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태어니면서부터 이성을 가진 게 아니라 나중에 이성을 가진 인간 주변의 영향으로 이성적으로 키워지는 것 같다.
마광수의 인문학 비틀기
D-29
Bookmania
Bookmania
뭔가의 주변의 영향을 받아 쓴 글은 가치가 없다. 차라리 뭔가 모르고 그냥 본능에 따라 쓴 글이 진짜 좋은 글이다.
Bookmania
성욕 같이 글로 어떻게 해도 안 되는 현실적인 행위를 무시하면 안 된다. 그냥 그렇구나 하고 인정해야 한다. 인간은 나약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Bookmania
현실에선 언제나 불만족이지만
자신에게도 남에게도,
인간에게 무슨 위대한 행위를 바래선 안 된다.
인간은 상대적 존재이지 절대적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내게 옳은 것은, 남에겐 그를 수 있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인간이 변덕이 심하고 불안하니까 현실에서 그걸
찾으려는 것뿐이지 아직까지 확정된 진리는 없다.
진리는 항상 유동적이라는 것만이 진리다.
그리고 가상에서나 가능한 것을 현실에서
펼치려고 하면 꼭 사달이 난다.
그러면 자기도 불행해지고, 남에게도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한 마디로 나약하고 불완전한 존재가 인간이다.
알고 보면 별것도 아닌 게 인간이고 인생이다.
그런데도 인간은 참으로 오만방자한 동물이다.
자기가 뭔데 무분별하게 자연을 파괴하고,
잔인무도하게 동물들을 학대하나.
지구의 주인이라도 되나?
이런 걸 알고 좀 겸손해지면,
남에게서나 자신에게서나 불행을 초래하지 않고
어느 정도 만족하며, 자아만 실현한 채 평생 나름대로
즐겁게 살아갈 수 있다.
현실에선 불가능하지만,
펼치고 싶은 것을 공상하거나 허공에서 펼치면 된다.
거기선 자기 마음대로 하는,
만족한 삶을 얼마든지 누릴 수 있다.
그런다고 누가 뭐라지도 않는다.
어차피 현실에선 어떻게 해도 만족을 못 한다.
현실에선 언제나 불만족이지만 아쉬움을 남긴 채로
그럭저럭 사는 게 진짜 인생이다.
삶은 똑 떨어지는 게 없다.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있는, 불가지론(不可知論)에 가깝다.
정의 내리는 순간 또 하나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면 누군가에 의해 반드시 집중포화를 받게 되어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그게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 삶을, 상대적이라고 하는 것이다.
흐지부지되면서 흘러가다 보면 어느새 죽을 날이 앞에서
나를 기다리고 있는 게 생의 하드보일드한 모습이다.
누구도 불만족을 다 채울 수는 없다.
가능하지도 않다.
자기는 그럴 순 없다며, 자기 불만 다 채우려고 들면
현재 미친, 정신병자-참칭(僭稱)하는-왕처럼
되는 것도 시간문제다.
현실의 불만족을,
자기만의 허구를 만들어서 거기서 펼치면 된다.
누구에게나 상상은 자유이고, 오히려 그러면
현실에서도 그런대로 만족할 수 있고,
남에게도 피해를 주는 일은 없을 것이다.
공상에서의 것을 현실에서 실현하려고 하면
문제가 되지만, 그 반대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건 현실에서의 못된 짓을 예방하는 역할도 한다.
그것으로 대리만족하기 때문이다.
Bookmania
책을 좋아한다면
책 읽는 걸 자랑하거나 여러 권 읽었다고 떠드는 사람은
책을 좋아하는 게 아니라
책 읽는 자신을 남에게 자랑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그리고 책을 어디에 두었는지 모르는 것도
진정으로 책을 좋아하는 게 아니다.
좋아하면 지금 책이 어디에 어떻게 있는지
항상 의식해서 알기 때문이다.
진정으로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항상
군인이 소총을 끼고 사는 것처럼
항상 휴대하고 자기 몸과 함께 움직인다.
Bookmania
뭔가 깊이 생각하면서 자면 그게 꿈에서도 나타나고 자고 일어나서도 그게 머리에 남아 있다. 그래 푹 잠자려면 아주 아무 근심없이 평온한 상태에서 잠에 드는 것이다.
Bookmania
일본 섹스는 근친상간이 많이 나온다.
Bookmania
마광수는 결혼이 없이 프리섹스를 옹호한다.
Bookmania
기독교는 생식을 위한 최소한의 섹스만 주장한다.
Bookmania
남자에겐 제비가 있고 여자에겐 꽃뱀이 있다.
Bookmania
일본 AV를 보면 여자가 때리는 경우도 있지만 남자들이 대개는 여자를 더 괴롭힌다.
Bookmania
'정상적인 삽입 성교'
Bookmania
인간은 현실에서 이상을 만들려고 한다. 불안하니까 움직이지 않는 걸 만들려는 것이다. 그런 형태가 없어서 인간이 이루기 불가능한 것이다.
Bookmania
현실은 인간이 만든 이상으로 가지 못한다.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Bookmania
공부를 많이 한 인간들은 자기가 그랬으니까 자기 편을 많이 만들려고 한다. 인간이 모두가 다 그렇다. 자기 위주다.
Bookmania
마광수는 중국을 서양보다 더 좋아하는 것 같다.
Bookmania
마광수는 정신은 자연스러운 것을 주장하고 형식은 인공적인 것을 주장한다.
Bookmania
마광수는 정신 중에도 이성보단 예술가답게 감각이나 감성을 더 중히 여긴다.
Bookmania
인간은 변덕스럽고 불안하니까 현실에서 꾸준히 움직이지 않는 절대 진리를 찾아 헤맨 것 같다.
Bookmania
인간 세상에서 확정된 진리는 없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