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북강녕님의 대화: 2.2~2.7 (6일) 4부 및 옮긴이의 말
연휴의 끝자락, 먹고 노느라 진도 빼는 것도 잊고 있었네요 :)
📝 4부 미션
▶ 결론적으로 인간의 고통스런 문제 대부분은 사실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사실에 대한 나름의 해석으로부터 온다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의 마음을 혼란시키는 것은 사건 자체가 아니라, 사건에 대한 그들의 판단이다."
- 옮긴이의 말 中
<붉은 낙엽>에서 에릭을 혼란에 빠뜨린 것은 키이스가 연루된 사건 자체가 아니라, 이 사건을 마주한 에릭의 트라우마, 나쁜 가족의 기억을 지우고 좋은 가족을 꾸리고 싶었던 그의 이상에 현실을 맞추지 못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에릭은 일견 매우 신중하고 분석적인 사람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직관적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것을 놓친 것 같아 아쉽습니다
여러분은 이 작품의 결말이 마음에 드시나요? 바꿀 수 있다면 어떤 결말이 좋을까요? 작가가 되어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시간입니다 자유롭게요~!
▶ 마음에 드시는 문장이 있다면 언제든 '문장 수집'으로 나눠 주세요
각 부의 프롤로그(?)에서 이미 정해진 파멸의 기운이 가득했죠 ㅠ 신기한 건 책을 읽을 때는 그래 이럴 줄 알았지 싶었던 (담담한, 예정된) 파국이 무대에서 연기자들에게 다가올 때는 좀 더 안타까웠어요. 책을 읽어갈수록 의심에서 비롯된 진실에의 집착으로 자기와 가족 을 망가뜨린 에릭이 너무 찌질해서 싫었는데 연극까지 보고 나서는 사랑했던 아내, 사랑했던 아들과 다시 '가족'이 되는 희망이라도 남겨주시지 싶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3부 미션의 답을 해보자면 전 붉은 낙엽이 추리소설의 형태를 빌려 극한으로 인간을 몰아붙여 무너지는 과정을 담아낸 비극소설이라고 생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