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자신의 아버지? 를 어머니와 결혼한 첫번째 남자라고 표현하네요. 뭔가 이유가 있을거 같기도 하고... 자서전이라 자신을 제3자로 묘사하는 방식을 택한 건가, 궁금하기도 하네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D-29

오구오구
이 글에 달린 댓글 2개 보기

오구오구
약칭 WPAWorks Progress Administration. 루스벨트 대통령 재임 시기인 1935년에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다가 1943년에 폐쇄된 기관으로, 이 기간 동안 약 850만 명의 실직자에게 공공 기관 건물 및 도로 건설 등의 공공 프로젝트 일자리를 마련해주었다. 목표는 실직으로 고통받는 모든 가정에 생계유지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특히 유명한 WPA 프로젝트인 ‘연방 프로젝트 넘버 원’에서는 음악가, 미술가, 작가, 배우, 감독 등을 고용했다
--> 이 이야기 읽다보니 프리다칼로의 남편 디에고 리베라가 멕시코에서 뉴욕으로 와서 록펠러 등 벽화 그리고 했던 것이 떠오르네요. 이 시기랑 겹치는 건가, 찾아볼까 하다가, 귀찮아서 ㅠ 넘어갑니다.

오구오구
“ 나는 여행이 내 안의 뭔가를 달래준다는 걸 알았다. 1962년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남자 동급생 열다섯 명과 선생님 두 명과 함께 소형 피아트 버스를 타고 두 달 동안 서부 유럽을 돌아다녔다. 포르투갈에서 동쪽으로 달려 스페인과 프랑스를 지나고 알프마리팀주를 거쳐 이탈리아로 들어가 남쪽으로 로마까지 갔고, 그런 다음 다시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오스트리아, 서독을 거쳐 다시 프랑스 로렌에 도착했고 거기서 파리로 갔다. 칼레에서 도버 해협을 건너 도버에 도착한 뒤에는 기차를 타고 런던으로 갔다.
”
『호라이즌』 25,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한 장소에 대한 기억이 어떻게 새로운 감정을 촉발하는지, 그리고 그 감정에 담긴 진실이 한때 내가 아주 신중하게 수집했던 사실들을 어떻게 변용하는지에도 흥미를 느꼈다. 인류학자 칼 슈스터는 문화적 인식론, 즉 사람들이 인식하는 방식을 비교하면서 이런 글을 남겼다. “이 세상이 실제로 어떠한지를 아주 어렴풋이라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확실하게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점은 누구든 사람들이 가정하는 것과는 이 세상이 무척 다르다 는 것이다.” 이 글에서 슈스터는 과학자들과 학자들이 현실과 인간의 운명에 관해 때로 오만하게 말하는 것에 이의를 제기한다. 그는 모든 문화가 각자 자신들의 장소와 만날 때 경험하는 정서적이고 영적인 종류의 관계를 옹호했다. 이는 그 문화들이 같은 장소에 대해 보이는 좀 더 경험적이거나 분석적인 반응 못지않게 소중하다. 완전한 이해가 불가능한 것에 대한 이해를 진전시키는 일에서는 두 인식이 똑같이 유효할 것이기 때문이다. ”
『호라이즌』 29,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이 책을 계획하면서 또 하나 내가 품었던 욕망은 우리의 문화적 생물학적 역사에서 삶에 의미가 있다는 믿음을 버리는 쪽이 매력적인 선택이 되어버린 지금, 많은 사람이 수평선에서 어두운 미래의 암시 외에 달리 발견하는 것이 없는 이 시대에, 자기 삶에서 어떤 궤적을, 일관되고 의미 있는 어떤 이야기를 찾아내고자 하는 독자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서사를 직조해내는 것이었다. ”
『호라이즌』 30,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오구오구
오구오구님의 문장 수집: "이 책을 계획하면서 또 하나 내가 품었던 욕망은 우리의 문화적 생물학적 역사에서 삶에 의미가 있다는 믿음을 버리는 쪽이 매력적인 선택이 되어버린 지금, 많은 사람이 수평선에서 어두운 미래의 암시 외에 달리 발견하는 것이 없는 이 시대에, 자기 삶에서 어떤 궤적을, 일관되고 의미 있는 어떤 이야기를 찾아내고자 하는 독자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서사를 직조해내는 것이었다."
세상과 삶에 의미가 없다고 믿는 시대와 사람들 사이에서, 의미있는 이야기를 해주겠다는 저자의 서문! 기대만땅입니다. 저자의 글이 아름답네요~ 현재까지는 제 스타일입니다. 새벽 행복했습니다. 이제 출근준비 ㅋ

오구오구
파울웨더가, cape foulweather 네요. 오레곤....


다만간서치로
혼자읽기는 힘들것 같아요. 두께가~~~함께읽기 신청합니다~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장맥주
오구오구님의 대화: 저자는 자신의 아버지? 를 어머니와 결혼한 첫번째 남자라고 표현하네요. 뭔가 이유가 있을거 같기도 하고... 자서전이라 자신을 제3자로 묘사하는 방식을 택한 건가, 궁금하기도 하네요.
‘어머니의 첫 남편’이라고 나오는 시드니 반 셰크 말씀이시죠? 저는 그 사람이 저자의 아버지가 아닌 걸로 해석했어요. ‘다라처럼 시드니도 내가 원하는 아버지상이었다’ 같은 문장도 나와서요. 아버지를 저렇게 쓴 걸까요...?

