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 안내]
• 한강 작가의 감정선을 따라 읽어가는 모임입니다. 비교적 가벼운 책에서 점점 깊어지는 책까지, 자유롭게 읽겠습니다.
[책소개]
• 채식주의자의 씨앗이 된 소설이라고 합니다.
이 세계에서 끝끝내 인간으로 살아간다는 것,
그 기적 같은 일에 대하여
다시 태어나는 한강 문학의 클래식
길 위에서, 가만히 매듭을 짓다
점 세 개를 이어 그린 깊은 선 하나
오늘의 한강을 있게 한 어제의 한강을 읽는다. 1993년 계간 『문학과사회』 겨울호에 시 「서울의 겨울」 외 4편을 발표하고 이듬해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붉은 닻」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한 한강이 현재까지 출간한 소설집 전 권(총 세 권)의 개정판이다. 한강은 단단하고 섬세한 문장을 통해 삶의 근원에 자리한 고독과 아픔을 살피며 지금 이 시대와 공명하고 있다.
한국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이 지금까지 펴낸 소설집은 모두 세 권. 1995년부터 2012년까지, 17년 사이 씌어진 작품들이 담긴 세 권의 책은 2018년에 새로운 옷을 입었다. 빛깔도 판형도 저마다 달랐던 세 권의 책을 조심스레 이어 하나의 선 위에 두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었다. 스물서너 살 때의 작가가 1년 동안 휘몰아치듯 썼던 단편을 모은 것이 1995년 한강의 첫 소설집이자 통틀어 첫 책인 『여수의 사랑』이다. 5년 만에 출간된 두번째 소설집 『내 여자의 열매』에서 한강은 “흐르는 물과 같이 변화하는 과정이 바로 나라는 평범한 진리”를 만난 듯하다가, 이내 다시 묻는다. “이 한 편 한 편의 소설들을 썼던 사람은 누구였을까.”(「작가의 말」) 그리고 12년이 지나 세번째 소설집 『노랑무늬영원』을 펴냈다. 그 사이사이에 장편 『그대의 차가운 손』 『채식주의자』 『바람이 분다, 가라』 『희랍어 시간』이 씌어졌다.
단편은 성냥 불꽃 같은 데가 있다.
먼저 불을 당기고, 그게 꺼질 때까지 온 힘으로 지켜본다.
그 순간들이 힘껏 내 등을 앞으로 떠밀어줬다.
―‘작가의 말’(2012), 『노랑무늬영원』
[한강 작가의 감정선 따라 읽기] 3. 내 여자의 열매
D-29
꼬리별모임지기의 말
꼬리별
책 순서입니다. 현재 목표는 3월 전까지 채식주의자를 읽고, 얼마간의 휴식 후 다시 시작하기 입니다^^;
존재의완성
한강 작가의 소설은 이상문학상 수장작 몽고반점을 맨 처음 접했습니다. 이 문집에 아기부처가 함께 수록되어 있었는데 '내 여자의 열매' 소설집 속에도 '아기부처'가 함께 수록되어 있다는 게 눈에 띱니다. 몽고반점 이후에는 '희랍어 시간'을 최근 읽었는데, 이 책 따라가기는 정말 버거웠습니다. '내 여자의 열매'는 '희랍어 시간'보다는 훨씬 쉽게 따라갈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그믐에 가입한 지 얼마 안되서 함께 읽기 신청은 처음입니다. 앞으로 어떻게 따라갈 지 호기심 가득 합니다. 감사합니다.
존재의완성
@꼬리별 그런데 이 모임은 그냥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거지요?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꼬리별
존재의완성님의 대화: @꼬리별 그런데 이 모임은 그냥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거지요?
네~
화제로 지정된 대화
꼬리별
안녕하세요. 내일부터 시작입니다. 간단한 일정표를 올려드립니다. 설 연휴에 차분히 읽어보아요.
같이 읽어나가며 질문거리가 생기면 같이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정표]
1.27 - 1.29 / 파트 A / 내 여자의 열매 - 해질녘에 개들은 어떤 기분일까
1.30 - 2.1 / 파트 B / 아기부처 - 어느 날 그는
2.3 - 2.5 / 파트 C / 붉은 꽃 속에서 - 아홉 개의 이야기
2.6 - 2.8 / 파트 D / 흰 꽃 - 철길을 흐르는 강
2.9 / 마무리 / 해설 및 작가의 말
모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존재의완성
네. 같은 책을 함께 읽어가는 분이 있다는 동지 의식, 적당한 긴장감이 참 좋습니다.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