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ㅎㅎ 더글라스 애덤스 책도 팬데믹 끝무렵에 북클럽에서 읽었던 책인데 그 책 읽을 때 저희도 그 생각을 했답니다. 거듭 반복되는 인류의 팬데믹/에피데믹은 거의 다 인수공통...자업자득..인과응보.. 조만간 양쯔강 돌고래가 아니라 바퀴벌레와 구더기를 먹게 될지도..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D-29

borumis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장맥주
연해님의 대화: 아, 작가님. 이렇게 솔직하시면... (웃음)
아... 이 정도면 꽤 점잖게 표현한 것으로... 아... 아닌가요? ^^;;;
밥심
borumis님의 대화: ㅎㅎㅎ 더글라스 애덤스 책도 팬데믹 끝무렵에 북클럽에서 읽었던 책인데 그 책 읽을 때 저희도 그 생각을 했답니다. 거듭 반복되는 인류의 팬데믹/에피데믹은 거의 다 인수공통...자업자득..인과응보.. 조만간 양쯔강 돌고래가 아니라 바퀴벌레와 구더기를 먹게 될지도..
애덤스의 이런 책이 발간된 것은 어찌 아시고.. 한 번 읽어보고 싶네요. 그리고 말 나온 김에 애덤스의 벽돌책 소설인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는 읽어보셨나요? 본다 본다 하면서도 아직 못 읽었는데 호불호가 갈려서 주저하게 됩니다.

borumis
밥심님의 대화: 애덤스의 이런 책이 발간된 것은 어찌 아시고.. 한 번 읽어보고 싶네요. 그리고 말 나온 김에 애덤스의 벽돌책 소설인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는 읽어보셨나요? 본다 본다 하면서도 아직 못 읽었는데 호불호가 갈려서 주저하게 됩니다.
네 그 북클럽 멤버들이 거의 다 히치하이커, 도킨스, 히친스 등의 팬이고 이 책 <이게 마지막 기회일지도 몰라>가 한국에서 절판되서 중고판으로 읽다가 다시 재출간되서 기뻐서 저도 원서 뿐만 아니라 재출간된 책으로 샀어요. 한국어 번역도 정말 맛깔나게 잘 했습니다. 강추요.
https://youtu.be/5ctDwOJpCKE?si=jka6Gs6Q6j19OxEH
이 링크 들어가시면 더글라스 애덤스 책의 오디오북과 함께 CD-ROM에 수록되었던 사진들을 함께 볼 수 있구요.
그리고 애덤스는 Stephen Fry와도 친했는데 나중에 Fry와 Mark Carwardine이 함께 찍은 Last Chance to See 다큐멘터리도 볼 만합니다. 특히 아래 링크의 42:18 의 Indri call은 진짜 멸종되기 전에 꼭 들어볼 만한 자연의 신비 중 하나입니다.
https://youtu.be/_rJynOYVGnE?si=gT-xPTrLYidoQ6aL

Nana
YG님의 대화: https://harpers.org/archive/2013/01/sliver-of-sky/
잘 읽었어요. 링크 걸어주셔서 감사해요. 너무 마음 아픈 글인데 극복해 나가는 여정이 참 아름답네요. 작가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밥심
borumis님의 대화: 네 그 북클럽 멤버들이 거의 다 히치하이커, 도킨스, 히친스 등의 팬이고 이 책 <이게 마지막 기회 일지도 몰라>가 한국에서 절판되서 중고판으로 읽다가 다시 재출간되서 기뻐서 저도 원서 뿐만 아니라 재출간된 책으로 샀어요. 한국어 번역도 정말 맛깔나게 잘 했습니다. 강추요.
https://youtu.be/5ctDwOJpCKE?si=jka6Gs6Q6j19OxEH
이 링크 들어가시면 더글라스 애덤스 책의 오디오북과 함께 CD-ROM에 수록되었던 사진들을 함께 볼 수 있구요.
그리고 애덤스는 Stephen Fry와도 친했는데 나중에 Fry와 Mark Carwardine이 함께 찍은 Last Chance to See 다큐멘터리도 볼 만합니다. 특히 아래 링크의 42:18 의 Indri call은 진짜 멸종되기 전에 꼭 들어볼 만한 자연의 신비 중 하나입니다.
https://youtu.be/_rJynOYVGnE?si=gT-xPTrLYidoQ6aL
아하.. 그런 북클럽 활동을 하셨군요. 소개해주신 책과 링크해주신 동영상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Nana
FiveJ님의 대화: 이그림 같습니다~
“Remember”
From His Country series
1924
https://nrm.s3.amazonaws.com/website/images_collections/03/700053.jpg
다른 그림들
https://www.roerich.org/museum-paintings-slideshows.php
감사해요~ 저 홈페이지에서 찾다가 어지러워서 누군가 올려주셨을거야! 하고 들어왔답니다. 이 분 처음들어보는 화가인데 그림이 참 좋네요. 색체예술가라는 표현이 딱 맞네요.

