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독했습니다. 건진 부분도 몇 대목 있었지만 저는 별로였어요. 도덕성에 대한 질문을 피하거나 노골적으로 부정하는 부분도 좀 어이가 없었습니다. 도덕성이 아니라 비건의 트라우마나 정서를 중심에 놓고 이야기를 하는데 저자의 견해가 실제로 그러한지 이 책이 관계에 대한 책이라서 그런 건지 모르겠네요.
읽다 보면 동물의 고통을 실제로 줄이거나, 그보다 더 큰 선을 실현하는 데에는 관심이 없어 보이고 ‘비건의 기분이 상처받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식이라서 한숨이 나왔습니다. 그러데 막상 채식주의를 선택한 사람들의 대인관계에 도움을 주지는 못하고, 다만 그들이 대인관계로 고통 받을 때 자신을 합리화할 수 있는 생각들을 제공하는 것 같았습니다.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④ 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멜라니 조이)
D-29
장맥주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stella15
장맥주님의 대화: 두 달 지난 짜파게티가 신선한 야채보다 맛있더라고요. ^^
맛있으면 장땡입니다. ㅎㅎ
stella15
장맥주님의 대화: 완독했습니다. 건진 부분도 몇 대목 있었지만 저는 별로였어요. 도덕성에 대한 질문을 피하거나 노골적으로 부정하는 부분도 좀 어이가 없었습니다. 도덕성이 아니라 비건의 트라우마나 정서를 중심에 놓고 이야기를 하는데 저자의 견해가 실제로 그러한지 이 책이 관계에 대한 책이라서 그런 건지 모르겠네요.
읽다 보면 동물의 고통을 실제로 줄이거나, 그보다 더 큰 선을 실현하는 데에는 관심이 없어 보이고 ‘비건의 기분이 상처받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식이라서 한숨이 나왔습니다. 그러데 막상 채식주의를 선택한 사람들의 대인관계에 도움을 주지는 못하고, 다만 그들이 대인관계로 고통 받을 때 자신을 합리화할 수 있는 생각들을 제공하는 것 같았습니다.
수고하셨네요. 비건에 대한 생각도 여러 가지인가 봅니다.
명절 연휴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장맥주
stella15님의 대화: 수고하셨네요. 비건에 대한 생각도 여러 가지인가 봅니다.
명절 연휴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네, @stella15 님도 명절 연휴 잘 보내세요~. ^^ 저는 다음 책 또 미리 읽으려고요.
장맥주
stella15님의 대화: 맛있으면 장땡입니다. ㅎㅎ
그런데 왜 맛있는 음식들은 다 열량이 높을까요. 맛있는데 칼로리 안 높은 음식 좀 알려주세요. ㅠ.ㅠ
stella15
장맥주님의 대화: 그런데 왜 맛있는 음식들은 다 열량이 높을까요. 맛있는데 칼로리 안 높은 음식 좀 알려주세요. ㅠ.ㅠ
ㅎㅎ 그게 인간의 비극이죠.ㅠ
근데 그 보단 인스턴트가 열량이 높은 게 많지 직접 조물조물 만들어 먹는 음식은 적어도 인스턴트 보단 열량이 높지 않으면서 맛있게 먹을 수 있죠. 문제는 귀찮다는 것. ㅋ
건면 추천합니다. 예전에 선전 보니까 오밤중에도 먹던데...
근데 장맥주 님 입맛이 초등학생...? 😆
장맥주
stella15님의 대화: ㅎㅎ 그게 인간의 비극이죠.ㅠ
근데 그 보단 인스턴트가 열량이 높은 게 많지 직접 조물조물 만들어 먹는 음식은 적어도 인스턴트 보단 열량이 높지 않으면서 맛있게 먹을 수 있죠. 문제는 귀찮다는 것. ㅋ
건면 추천합니다. 예전에 선전 보니까 오밤중에도 먹던데...
근데 장맥주님 입맛이 초등학생...? 😆
네, 제 입맛이 바로 초등학생 입맛입니다. 맥주 좋아한다는 것만 빼고요. 냠냠...
siouxsie
대부분 @장맥주 님이 읽은신 감상과 비슷한 의견인데 와인도 비건 인증을 받아야 하는지 몰랐어요(221p)! 와인은 비건이 기본값인 줄 알았는데....
