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장 좋았죠... 찡~~
[박소해의 장르살롱] 22. 한국추리문학상 대상 <타오>를 이야기하오
D-29
박소해
화제로 지정된 대화
무경
뒤늦게 짧은 감상 남깁니다. 요즘 제 오랜 업보(=원고)에 시달리고 있어서... 라는 핑계로 게으르게 있다가 이제야 왔네요^^;
처음 <타오>를 완독하고서, '이런 작품이 한국에서도 나올 수 있다!'라는 생각부터 했습니다.
'한국 추리소설을 왜 읽지 않는가?'라는 오랜 질문이 있지요. 거기 제시되는 대답 중, '한국 추리소설의 수준이 외국 것만 못하기 때문'이라는 말이 자주 나옵니다. 이건 참, 한국에서 추리소설을 쓰는 작가로서는 차마 긍정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는 답이었습니다.
하지만 <타오>를 읽고서는 위의 대답을 당당히 부정할 날이 멀지 않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치밀하고 담담한, 그러면서도 힘 있는 전개는 무척 놀라웠습니다. 수준 높은 작품을 읽는다는 고양감이 들었습니다. '한국 추리소 설 중 읽어볼 만한 게 뭐가 있냐'라고 누군가 제게 질문한다면, (제 걸 제외한다면) <타오>를 1순위로 권할 것 같습니다.
김세화 작가님께 질문입니다. 작가님은 오지영 형사과장 시리즈를 대구를 배경으로 삼아서 쓰고 계시지요. 특정한 지역을 배경으로 창작을 하는 작가로서 어떤 좋은 점과 나쁜 점이 있을지 듣고 싶습니다.
김세화
과분한 평 감사합니다. 무경 작가님 생각에 공감합니다. 얼마 전에 우리 작가의 추리소설을 읽었습니다. 저와는 스타일, 관점, 주제의식, 소재의 성격 등 모든 것이 다르지만, 매우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최근에 읽은 미국의 유명 추리작가,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가 쓴 작품들보다 몰입도가 훨씬 높았습니다. 물론 유럽과 미국, 일본 작품이 양과 질에 있어서 압도적인 것은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우리 작품이 수준 이하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너무나 아쉬운 대목인데 제가 보기에 무경 님을 비롯한 요즘 젊은 작가들을 보면 우리 작품이 그들 나라에서 베스트셀러가 되고 작품성으로도 높이 평가될 날은 얼마 남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대구의 이야기를 모티프로 삼고 있지만 대구를 무대로 쓰지는 않았습니다. 대구를 장소로 한다, 안 한다는 별 의미가 없는 것 같고 다만 대구의 성격을 직접 겨냥해 하는 이야기는 구상 중인데 이는 다른 지역과의 연관 관계 속에서 전개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경우 대구에 대해 공부를 하고는 있는 만큼 상대적으로 깊숙한 내용을 꺼내는 것이 용이할 것 같습니다. 제가 살지 않는 지역이라도 연구를 많이 했다면 얼마든지 그 지역과 관련시킨 작품을 쓸 수 있다고 봅니다.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처럼 말입니다. 물론 저와는 다른 차원의 작가님이지만 말입니다.
만렙토끼
대구에 거주하고 있어서 작가님이 구상 중인 이야기에도 관심이 가네요.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챠우챠우
<(너무늦은)사전질문>
Q13. 소설 제목인 '타오'라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가 책을 한참 읽다가 슬쩍 나오는 게 너무 마음에 들었습니다. 혹시 다른 제목 후보도 있었나요? 궁금합니다.
Q14 언론사를 공장으로 지칭하는 건 내부에선 오래된 관행인가요? 왜 공장이라고 부를까 매번 들을때마다 신기하긴 합니다.
챠우챠우
Q13 에 덧붙이는 말입니다. 기부자 명단에서 타오가 처음으로 슬쩍 나올 때, 작가님이 왠지 이런 마음이셨을 것 같았습니다. '타오 나왔다 이 녀석들아, 앞으로 잘 찾아봐라'
김세화
타오라는 이름이 슬쩍 나오는 게 마음에 드신 점, 감사합니다. 저도 차우차우님 같은 독자님들의 반응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습니다. 사실 타오는 처음부터 등장하지만, 이름은 중간에 나오고, 그 이름을 발견하는 순간 독서 속도가 빨라질 것이다, 이것이 제가 노린 점이었습니다. 실제로 그런 반응을 해주시니 기쁘고 반갑습니다.
처음 계획한 이름은 <그들이 나를 죽였다>였습니다. 타오의 입장에서 말한 것이죠. 그런데 '타오'의 스토리를 보강하는 과정에서 <타오>를 제목으로 정했습니다. 대체 타오가 뭐지? 궁금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히가시노 게이고의 <당신이 누군가를 죽였다>는 소설이 먼저 나온 점도 제목을 바꾸는 데 일조했습니다.
만렙토끼
@김세화 오, 타오의 뜻을 전혀 모른 상태에서 글을 읽었는데, 정말 궁금증을 유발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들이 나를 죽였다 로 나왔다면 왜 죽였는지 어떻게 죽었는지에 집중 했을 것 같은데 제목 덕분에 타오라는 인물 자체에 더 집중 한 것 같아요. 제목이 가진 힘이 신기하네요
김세화
14번 질문을 뺐군요. 언론사뿐만 아니라 많은 직업군이 자기 직장을 '공장'이라고 합니다. 관행 정도는 안 되는 것 같아요. 약간 건방 떠는 태도가 아닌가, 저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김세화
의사들이 병원을 공장이라고 하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저는 수사기관에서 쓰는 경우를 자주 들어보았습니다. 지금 젊은 분들은 '공장'이라는 말을 쓰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장맥주
아... @챠우챠우 님이 의사 선생님이셔서 여쭤본 것입니다. ^^;;; 저도 형사 분들이 쓰시는 건 들어봤습니다. 형사 분들은 '회사'라는 말도 쓰셨던 거 같습니다.
박소해
존 르 카레는 스파이 회사를 '서커스'라고 부르기도 했죠. :-)
장맥주
오... 멋진데요. 존 르 카레가 썼다니 실제로도 그렇게 부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좀 드네요.
박소해
존 르 카레가 자신의 소설에서 사용했던 용어들 중에 일부는 나중에 실제 스파이 용어로 굳어졌답니다. 허구가 실제를 이긴 사례이죠. 대표적인 용어로는 '허니 트랩'(미인, 미남계)이 있지요... 호호호;;; (이건 르카레 팬이어서 주절주절;;;;)
장맥주
럴수럴수 이럴수가...! 재미있는 정보 감사합니다. 실제로 스파이였던 사람이 지어낸 용어가 실제 스파이 업계에서 쓰이게 되다니. 희한하네요.
박소해
<세계 추리소설 필독서 50>(센시오 출판사)의 존 르 카레 칼럼에 제가 써놨답니다. (깨알 홍보) ㅎㅎ
미스와플
아! 그렇군요! 장바구니에 있는데 당장 주문해야겠습니다.
박소해
꺄 고객님!
김세화
<50>은 추리소설사의 흐름을 따라 대표작을 소개해 놓았습니다. 저도 참고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