장맥주
다만간서치로님의 대화: 혼자읽기는 힘들것 같아요. 두께가~~~함께읽기 신청합니다~
환영합니다~. 이제 막 시작했습니다. ^^

장맥주
dobedo님의 대화: 텀블러비둘기 동영상입니다. 경이롭네요. 비둘기의 세계도 튤립의 세계만큼이나 어마어마하고 사치스럽고 요란스러웠다고 듣긴 했는데 왜 그랬는지 얼핏 알 것도 같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q8eo9yPO0Hw?si=yEBIOiVWvVYk5XGx
오. ‘하늘을 가로지르며 바퀴처럼 뱅글뱅글 도는’, ‘마치 양력이 사라진 것처럼 공중에서 수십 미터에 걸쳐 떨어지며 공중제비를 돌고 또 도는 모습’이라는 표현이 가리키는 모습이 바로 이거군요! 감사합니다.

장맥주
오구오구님의 대화: 완전 핵인싸이셨나봐요~
재혼한 뒤에도 전처 집 근처에 살고 전처나 전처의 아들과 친하게 지내고 그걸 또 부인이 용납해준 거 같은데, 핵인싸 중 핵인싸였나 봅니다. ^^

Nana
허겁지겁 늦게 시작한 [행동]을 끝마치고, 이번에는 제시간에 합류해 봅니다. 이번엔 밀리의 서재에서 전자책으로 읽어보려는데 @YG 님 시간표가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새벽서가
오구오구님의 대화: 저자는 자신의 아버지? 를 어머니와 결혼한 첫번째 남자라고 표현하네요. 뭔가 이유가 있을거 같기도 하고... 자서전이라 자신을 제3자로 묘사하는 방식을 택한 건가, 궁금하기도 하네요.
시드니는 엄마의 첫남편이었고, 둘째남편이 이미 결혼한 상태인데 저자와 저자의 동생을 낳고 본부인에게 돌아가요. 그 후에 엄마가 새아빠인 세번째 남편이랑 결혼하는 바람에 다시 캘리포니아에서 뉴욕으로 돌아가죠. 뉴욕에서 태어나서 캘리포니아로 옮겨간후 바로 아빠가 떠나버려서 시드니도 다라도 아버지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던거죠.

장맥주
오구오구님의 대화: 너무 훌륭한 번역입니다. 문장이 아름답네요. 영어도 번역본도.. 저는 특히 마지막 문장이 마음에 듭니다.
"큰 갈망에 부응하여 그토록 큰 결단력으로 행동한 것이 나에게, 그리고 내 가까운 사람들에게 부여한 의미"
읽으며 결심에 이끌려 살고 싶었던 저의 삶도 함께 종종 반추하렵니다. 감사합니다.
정지인 번역가님이 유려하게 옮기신 문장을 그냥 다섯 조각으로 쪼갰을 뿐이라 민망합니다. 정 번역가님도 아마 긴 원문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긴 문장으로 옮기신 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

장맥주
새벽서가님의 대화: 시드니는 엄마의 첫남편이었고, 둘째남편이 이미 결혼한 상태인데 저자와 저자의 동생을 낳고 본부인에게 돌아가요. 그 후에 엄마가 새아빠인 세번째 남편이랑 결혼하는 바람에 다시 캘리포니아에서 뉴욕으로 돌아가죠. 뉴욕에서 태어나서 캘리포니아로 옮겨간후 바로 아빠가 떠나버려서 시드니도 다라도 아버지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던거죠.
아... 사정이 어땠는지는 모르겠지만 법적으로는 불륜 관계로 태어난 자녀들이었군요. ^^;;;

장맥주
“ 다만 나는 이 그림을 볼 때마다, 떠나는 일의 곤란―떠나고 싶은 너무나 강력한 욕망, 그러나 동시에 어떤 틈이 벌어지고 결속이 단절된다는 느낌, 그리고 그 틈과 단절은 오직 돌아오는 것으로만 복구될 수 있다는 느낌―속으로 순식간에 끌려들어가는 느낌을 받는다. ”
『호라이즌』 92/1680,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YG님의 대화: @오구오구 @새벽서가 @장맥주 이 책의 주석이 많지는 않은데, 본문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긴 미주가 몇 개 있어요. @오구오구 님 궁금하신 내용은 미주 4번에 길게 가족사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어머니가 20세기 초반이었던 걸 고려하면 남다른 열정의 소유자셨던 것 같아요. 물론 아버지도. :) 그런데 그 과정에서 저자는 상처가 있었나 봐요. 2번 미주를 보면 "유년기에 겪은 성적 학대와 그 트라우마에 관해 쓴 글"을 언급한 내용이 나옵니다.
앗, 그렇군요. 미주 먼저 봐야겠어요

YG
YG님의 대화: @오구오구 @새벽서가 @장맥주 이 책의 주석이 많지는 않은데, 본문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긴 미주가 몇 개 있어요. @오구오구 님 궁금하신 내용은 미주 4번에 길게 가족사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어머니가 20세기 초반이었던 걸 고려하면 남다른 열정의 소유자셨던 것 같아요. 물론 아버지도. :) 그런데 그 과정에서 저자는 상처가 있었나 봐요. 2번 미주를 보면 "유년기에 겪은 성적 학대와 그 트라우마에 관해 쓴 글"을 언급한 내용이 나옵니다.
어렸을 때, 가정 형편이 어려운 어머니에게 구애하는 척하면서 접근한 해리 샤이어라는 자(소아 성애자로 추정되는 자)에게 만 7세부터 4년간 성적 학대를 당했군요. "치료가 필요한 아이"라는 전문적인 소견을 어머니에게 핑계로 대면서 관계를 유지했고;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