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공중전과 문학』에 이어서, 시집 『자연을 따라 기초시』를 읽습니다.
※ 책은 '알프스의 눈과 같이', '그리고 내가 바다 끝에 가서 머물지라도', '어두운 밤이 전진한다'로 이뤄져 있습니다. 각 내용을 세 시기로 나눠서 얘기합니다. 한 시기는 9일이며, 총 27일간 진행할게요.
※ 한 시기 넘어갈 때마다 게으를 수 있도록 하루 텀을 두겠습니다.
※ 한 시기가 끝나면 간략히 [#소감] 말머리를 달고 제 짧은 감상을 남기겠습니다.
안 읽고 얘기하셔도 좋고 아는 척 하셔도 좋고 생판 딴 얘기해도 좋습니다.
독서와 장기와 뒷담은 원래 훈수 두는 맛이 있어야 한다고 봐요.
참여 인원과 관계없이 11/22에 시작합니다:)
(3) [제발트 읽기] 『자연을 따라 기초시』 같이 읽어요
D-29

russist모임지기의 말
화제로 지정된 대화

russist
[#1차 시기 시작]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11월 30일까지 '알프스의 눈과 같이'를 읽습니다. 분량 자체는 매우 짧습니다.
또 아무도 없이 혼자 떠들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ㅠㅠ) 그냥 해보겠습니다.
잘 부탁드려요.

seemse
책은 이틀 전에 사놨고 잠깐 읽어본 페이지들이 흥미로웠어요. 제발트, 이름만 많이 들어봤지 이번 책이 처음인데요. 이전에 <공중전과 문학>으로 모임을 진행하셨다니 russist 님은 그래도 저자에 대해 익숙하실 것 같아요. 어떤 매력을 지닌 저자인지 사전 정보 하나 없이 시작하려 합니다...!

russist
와 책까지 사셨다니!
제발트가 취향을 타는 스타일인 모양인지 이전에 열었던 두 번의 모임은 애석하게도 저혼자 말하는 느낌이긴 했습니다···
저 또한 좋아하는 작가이지만 저자에 대해서 익숙하다고 말하긴 어려울 것 같아요🥲 저도 매번 새롭거든요.
재밌는 대화를 나눴으면 합니다. 반가워요:)

seemse
ㅎㅎㅎ읽고 나니 왜 취향을 타는지 알겠군요...사람에 따라서는 읽던 책을 집어던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russist
본문 34쪽부터 38쪽까지 묘사되는 그림은 그뤼네발트의 ⟨성 안토니오의 고뇌⟩입니다. 읽고 나서 아래 출처의 그림을 한번 보시기를.
https://ko.m.wikipedia.org/wiki/파일:Matthias_Grünewald_-_Visit_of_St_Anthony_to_St_Paul_and_Temptation_of_St_Anthony_-_WGA10771.jpg

seemse
정말 감사해요! 덕분에 조금 더 생생하게 읽었어요 :)

seemse
‘알프스의 눈과 같이’까지 읽었어요. 한 번 읽고 한 번 더 읽었는데요. 두 번째 읽을 때는 정보나 인물간 관계 등에 더 익숙해진 채로 읽어서 문장의 리듬이나 글이 그려내는 장면의 느낌에 좀 더 집중해서 읽을 수 있었어요.
TMI지만, 배수아 역자(이자 작가)님이 옮기신 책들이 대체로 저의 취향이더라고요. 역자가 옮긴 책들을 찾아서 읽기 시작한지 서너 달 정도 되었고, 이 책을 읽기로 한 데 결정적으로 작용한 요인도 바로 역자 때문이었어요. 번역 대상으로 선정하시는 텍스트들이 하나같이 다 흥미롭더라고요. 다르게 말하면 호불호를 많이 탄다는 얘기이고요ㅎㅎ 배수아 역자의 역서들에서는 텍스트와의 충돌을 겪을 수 있어서 온몸이 깨어나는 느낌이 듭니다. 이 책도 그런 것 같고요. 익숙한 방식으로 텍스트를 대하면 반드시 길을 잃게 되어 있어서, 텍스트라는 것을 생전 처음 대하듯이 읽어나갈 때 더 나은 독서 경험이 가능한 책인 듯 해요.

russist
저도 배수아 님이 번역하는 책들을 거의 다 좋아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관념적이거나 추상적인 톤의 글을 번역하실 때 역자로서 주파수가 맞는다는 인상을 많이 받았습니다. 페르난두 페소아의 '불안의 서'나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달걀과 닭' 같은 책이 특히 좋았고, 로베르트 발저는 임홍배 역자님의 번역이 더 좋았습니다. 전 아직도 한번씩 꺼내서 읽어보고 있어요.

seemse
맞아요, 배수아 역자님이 번역할 때 빛을 발하는 텍스트가 분명 있는 것 같아요. 저는 아글라야 페터라니의 <아이는 왜 폴렌타에서 끓는가>가 참 좋았어요. 시에 가까운 소설인데 개인적으로 좋게 읽었습니다.

russist
한번 읽어봐야겠네요. 바로 장바구니에 담아뒀어요😄 이렇게 또 읽을 책이······

russist
사실 고백하자면 저는 처음에 '현기증/감정들'로 제발트를 시작했는데요, 뭐라는 건지 정말 하나도 모르겠더라구요. 근데 읽으면서도 이건 다른 소설들과 결이 다르고 전혀 다른 독법으로 접근할 것 같은 위화감(?)은 내내 느꼈습니다. 첨엔 익숙한 해석밥 자체를 근원적으로 막아버리는 그런 인상이었어요. 그 와중에 문장들은 정말 좋아서, 잘 모르는 이국의 고유명사 때문에 고통받으면서도 꾸역꾸역 읽었더랬죠. 나중에는 정말 좋아하게 됐지만요:)
아마 다들 비슷하지 않을까 해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