이 글에 달린 댓글 2개 보기
장맥주
siouxsie님의 대화: 대부분 @장맥주 님이 읽은신 감상과 비슷한 의견인데 와인도 비건 인증을 받아야 하는지 몰랐어요(221p)! 와인은 비건이 기본값인 줄 알았는데....
비건 와인은 저도 이 책 읽으며 처음 알았어요. 근데 솔직히 설명 찾아보니 유난이다 싶네요.
https://www.wine21.com/11_news/news_view.html?Idx=17597
새벽서가
저도 어젯밤에 완독했습니다. 완독했다고 말하기도 부끄러울정도로 날림으로 읽은 느낌이긴 한데, 전체적인 느낌은 별 다섯개에 2.5-3개정도였어요. 한마디로 별로였던 책이었어요. 위에 장맥주님도 쓰셨던데, 요즘 한국 뉴스볼때 느낀 기분을 느꼈어요. 앞뒤 맞지도 않는 말을 자기 입장만 주장하는 듯해서 읽으면서 뭔가를 배운 느낌이 아니라 고구마 먹고 목막힌 느낌이었어요. 다음 책은 사이다같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새벽서가
stella15님의 대화: 맛있으면 장땡입니다. ㅎㅎ
정답!
새벽서가
siouxsie님의 대화: 대부분 @장맥주 님이 읽은신 감상과 비슷한 의견인데 와인도 비건 인증을 받아야 하는지 몰랐어요(221p)! 와인은 비건이 기본값인 줄 알았는데....
저도 몰랐던 사실이라 놀라기도 하고, 굳이 이렇게까지 분류를 해야해? 싶가도 했어요. 저는 시댁에 하드코어 비건이 2명, 베지테리언이 3명이 있어요. 저는 페스카테리언이구요. 강한 육식주의자인 남편, 두 아이들때문에 가끔 고기먹으로 가면 열심히 굽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입니다. 저는 크게 대의를 위해서 제 식단을 바꾼게 아니고 건강을 위한 이기적인 생각으로 바꾼거여서 여전히 가죽가방이나 신을 신기도 하고, 털이 달린 옷도 입습니다. 베지테리언이나 비건이건 아니건 우리가 명심하고 행동해야하는건 타인을 위한 존중과 배려가 기본값이라는 사실이 아닐까 생각해보면서 다음 책으로 넘어갑니다.
siouxsie
장맥주님의 대화: 비건 와인은 저도 이 책 읽으며 처음 알았어요. 근데 솔직히 설명 찾아보니 유난이다 싶네요.
https://www.wine21.com/11_news/news_view.html?Idx=17597
요새 말로 에바네요 ^^;;;
siouxsie
새벽서가님의 대화: 정답!
정말요~ 아;연휴라 알코올의 유혹도 심각합니다.
냉장고에서 종소리가 들리는 듯한....
siouxsie
새벽서가님의 대화: 저도 몰랐던 사실이라 놀라기도 하고, 굳이 이렇게까지 분류를 해야해? 싶가도 했어요. 저는 시댁에 하드코어 비건이 2명, 베지테리언이 3명이 있어요. 저는 페스카테리언이구요. 강한 육식주의자인 남편, 두 아이들때문에 가끔 고기먹으로 가면 열심히 굽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입니다. 저는 크게 대의를 위해서 제 식단을 바꾼게 아니고 건강을 위한 이기적인 생각으로 바꾼거여서 여전히 가죽가방이나 신을 신기도 하고, 털이 달린 옷도 입습니다. 베지테리언이나 비건이건 아니건 우리가 명심하고 행동해야하는건 타인을 위한 존중과 배려가 기본값이라는 사실이 아닐까 생각해보면서 다음 책으로 넘어갑니다.
저도 지금 완독했는데, 이 책은 비건이란 말 빼고 그냥 '모두의 마음챙김' 정도의 힐링책이 더 어울렸을 것 같아요.
비건은 그냥 양념처럼 뿌린 느낌이네요.