Nana
새벽서가님의 대화: 니컬러스 래릭 미술관은 저도 가본 곳이어서 반가웠어요. 대부분의 관광객들이 뉴욕시에 가면 모마, 더 맷, 구겐하임정도 가지 래릭 미술관까 지 가진 않거든요. 어퍼 웨스트 조용한 주택가 브라운 스톤안에 진열된 그의 작품들을 보면 눈뿐만 아니라 마음까지 시원해지고 내가 가보지 못한 곳에 대한 동경을 불러일으키는데, 작가도 언급을 하니 혼자서 작가에게 내적 친밀감이 생겨서 피식거리며 웃었네요. ^^;
전 래릭미술관이라는게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어요~ 게다가 제 스타일,, 다음에 꼭 가봐야겠어요.
우다다
신청 미리 못했는데 지금부터 참여해도 되는거죠?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장맥주
우다다님의 대화: 신청 미리 못했는데 지금부터 참여해도 되는거죠?
네, 이제 막 시작했습니다. 환영합니다. ^^

장맥주
“ 내 생각에 이즈음 쿡은 자신의 명성이 만들어낸 추진력에서도, 그 명성에 따라오리라 각오했던 책임에서도 자유로워질 수 없었던 것 같다. 또한 그가 스트라본과 프톨레마이오스와 에라토스테네스로부터 전해 내려온 세계 지리에 대대적인 수정을 가하고는 있었지만, 그가 매일을 함께 보내던 이들은 그런 관념적인 것에 별 의미를 두지 않는 선원들이었다는 점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
『호라이즌』 196/1680,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새벽서가
Nana님의 대화: 전 래릭미술관이라는게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어요~ 게다가 제 스타일,, 다음에 꼭 가봐야겠어요.
꼭 다녀오세요~ ^^

장맥주
전체의 12%를 읽은 가운데, 페르난두 페소아의 <불안의 서>(불안의 책)를 떠올리고 있습니다. 여러 장소를 배경으로 아름다운 문장과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파편적인 통찰들이 이어지는 가운데 남의 의식의 흐름을 읽고 있다는 점에서요. ㅎㅎㅎ 페소아의 책보다는 덜 시적이죠?

불안의 서포르투갈의 국민작가로 추앙받는 페르난두 페소아가 쓴 <불안의 서>. 짧으면 원고지 2~3매, 길면 20매 분량인 에세이 480여 편이 실려 있다. 어둠, 모호함, 실패, 곤경, 침묵 등을 자신의 헤테로님 베르나르두 소아레스를 통해 노래하고 있다. 소설가 배수아의 완역본.

불안의 책 (무선)20세기 유럽 문학을 대표하는 포르투갈의 국민 작가 페르난두 페소아의 <불안의 책>이 포르투갈어 원전 완역본으로 출간되었다. 페소아의 대표작으로 일컬어지는 <불안의 책>은 이미 두 차례나 출간되긴 했으나 이탈리아어 판본과 독일어 판본을 중역한 것으로, 포르투갈어 원전을 완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책장 바 로가기
이 글에 달린 댓글 3개 보기

