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채식지향인’입니다. 살면서 준채식 생활을 두 번 시도했는데 두 번 다 실패했고, 가끔 고기도 먹는 형태로 세 번째 시도 중입니다. 개를 사랑하고 공장식 사육을 반대하지만 고기를 못 끊고, 그런가 하면 비건‘주의’에도 확신은 없습니다.
준채식 생활 경험과 음식 윤리, 동물권에 대한 생각을 담은 에세이를 2025년 하반기에 낼 예정인데, 그 전에 12주 동안 아래 책들을 빠르게 읽어보려고요. 안 읽은 책들이라 수준이 어떤지 장담 못합니다(제가 읽은 책 중에서는 할 헤르조그의 『우리가 먹고 사랑하고 혐오하는 동물들』과 셸리 케이건의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 윤지로의 『탄소로운 식탁』을 추천합니다).
아래 일정으로 읽어보려고 합니다. 깊이 있는 토론을 하면서 읽을 거 같지는 않네요. 완독에 의의를 두고, 전자책으로 읽으면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들을 캡처 이미지로 올리는 정도일 것 같습니다. 모임 기간은 보름씩으로 하되, 목표는 7일 동안 한 권씩 읽는 것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함께 해주셔도 좋습니다.
1. (1/1~1/7) 채식의 철학 / 토니 밀리건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188
2. (1/8~1/14) 채식의 배신 / 리어 키스
읽는 중입니다. https://www.gmeum.com/meet/2213
3. (1/15~1/21)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 브라이언 케이트먼
4. (1/22~1/28) 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 멜라니 조이
5. (1/29~2/4) 어떻게 먹을 것인가 / 캐롤린 스틸
6. (2/5~2/11) 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 / 마르타 자라스카
7. (2/12~2/18) 죽음의 밥상 / 피터 싱어, 짐 메이슨
8. (2/19~2/25)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9. (2/26~3/4)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김태권
10. (3/5~3/11) 물건이 아니다 / 박주연
11. (3/12~3/18) 비만의 사회학 / 박승준
12. (3/19~3/25) 지속가능한 삶, 비건 지향 / 미지수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③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브라이언 케이트먼)
D-29

장맥주모임지기의 말

장맥주
리듀스테리언(reducetarian)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저는 이 책 덕분에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별별 신조어가 다 나온다는 생각도 들고, 리듀스테리언의 지향점이 그나마 저한테는 실천가능하겠다 싶기도 합니다. 잘 읽어보겠습니다.
하느리
1부를 방금 막 다 읽었는데요, 앞에 읽었던 '채식의 철학'보다 훨씬 빠르게 진도가 넘어가요. 약간 역사책과 과학책의 혼합처럼 느껴집니다😃

장맥주
오, 희소식이네요. <채식의 철학>은 병원에서 주는 음식 같은 느낌이었고 <채식의 배신>은 짜릿하고 수상한 길거리 음식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두 책 다 잘 먹긴 했습니다만. ^^

장맥주
“ 각각의 견해를 지지하는 이들은 모두 현재의 공장식 농장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는 동의하지만, 이는 동시에 합의의 종결점을 의미하기도 한다. 불행히도 선의의 활동가들로 이루어진 사회는 내전 직전의 아슬아슬한 위기에 처해 있다. 그 이유는 우리가 미래의 ‘이상적’ 육류에 대한 합의를 이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 나와 지구를 지키는 희망의 약속』 머리말, 브라이언 케이트먼 지음, 김광수 옮김
문장모음 보기
비온트랙
저도 두 번의 채식 도전을 했지만... 결국은 가끔 고기를 먹는 형태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사실 채식 관련 다큐나 책을 보기가 두려웠는데 함께 읽어볼게요!

