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동생 윌에게 쓴 편지입니다. 글을 쓰기 위해 공부하는 대신 사랑에 빠지라고 조언하네요. 공부는 사람을 둔하게 만들 뿐이라고요.
많이 느끼고 많은 재미를 느끼고, 건강을 돌보고 힘을 기르고 강하게 살아가는 것이 최고의 공부라고 안내하네요.
자신으로 충분하다, 자꾸 밖에서 무언가를 넣어야 하는 부족한 존재가 아니라고 말해주고 싶었던 것 같아요.
[편지큐레이터와 편지책 읽기] 1.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를 읽어요.
D-29
구름마음
편지큐레이터
@구름마음 여동생 윌에게 쓴 편지 좋네요. 사랑에 빠지라!고 해주는 오빠라니. 빈센트의 편지를 읽다보면, 그가 사랑이 넘치는 사람이었구나... 생각될때가 많은데, 이 편지를 보니 그런 마음이 드네요.
구름마음
저는 위즈덤하우스에서 출판한 <반고흐, 영혼의 편지>를 읽고 있습니다. 오늘은 1880년 7월에 테오에게 쓴 편지를 읽었어요. 자신을 새장에 갇힌 새에 비유하는 고흐의 마음이 얼마나 답답했을지. 한편으로 이렇게 자기의 마음에 대해서 글을 쓰는 과정이 있었기에 고흐가 어려운 시간을 견뎌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내 안에 무엇인가 있다. 그곳이 도대체 무얼까?"p.24
편지큐레이터
@구름마음 님의 글을 읽고, 저도 이 책을 펼쳐봤어요. 오래전에 읽었는데 밑줄이 많은 편지네요. '새장에 갇힌 새'라는 제목아래 있는 편지지요? 구름마음님의 글을 읽다가 빈센트가 어떤 마음으로 이 편지를 썼을까 궁금해서 다른 편지책과 평전을 좀 살펴봤어요.
이 편지를 쓰기 전에 오랫동안 테오와 연락을 안했던 상태였나봐요. 빈센트의 편지 800여통이 번역된 책을 보니 이 편지를 쓰기 전 약 1년 전쯤에 편지가 있었네요. 1년이나 편지를 쓰지 않았나 싶은데, 다른 판본에도 그 무렵에 쓴 편지가 없는 걸 보면, 오랫동안 편지를 쓰지 않긴 했나봐요. 그래서 '오랫동안 여러가지 이유로 침묵을 지켜왔는데, 어쩔 수 없이 펜을 들었다.'라는 문장을 썼나봅니다.
가족들에게서 어떤 질타(?)를 받았던 시기였나봐요. '밥벌이'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었을까 싶네요. 앞으로 뭘해야할지 고민하는 그런 방황의 시기였었나봐요. 아무것도 할 수 없어서 새장 속에 갇힌채 머리를 박는 새처럼... 자신이 그래보였던 때였나봅니다.
구름마음님이 소개해주신 편지를 읽으니 마음이 짠...해지네요.
똘망초록
저는 예담 출판사의 <반고흐 영혼의 편지>를 읽습니다. 전에 중고도서로 구입한 것이라 개정판이라곤 해도 커버가 좀 오래된 느낌은 있지만 워낙에 안에 담고 있는 글과 그림들이 반짝거리니까요.^^
저는 이 책 기준 p22 테오에게 쓴 편지 중의 다음 구절이 인상깊었답니다.
‘어쩌면 네 영혼 안에도 거대한 불길이 치솟고 있는지도 모르지. 그러나 누구도 그 불을 쬐러 오지는 않을 것이다. 지나치는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것이라곤 굴뚝에서 나오는 가녀린 연기 뿐이거든. 그러니 그냥 가버릴 수밖에.
그렇다면 이제 어떻게 해야 할까? 힘을 다해 내부의 불을 지키면서, 누군가 그 불 옆에 와서 앉았다가 계속 머무르게 될 때까지 끈질기게 기다려야 할까? 믿는 마음이 있는 사람은 빠르든 늦든 오고야 말 그때를 기다리겠지.’
제 아무리 내가 품고있는 예술에 대한 열망과 열정, 그리고 재능이 거대한 불길같다 하여도 남들이 보기엔 고작 굴뚝의 연기정도로밖에 보여지지 않는 현실. 그 불길을 제대로 알아봐주는 사람이 경제적으로 그 믿음을 보여줘야만 불씨가 꺼지지 않을 수 있는 그의 처지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문장들이었습니다. 어쩐지 처연한 마음이 드는 것은 어찌할 도리가 없었답니다.
편지큐레이터
@똘망초록 님이 올려주신 편지를 읽으면서, 빈센트는 정말 글을 잘 쓰는 사람이었다는 걸 다시 한 번 느끼게되네요. 어쩜 자신의 생각을 이렇게 글로 잘 표현할 수 있었는지... 화가가 아니라 글쓰는 작가를 했어도 좋았을 것 같아요. (저도 이 책 있어요. 오래된 개정판이요. 소곤소곤)
가을엔
전 책이 너무 커서 시댁에 못가지고 내려왔어요. ㅋㅋ
그래서 도서관에서 빌린 책을 먼저 읽습니다.