장맥주
aida님의 대화: 그믐에 가입하고 첫 참여입니다. 올해는 벽돌책을 몇권 도전해 보려고 합니다. 짜주신 일정 참고해서 지구 곳곳의 모습을 그려보고 잘 따라가 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환영합니다! ^^

stella15
장맥주님의 대화: 전체의 12%를 읽은 가운데, 페르난두 페소아의 <불안의 서>(불안의 책)를 떠올리고 있습니다. 여러 장소를 배경으로 아름다운 문장과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파편적인 통찰들이 이어지는 가운데 남의 의식의 흐름을 읽고 있다는 점에서요. ㅎㅎㅎ 페소아의 책보다는 덜 시적이죠?
두 권 다 읽으셨나요? 둘중 누구의 번역이 더 나은가요? 페이지도 거의 200 페이지 차이가 나네요.
책먹는사라
지금, 이 호전적인 파벌의 시대, 일상적인 폭력의 시대에 우리 모두에게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호라이즌』 17,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뉴
행동 마무리 인사도 못했는데 문이 닫혔나봅니다 ㅠ
무지막지하게 두꺼운 책을 끝내서 뿌듯합니다. 어렵기도 하고 못알아듣기도 하면서 읽어나갔지만 톡톡 건드려주는 지적자극이 좋았습니다.
전 이제 호라이즌 시작입니다.
뭔가 좀 불안한 시작이지만 잘 마무리 할 수 있기를...

연해
FiveJ님의 대화: 이그림 같습니다~
“Remember”
From His Country series
1924
https://nrm.s3.amazonaws.com/website/images_collections/03/700053.jpg
다른 그림들
https://www.roerich.org/museum-paintings-slideshows.php
우와... 감사해요. 읽을 때는 잘 몰랐는데, 그림이랑 함께 보면서 다시 읽으니까 문장 하나하나가 더 생생하게 와닿는 것 같아요. 새벽서가님 말씀처럼 그림도 너무 좋습니다. 뭔가 아련한데, 또 새로운 시작 같기도 하네요.
"이는 떠남에 관한 그림인 만큼 공간에 관한 그림이기도 하며, 내가 본 모든 그림 가운데 작별이 한 사람의 기억을 어떻게 촉발하는지를 이만큼 통렬하게 이야기하는 작품은 없을 것이다."

연해
연해님의 대화: 우와... 감사해요. 읽을 때는 잘 몰랐는데, 그림이랑 함께 보면서 다시 읽으니까 문장 하나하나가 더 생생하게 와닿는 것 같아요. 새벽서가님 말씀처럼 그림도 너무 좋습니다. 뭔가 아련한데, 또 새로운 시작 같기도 하네요.
"이는 떠남에 관한 그림인 만큼 공간에 관한 그림이기도 하며, 내가 본 모든 그림 가운데 작별이 한 사람의 기억을 어떻게 촉발하는지를 이만큼 통렬하게 이야기하는 작품은 없을 것이다."
“ 나는 이 그림을 볼 때마다, 떠나는 일의 곤란-떠나고 싶은 너무나 강력한 욕망, 그러나 동시에 어떤 틈이 벌어지고 결속이 단절된다는 느낌, 그리고 그 틈과 단절은 오직 돌아오는 것으로만 복구될 수 있다는 느낌-속으로 순식간에 끌려 들어가는 느낌을 받는다. 그 벌어진 틈의 저편에서 어떻게든 떠남을 정당화할 경험을 발견할 수 있을까? ”
『호라이즌』 <들어가며>,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연해
연해님의 문장 수집: "나는 이 그림을 볼 때마다, 떠나는 일의 곤란-떠나고 싶은 너무나 강력한 욕망, 그러나 동시에 어떤 틈이 벌어지고 결속이 단절된다는 느낌, 그리고 그 틈과 단절은 오직 돌아오는 것으로만 복구될 수 있다는 느낌-속으로 순식간에 끌려 들어가는 느낌을 받는다. 그 벌어진 틈의 저편에서 어떻게든 떠남을 정당화할 경험을 발견할 수 있을까?"
그림을 보고 나니까, 이 문장도 다시 보이네요. 저도 @borumis 님 말씀처럼 떠나고 싶은 마음과 자꾸 되돌아보고 싶은 마음의 양가감정이 느껴져요.
꼭 여행뿐만 아니라 관계에서도 비슷한 경험을 종종 하는 것 같습니다. 오랜 시간 같이 붙어있으면 강렬하게 혼자만의 시간을 바라다가도, 혼자의 적막에 또 누군가의 온기를 찾게 되는. 그래서 하나가 좋다는 건지 둘이 좋다는 건지 그 이상을 바라는 건지는 여전히 모르겠지만요(하하). 혼자 사는 건 편안하지만 가끔 집으로 향할 때, 복작복작 불 켜진 아파트를 보고 있으면 마음이 복잡해집니다.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