(비건찌개 끓이고 싶었는데 관계심리학스튜가 된 듯한)
육식주의 와인이나 마시러 가야겠어요~뾰로롱~
siouxsie
관계는 돌연사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수많은 상처 때문에 죽을 때가 많다.
『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 신념을 넘어 서로에게 연결되고 싶은 비건-논비건을 위한 관계 심리학』 멜라니 조이 지음, 강경이 옮김
문장모음 보기
siouxsie
“ 육식주의는 비거니즘의 반대지만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비거니즘과 달리 정의되지 않는다. 사람들은 비건(과 채식인)들만 식탁에 자신의 신념을 올려놓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요즘처럼 생존을 위해 동물을 꼭 먹어야 하는 게 아닐 때, 육식은 선택 의 문제가 된다. 그리고 선택은 늘 신념에서 나온다. 많은 사람이 돼지는 먹지만 개는 먹지 않는 것은 바로 동물을 먹는 것에 대한 신념 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
『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 신념을 넘어 서로에게 연결되고 싶은 비건-논비건을 위한 관계 심리학』 멜라니 조이 지음, 강경이 옮김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siouxsie
siouxsie님의 문장 수집: "육식주의는 비거니즘의 반대지만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비거니즘과 달리 정의되지 않는다. 사람들은 비건(과 채식인)들만 식탁에 자신의 신념을 올려놓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요즘처럼 생존을 위해 동물을 꼭 먹어야 하는 게 아닐 때, 육식은 선택의 문제가 된다. 그리고 선택은 늘 신념에서 나온다. 많은 사람이 돼지는 먹지만 개는 먹지 않는 것은 바로 동물을 먹는 것에 대한 신념 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
신념까지 간 적도 없고요.
근데 저 8살 때 시골에 갔는데 돼지를 큰 나무에서 빙빙 돌게 하면서 도끼로 찍어 죽인 후 온 마을사람들이 나눠 먹은 적이 있어요. 그 때도 무섭다거나 하는 생각은 무슨.... '숙성 안된 고기를 먹어도 되나'하는 생각뿐이었는데 맛있었어요.
외숙모가 잔인항께 보지 말라고 해서 중간까지만 보다 갔는데 별 감흥이 없던 전....사이코패스였던 걸까요? 아님 정말 사회가 잘못된 것일까요? 300년정도 후면 비건이 주류고 논비건이 고기먹음 지금 개고기 먹는 사람 같은 취급을 당할까요?
siouxsie
“ 자신들이 논비건보다 도덕적으로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비건들도 일부 있다. 이런 생각은 논리적으로 옳지 않을 뿐더러 다른 면에서도 문제적이다. 비건이 되겠다는 선택은 진정성의 실천이며 중요한 윤리적 입장을 반영한다. 그러나 한 개인이 다 른 개인보다 도덕적으로 우월하다는 생각은 착각이며 여러 면에서 역효과를 부른다. 누가 도덕적으로 ‘나은지’ 어떻게 결정할 수 있겠는가? 동물을 먹는 인도주의자가 더 나은가? 아니면 자신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막말을 하는 비건이 더 나은가? 유럽의 저명한 자선가가 인도 빈민층에서 태어나 아동 성노예로 팔려갔더라면 도덕적 귀감이 될 수 있었을까? 만약 그가 양극성 장애에 취약한 유전적 소인을 갖고 태어났다면 어땠을까? 모든 사람은 자신이 손에 쥔 카드로 최선을 다한다. 그리고 도덕적가치에 서열이 있다고 믿든 안 믿든 도덕적 우열을 가리려는 틀로는 어떤 생산적인 결과도 얻기 힘들다. 그러므로 도덕성이라는 틀은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 신념을 넘어 서로에게 연결되고 싶은 비건-논비건을 위한 관계 심리학』 멜라니 조이 지음, 강경이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siouxsie님의 대화: 요새 말로 에바네요 ^^;;;
그런 말씀 하시면 멜라니 조이 여사님이 근엄하게 비건들의 트라우마를 고려하지 않는 잘못된 행동이라고 한 말씀 하실 거 같습니다. ^^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