장맥주
저도 비슷합니다. 환영합니다! ^^
하느리
“ 애초에 무엇이 우리 선조들로 하여금 사냥해서 육류를 먹게 만든 것일까? (중략) 과거에 흔했던 먹거리들이 부족해지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초기 인류가 그저 생존의 한 방편으로서 육류를 먹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 나와 지구를 지키는 희망의 약속』 브라이언 케이트먼 지음, 김광수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 차로 돌아오는데 정육 시설 외벽에 그려진, 목초지를 자유로이 거니는 돼지들을 밝고 다채로운 색상으로 묘사한 벽화가 눈에 띄었다. (중략) 내가 본 돼지들은 삶의 마지막 몇 시간을 공포에 떨어야 했을 뿐 아니라 과거의 모든 순간들도 공장식 농장의 공포 속에서 견디며 살아야 했을 것이다. ”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 나와 지구를 지키는 희망의 약속』 브라이언 케이트먼 지음, 김광수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 과학자들은 닭들이 공장식 농장 환경에 적 응하도록 하기 위한 행동 수정에 나섰다. 이때부터 닭들은 쪼기와 단거리 날기 같은 기본적인 행동 표현조차 기피하는 한편 긴장성 무저항에 가까운 상태로 짧아진 수명을 살게 되었다. ”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 나와 지구를 지키는 희망의 약속』 브라이언 케이트먼 지음, 김광수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치킨만은 포기할 수 없었는데... 포기해야 할 이유가 너무 명확해서 슬프네요.

장맥주
2번 먹을 걸 한 번으로 줄이는 건 좋은 일 아닐까요...? ^^;;;
하느리
책 제목대로 절반만 먹을게요... 두 번 세 번 생각해도 치킨은 포기 못하겠어요😂😂

장맥주
저희는 앞으로 리듀스테리언인 겁니다.

siouxsie
네?! 찾아 봤어요. 저도요!
근데 그냥 우리 '간헐적 채식주의자'하면 안 돼요? ㅎㅎㅎ 의미가 초콤 다르지만요

장맥주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볼까요? 윤리적 잡식주의자...? 이 책 저자는 리듀스테리언이라는 용어를 만들어서 쏠쏠히 재미(?)를 본 거 같지 않습니까? 너무 시니컬한가... ^^

siouxsie
@장맥주 님이 한국어로도 만들어 주세요~
근데 제가 잡식은 맞는데 그닥 윤리적이지 않아서 망설여지네요. ㅎㅎㅎ
공장식 축사에서 반인륜적으로 키워지는 동물들이 불쌍하기도 했지만, 정신적 육체적으로 혹사 당한 생명체를 먹기 싫었던 게 더 컸거든요. 그런 마음이 드는 제 자신에게 '나는 왜 이렇게 인간이 간장종지 사이즈인가'란 생각이 들며 또 환멸에 빠졌지만, 이미 든 생각을 바꿀 수는 없었어요. ㅜ.ㅜ
'고기 절반만 먹겠습니다.'도 개인적으로 맘에 듭니다. 제 전체 먹는 양도 리듀스가 됐으면 좋겠네요!

장맥주
저도 기왕이면 준채식을 하면서 제 몸도 건강해지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그 정도 사욕은 좀 챙겨도 되지 않을까요? ^^;;; 저도 정신적 그릇은 간장종지만 한데, 위장은 커다란 사발 정도 크기인가 봐요. 고기 섭취도 줄이고 다른 음식 섭취도 줄여야 하는데...

장맥주
공장식 충식이라면 양심의 가책도 덜하고 맛도 좋고 건강에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듭니다. 전에 한 아파트 사는 주민이 메뚜기 농장을 하시는 분이어서 샘플 요리를 주민들에게 먹게 했는데 꽤 맛있더라고요. 양식 새우 같은 음식도 가책 없이 먹어도 되지 않나 싶네요.

siouxsie
저 첨에 중식으로 읽고 응?했는데 충식이라뇨!
으아아아악~~미래식이란 이야기도 들었던 것 같은데 전 타임머신 타고 과거로 돌아갈래요!

장맥주
엇. @siouxsie 님이 이렇게 격한 반응을 보이실 줄이야... 저는 정말 거부감이 크지 않거든요. 바퀴벌레로 만든 양갱이라고 하면 쉽게 손 못 댈 거 같기는 한데, 원래 모양 잘 드러나지 않게 메뚜기나 애벌레로 만든다면 의향 있습니다. 새우 볶음이나 번데기 요리랑 크게 다른 거 없지 않을까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