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차이
여자가 더 성(性)에 있어 수동적이고,
남자는 종족 보존을 위해 공격적이다.
여자는 수동적인 본성 때문에,
남자보다 성에 대해 더 참을 수 있는 것 같다.
놀이기구나 연극, 영화 등 사회적으로
갖춰진 것을 이용해 성욕을 대리 배설한다.
그리고 남자는 외적으로 의무감이나 책임감 같은 것에
짓눌려 더 일찍 죽는 것 같다.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D-29
Bookmania
Bookmania
젊을 때는 어디를 자꾸 가려고 하는데 나이가 들면 귀찮아서 가기가 싫다.
Bookmania
자연을 그대로 인정하고 거기에 접목하려고 한 게 아니라 서양처럼 자연을 개척해서 자금 자연 파괴가 일어나 기후 위기가 온 것이다. 같이 사는 환경은 무찌르는 게 아니라 같이 어울리는 게 최고다.
Bookmania
마광수는 어울리지 읺게 그래도 옛 향수 얘길 곧잘 한다.
Bookmania
마광수는 공원이나 도서관을 사랑한다.
Bookmania
같은 용어인데도 긍적적으로 부정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변태 같은 단어가 그렇다.
Bookmania
트럼프는 다른 종교는 무시하면서 자기가 따르는 기독교는 찬양한다. 이 자도 경제인이라지만 결국 종교의 굴레에서 허덕이고 있는 가련한 자이다.
Bookmania
마광수는 고지식한 게 아니라 융통성을 좋아한다.
Bookmania
4시경엔 꼭 감기에 걸린 것처럼 컨디션이 안 좋다가 5시 30분 정도 되면 정상 컨디션으로 회복된다. 이상한 조화다. 다 몸의 리듬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 같다.
Bookmania
인간은 자기 길을 걸어온 사람도 그럴 사람을 가장 존경한다. 트럼프는 예술인 같은 건 사람으로 취급도 안 하고 장사해서 성공한 백만장자만 사람으로 취급해 존경한다. 원래 인간은 그런 것이다.
Bookmania
이 책은 마광수가 1987, 88년에 쓴 게 제일 많다. 내가 군대 가서 썩고 있을 때다.
Bookmania
마광수는 젊을 때나 나이 들어서나 글을 한결같이 어렵지 않게 쉽게 쓰고 있는 게 가장 장점이고 내게 좋은 것 같다.
Bookmania
마광수는 현실을 그냥 단순하고 심각하지 않고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며 사는 사람을 좋아하는 것 같다. 먹으라고 주면 받는 것이다. 거지가 주는 거라고 안 받는 게 아니라.
Bookmania
나는 옥수동 산 중턱이나 서대문 안산 기슭, 옥수동 버스 종점에서 걸어오면서 2차선 도로의 영화 연속 3편 보여주는 동네 극장에서 영화 보는 걸 좋아했다. 특히 에로틱한 영화를 좋아했다. 그때 이보희가 좋았다.
Bookmania
1972년 같이 어릴 때 쓴 글은 설교, 교훈적인 내용으로 일관하고 있다.
Bookmania
마광수는 문학이 애국이나 저항, 민중으로 치우치지 않고 오직 인간의 본성을 자연스럽게 내뱉는 작품을 높이 더 평가한다. 목적의식 없이 그냥 지금의 그 느낌을 적은 글을 더 치는 것 같다.
Bookmania
인간 삶에서 용어의 정의에 대해 아는 것보다 어떤 현상에 대해 통찰하고 깨닫는 게 중요하다.
Bookmania
산 공부
“무식하면 용감하다.”
요즘 내란 수괴처럼 무식하면 용감하고, 책을 한 권만 읽어
한가지 신념에만 빠지면 나라 전체의 기반이 흔들릴 정도로
위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현상을 보면서 전에 많이 회자(膾炙) 되던 말이
딱 들어맞는 것을 알게 된다.
여기서 더닝 쿠르거 효과도 끌어낼 수 있다.
많이 아는 사람은 자신이 아는 것보다 덜 안다고 생각하지만,
조금 아는 사람은 자신이 아는 것보다 더 안다고 생각해
자신을 과대평가한다는 학설이다.
“아, 좋아! 날아갈 것 같아.”