<빈센트 반 고흐 영혼의 그림과 편지들>
그가 새해에 쓴 편지 중 테오에 게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 추천하는 법이 있어서 짧게 남겨봅니다.
항상 여기저기 거닐어 산책을 많이 하고, 자연을 한껏 사랑해라. 그게 바로 예술을 오롯이 진정으로 이해하는 길이야. 화가는 자연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이지. 그리고 우리에게 자연을 바라보는 법을 알려줘. (P.20)
편지큐레이터
@가을엔 저도 이 편지 좋아해요. 아, 이 편지가 새해에 쓴거였네요. 지금 책상에 있는 책을 펼쳐보니 1874년 1월에 쓴 걸로 나오네요. (예담 출판사본을 펴봤어요) 새해에 누군가에게 편지를 쓰면서 '산책을 많이 하고 자연을 한껏 사랑하라'고 쓸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더불어... 가을엔님과 제가 읽는 그 커다란 책에는 저 편지가 없 어요. ㅋㅋ 그 책에는 1875년 편지부터 나오더라고요. ^^ 시댁 잘 다녀오세요~
편지큐레이터
제가 읽고 있는 책은 <빈센트 반 고흐 Vincent van Gogh (아몬드꽃 표지) - 그림과 편지로 읽는 고독한 예술가의 초상>입니다. 첫 편지는 네덜란드어로 쓴 편지에요. 빈센트가 쓴 25번째 편지랍니다.
빈센트는 편지를 쓸 때 영어,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중에서 하나로 썼어요. 그래서 어떤 번역본들에는 편지 번호와 어떤 언어로 썼는지도 표시가 되어 있답니다. 제가 읽고 있는 책에는 번호만 나와 있는데요, 다른 판본을 찾아보니 이 편지가 네덜란드어로 썼다고 해요.
편지와 함께 작은 데생을 동봉한다는 내용이고요, 하숙집 여주인 딸이 죽던 날 아침에 그린 그림이라고 소개하고 있어요. 책 에는 편지의 한 부분만 발췌되어 나와 있는데, 완역본을 찾아보니 이 편지와 함께 읽고 있는 시를 소개하는 글을 썼네요. 에드몽 로슈의 시집 속에 있는 시를 몇 개 소개하고 있답니다.
제가 읽고 있는 책과 참고로 살펴보고 있는 책(완역본) 사진을 올려볼게요.
(왼쪽 : <빈센트 반 고흐 Vincent van Gogh (아몬드꽃 표지) - 그림과 편지로 읽는 고독한 예술가의 초상>의 첫 번째 편지
오른쪽 : <초판본 빈센트 반 고흐, 영혼의 편지들 세트> 입니다. 펀딩에 참여했더니 편지지 사진까지 함께 왔더라고요.)
냥이랑책읽기
제가 읽고 있는 책은 이승재님이 번역한 <빈센트 반 고흐, 영혼의 그림과 편지들> (더모던, 2023년 2쇄)인데, 책의 말미에 연대기가 정리돼 있고, 중간중간 150여점의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들이 실려 있습니다.
10년 간의 짧은 화가 생활 동안 그려진 900여점의 많은 그림들 중 일부이긴 해도, 그림의 변화를 고흐 개인의 고단한 삶의 여정이 느껴지는 편지와 함께 살펴보고 있습니다. 편지글의 필체를 볼 수 없는 인쇄판본이라 다소 아쉬운 감이 있는데, 그래도 제 마음에 와닿는 글이 있어 일부를 소개합니다.
(P.370에 실린 편지로서 1890년 6월13일자로 어머니께 보내는 글입니다.)
어머니 편지에, 뉘넌을 다시 찾은 뒤 '한때는 내 것이었다는 데 감사할 따름'이고 이제는 전부 남들에게 남겨두고 와서 마음이 편하시다는 구절을 읽으며 뭉클했습니다.
마치 어두운 유리창을 들여다보듯, 그렇게 희미할 따름이지요. 삶, 헤어짐과 죽음, 끊임없는 걱정들의 이유를, 우리는 어렴풋이 이해할 뿐입니다. 제게는 삶이 내내 외로운 길 같습니다. 제가 그토록 애정을 갖고 대했던 사람들이 다 그렇게 유리창 너머로 어렴풋하기만 합니다.
하지만 또 그래서인지, 요즘은 제 그림 작업이 전보다 더 균형이 잡히는 듯합니다. 그림도 그 자체로 하나의 세계입니다. 작년에 이런 글을 읽었어요. 책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일은 아이를 낳는 것과 같다고요. 늘 출산이 가장 자연스럽고 최선인 행위라고 생각해 왔습니다만, 그래서 비록 세 행위 중에서 가장 이해받지 못하는 일을 하면서도 최선을 다합니다. 제게는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유일한 끈이기 때문입니다.
----
이 편지는 빈센트가 사망하기 한달여전의 그의 심리를 잘 표현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두운 유리창을 들여다보듯, 삶은 늘 어렴풋하고 외롭다는 그의 말이 제게 울림을 줍니다. 그러면서도 최선을 다해 그림에 열중하는 그의 모습을 바로 옆에서 보듯 상상하게 됩니다.
빈센트에게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유일한 끈이 그림이었다면, 제게는 어떤 가치나 존재가 간절한 것인지 스스로에게 다시 물어봅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