들이 좋게 느껴지네요. 누군가 옆에서 조곤조곤 길지만 지루하지 않은 이야기를 해주는 느낌이 들어요.
사람들이 각자 떨쳐내려 기도하거나 소망하거나 노력하는 외로움의 무거운 짐은 사랑하지 못한 결과다. 사랑의 실패는 사람들이 각자 털어내려고 기도하거나 희망하거나 노력하는 인간의 무거운 외로움을 보여줄 뿐이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YG님의 대화: 이미 하시는 분들도 있을 텐데, 구글 맵의 저장 목록에다가 『호라이즌』 폴더를 만들어 놓고서 저자가 얘기하는 장소에 별표를 별표를 표시하면서 읽어도 재미있어요. 별표를 찍을 때 사진도 보여주기 때문에 풍광을 간접 경험할 수 있고요. 좀 더 다채롭게 독서하시고 싶은 분들에게 권합니다.
오, 너무 좋아요. 저는 그냥 구글맵 찍으며 읽었는데 호라이즌 폴더 만들어 봅니다 ㅎ
YG님의 대화: @연해 네, 맞습니다. 정확하게 말씀하셨어요. 우리가 함께 읽는 『호라이즌』도 미국 문학에서 Nature Writing이라는 장르의 전통을 따르는 책입니다. 『월든』이 Nature Writing의 원조 격인 책이고요. 우리나라에 번역된 Nature Writing 걸작으로 꼽히는 주요 작가의 책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5권의 책, 감사합니다~ 이 중 꼭 하나만 읽어야 한다면 ㅋㅋ 어떤 걸까요.
저자가 페르난데스베이 아래쪽에 서 있다는 콜럼버스 기념비로 헤어쳐가며 세상의 모든 불의한 것들에 분노하는 모습을 보며 저는 권정생 선생님이 떠올랐어요. 마지막까지 이땅의 고통받는 어린아이들은 어떡하냐고 걱정하셨던 모습...
나는 아무 의심 없던 그 순진한 남자아이를, 세상을 알고 싶고 자기 눈으로 볼 수 있는 곳보다 더 멀리 헤엄쳐 나가고 싶은 욕망에 다른 아무 생각도 할 수 없었던 그 아이를 되돌아본다. 그 아이가 바로 그렇게, 자기가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도 모르는 채 언제나 무언가를 찾으려 하며 인생을 살아가게 되리라는 걸 나는 안다. 그렇게 끊임없이 의미를 찾는 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따르는 소명이라는 것을 아이가 이해하기까지는 여러 해가 지나야 할 것이다. 혼돈을 마주할 때 때로 우리는 자신이 열심히 찾고 있는 것이 일관성이라고, 우리가 살면서 한 모든 경험의 조각들을 의미 있는 전체로 짜 맞춰주고 계속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일러줄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그런 일관성을 찾는다면 우리를 따라다니는 불안 중 일부에서나마 벗어날 거라 기대하면서.
호라이즌 53,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이렇게 조금씩 다른 모습들은 내게 당시 중국 진나라 진시황의 궁궐 근위대의 경직된 사회 조직 안에서도 관용이 어느 정도 자리 잡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 같았다. 또 아마 그렇게 오래전의 중국인들은 질서를 확립하려는 모든 성공적 시도에는 다양성이 필수적 요소임을 알았으리라는 것도.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이 물건들은 나에게 여전히 통렬한 매력을 발휘하고, 침묵으로도 풍부한 이야기를 전해준다. 정신을 차릴 수 없을 정도로 풍부한 생명의 다양성, 태곳적 지구의 돌로 된 살갗, 인간 행동의 치명적 폭력성, 점점 더 무용한 것이 되어가는 현대의 전쟁. 이 물건들에 눈길을 주는 것은 내가 이런 것들을 곧잘 잊어버린다는 걸 잘 알기 때문이다.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아티초크/책증정] 윌리엄 해즐릿 신간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서평단&북클럽 모집[빈페이지_책증정] 《그리고 밤은 온다》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구글은 어떻게 월드 클래스 조직을 만들었는가? <모닥불 타임> [책 증정] Beyond Bookclub 11기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도서증정][발행편집인과 함께 읽기] <시간의 연대기-잊힌 시간 형태의 기록>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 여러분의 처방책이 필요합니다.
30번째 생일선물로 책을 추천해 주세요.친해진 초등학생 여자 아이들에게 기념 선물로 줄 만한 책에는 뭐가 있을까요? 결혼하는 같은회사 직원에게 선물할 책을 추천해주세요.
생명으로부터 배웁니다
[김영사/책증정] 대낮의 인간은 잘 모르는 한밤의 생태학! <나방은 빛을 쫓지 않는다>[현암사/책증정]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를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그믐북클럽] 4. <유인원과의 산책> 읽고 생각해요 [그믐무비클럽] 4. 동물의 집은 어디인가 with 서울동물영화제
작가들만 관심 있는 책!
[꿈꾸는 책들의 특급변소] 쓰지 못하는 작가들의 이야기 <노블리스트> 스토리 탐험단 세번째 여정 '히트 메이커스' 함께 읽어요!
2월 26일(수), 함께 낭독해요 🎤
[그믐밤X그믐클래식] 32. 달밤에 낭독, <일리아스>
불확실성의 시대, 철학자들에게 묻다
[다산북스/책증정]《너를 위해 사는 것이 인생이라고 니체가 말했다》 저자&편집자와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52. <어떻게 살 것인가: 삶의 철학자 몽테뉴에게 인생을 묻다>[열림원/도서 증정] 『쇼펜하우어의 고독한 행복』을 함께 읽고 마음에 드는 문장을 나눠요!
2025년 빈페이지 첫 신간, 책을 드리고 독서모임에 초대합니다.
[빈페이지_책증정] 《그리고 밤은 온다》 함께 읽어요!
2월의 고전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이달의 고전] 2월 『제5도살장』 함께 읽어요[이달의 고전] 2월 『양철북』 함께 읽어요[그믐밤X그믐클래식] 32. 달밤에 낭독, <일리아스>
다정한 모임지기 jena와 함께 한 달, 또 한 달
〔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 3월〕 이듬해 봄 〔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 2월〕 선릉과 정릉[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1월] 읽을, 거리
SH의 깊이 있는 서평 블로그
<페이크와 팩트>를 읽고<오늘도 2명이 퇴근하지 못했다>알베르 카뮈의 <시지프 신화>를 읽고
이 책은 미술책이다? 아니다? 🎨
[그믐미술클럽 혹은 앤솔러지클럽_베타 버전] [책증정] 마티스와 스릴러의 결합이라니?![책증정] 미술을 보는 다양한 방법, <그림을 삼킨 개>를 작가와 함께 읽어요.[웅진지식북클럽] 1.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함께 읽어요
책을 직접 번역한 번역가와 함께~
[도서증정][번역가와 함께 읽기] <꿈꾸는 도서관> <번역가의 인생책> 이평춘 번역가와 『엔도 슈사쿠 단편선집』 함께 읽기<번역가의 인생책> 윤석헌 번역가와 [젊은 남자] 함께 읽기[브릭스 북클럽] 류드밀라 울리츠카야 《커다란 초록 천막》 1, 2권 함께 읽기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우리 뇌에선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책 증정] Beyond Bookclub 10기 <오늘도 뇌 마음대로 하는 중>[뇌과학책 함께 읽어요] 5. 피아니스트의 뇌[뇌과학책 함께 읽어요] 2.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