단체 등산에서 이 산이 몇 미터이고 이 산에 있는 절은
언제 지어졌으며 무슨 전설이 있다는 둥
지식만 늘어놓는 중년 남자들이 아는 척하며
(특히, 여자가 있으면 더 목소리를 높여)
늘어놓는데, 한쪽에서 모처럼 야외로 나온 여자들은
맑은 공기와 꽃내음을 맡으며
“아, 가슴이 뻥 뚫리는 것 같아.
마치 내가 자연의 일부가 된 느낌이야.”하고
감탄하는 것 중, 어느 게 더 듣기 좋은가?
여기까지 자연을 벗 삼아 놀러 온 거지,
지리, 역사 공부하러 온 것은 아니지 않은가.
나중에 돌아와 그 산에 대한 내력을 알아야 하는
계기가 될 때, 등산 경험은 산 지식이 될 것이다.
“누가 불렀는지 모르지만, 이 구절이 참 좋아!”하며
노래 자체가 좋아 흥얼거리는 게 낫지, 사전에
노래를 전부 공부할 필요는 없다.
그렇게 되면 하기 싫은 공부가 되어 오히려
노래에 대한 지금까지의 이미지는
와르르 무너질 것이다.
좋아하던 것도 막상 공부나 직업이 되면 괜히
고달파지는 것이다.
“마음이 가난한 자가 복을 얻나니.”
이 말도 처음에 들었을 때는 그냥 욕심을 부리지 말자,
라는 뜻으로만 단순히 생각할 수 있다.
실생활에서 사실 출세하려고 눈에 불을 켜고
덤비면 주변에서 오히려 거부 반응이 일어나 승진에서
미끄러질 수도 있다.
그냥 마음을 비우고 맡은 바 직무를 충실히
하다 보면 부수적으로 승진도 따라오는 거 아니겠나.
오히려 이런 사람이 소리소문없이 승진도 잘한다.
그리고 이성과 사귈 때도 뭔가 좋아하는 티가 나면
상대방은 부담스러워 더 멀리한다.
그냥 무심한 척 툭 던지는 말투로
어떤 변화 같은 걸 알아주면 그때부터 상대가
내게 관심 가져줄지도 모른다.
생활하고 사색하면서 그런 가운데 깨닫고 통찰하다 보면
“이 말의 진정한 뜻은 이거로구나.” 하고
자연스럽게 알게 될 때가 있다.
이런 게 산 지식이고 공부라고 생각한다.
불교에서도 공즉시색(空卽是色), 색즉시공(色卽是空)이라고
마음을 비우는 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고
집착하고 욕심을 부리면 얻는 게 없다는 뜻이다.
살고자 하면 죽고, 죽고자 하면 사는 것도 이런 뜻 아니겠나.
속담이나 관용구 같은 걸 기계적으로 암기하는 것보다
생활하면서 통찰하고 깨닫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
다른 누군가가 이전에 한 말을 접하고
나는 이미 생활과 사색과 독서를 통해
그 내용을 이미 깨닫고, 알고 있었다는 것을 알 때가 있다.
그러면서 인구(人口)에 회자 되는,
경구(警句)들의 진정한 뜻도 덩달아 알게 되는 것이다.
기존 지식을 달달 외는 게 아니라 이렇게 생활에서
스스로 깨닫는 게 진정한 공부 아니겠는가.
세상에 떠도는 금언(金言)들을 수박 겉핥기나 진부한 지당하신
말씀 정도로만 알다가 어느 정도 생활에 연륜이 쌓이면
그 아포리즘(Aphorism)의 진정한 뜻을 알게 될 때가 온다.
내 앞을 앞서간 사람들이 괜히 그런 말을 한 게 아니다.
그들도 살다가 문득 깨달은 것이다.
공감하지 못하고 잘 이해도 가지 않는, 그런 말들을
남발하기 이전에 조급하지 말고 체험을 맘껏 하고
세월이 가면 자연스럽게 저절로 그 뜻을
깨닫게 될 때가 오고야 말 것이다.
Bookmania
마광수는 글을 의무적으로 쓰지 말고 그냥 자신이 지금 이는 쓰고 싶은 것을 쓰라고 주장하는 듯하다.
Bookmania
전엔 선생들이 잔말 말고 공부나 열심히 하라고 했는데 요즘엔 공부 안 해도 걸그룹처럼 돈을 더 버니 이젠 그 말도 못하게 생겨 아주 좋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