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손바닥이 미조구치의 눈을 가리는 장면이 기억에 남습니다. 엄마에 대한 양가 감정도 이해가 가고요. 미조구치 옆에 마음을 알아주는 쓰루카와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달의 고전] 1월 『금각사』 함께 읽어요
D-29
링곰
링곰
“ 내가 말을 더듬으며 주저하고 있는 사이에 쓰루카와의 손이 내 감정을 뒤집어서 외부로 전해준다. 이러한 놀라움에서 내가 배운 것은, 단지 감정에 머물러 있는 한에는 이 세상의 최악의 감정도 최선의 감정도 차이가 없다는 것, 그 효과는 마찬가지라는 것, 살의도 자비도 겉보기에는 다를 바 없다는 것 등이었다. ”
『금각사 (무선)』 p.85, 미시마 유키오 지음, 허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sunflower
소년의 눈을 가린 아버지의 손바닥, 그리고 그 손바닥 안에서 가볍게 얼굴을 끄덕이는 소년. 사라지는 손바닥, 그리고 완고히 감은 두 눈. 머릿속에 오래 머물렀던 장면이었습니다. 어머니를 증오하면서도 어머니의 야심에 공감하고 그 마음에 사로잡힌 주인공의 모습도 인상적이었습니다. 금각을 그토록 좋아하면서도 교토에 공습이 없을 거란 말에 실망하는 주인공의 마음도 흥미로웠습니다. 3장에서는 탄력있는 여자의 배가 나오는군요 . 작가는 아무래도 금각과 함께 여자 이야기를 하고 싶어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링곰
“ 나는 힐끗 그 파란 자국을 보고 불안을 느꼈다. 이 소년은 나 같은 인간과는 달리 생명의 순결한 말단에서 불타고 있었다. 타오르기 전까지 미래는 숨겨져 있는 것이다. 미래의 등심(燈心)은 투명하고 차가운 기름 속에 잠겨 있었다. 누가 자신의 순결과 순수를 예견할 필요가 있겠는가? 만약 미래에 순결과 순수 이외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면. ”
『금각사 (무선)』 p.102, 미시마 유키오 지음, 허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함께읽는사람
저도 3장에서 가장 인상 깊은 사건은 개장 전 구경을 온 미국 병사와 동행한 여인의 배를 밟은 일인데요. 미조구치는 자신이 행한 악의 행위를 불가사의하다고 이야기합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4장
120~156쪽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6357_2024_12_24_11_07_25_556.jpeg)
아침서가
먼저 읽은 설국에 비해 분량도 그렇지만 꽤나 스토리가 느껴진다고 생각하며 읽고 시작했어요. 그런데 읽다 보니 이야기가 진행된다는 느낌보다는 언뜻 상관없어 보이는 일화들이 툭툭 나타난다는 느낌이었는데 그런 일화들과 등장하는 인물들은 그 자체로 중요하기보다는 미조구치가 자신의 존재를 새로이 인식하게 하는 계기, 점점 확고히 하게 되는 계기로서 존재한다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그 점이 흥미롭기도 하면서, 동시에 조금 지루함을 느끼고 있기도 해요. 이 소설에 대한 사전 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시작해서 후반에 이르렀을 때 미조구치가 어떤 인물이 되어있을지가 궁금합니다.
링곰
입학 당시부터 가시와기를 주목했던 데에는 이유가 있다. 그의 불구가 나를 안심시켰던 것이다. 그의 안짱다리는 애당초 내가 처해 있는 조건에 대한 동의를 의미하고 있었다.
『금각사 (무선)』 p.135, 미시마 유키 오 지음, 허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링곰
내가 일개의 육체, 일개의 욕망으로서 완성된다는 사실, 그것은 내가 투명한 것, 보이지 않는 것, 즉 바람이 되는 일이었거든.
『금각사 (무선)』 p.145, 미시마 유키오 지음, 허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sunflower
안짱다리를 자신의 정체성으로 내세우며 부잣집 딸의 아름다운 육체를 거부하고 늙은 노파를 탐하는 가시와기를 보며 생뚱맞을 수도 있지만 얼마 전 송지은과 결혼한 유튜버 박위가 떠올랐어요. 하반신 마비인 박위가 가시와기처럼 자신을 장애인 프레임 속에 가두었다면 결코 그런 미인을 사랑할 수 없었겠죠. 어떻게 보면 주인공의 말더듬이나 가시와기의 안짱다리나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겠다고 생각되지만 대학생 나이의 어린 청춘들에게는 굉장히 중요한 문제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나저나 가시와기, 정말 이상한 여성관이네요. 이해할 수 없지만 세상에는 이런 사람도 있을 수 있겠거니...하고 넘어가 봅니다.
함께읽는사람
“ 노사의 무언에 대항하여 고백도 않고 버텨온 나는 '악이 가능할까?' 하는 문제 하나만을 시험해왔던 것으로 생각된다. 만약 내가 마지막까지 참회를 하지 않는다면 아주 조그만 악이라도 악은 이미 가능해진 것이다. ”
『금각사 (무선)』 p.130, 미시마 유키오 지음, 허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함께읽는사람
4장에서 미조구치는 대학에 진학하고, 안짱다리 가시와기라는 친구를 사귑니다. 미조구치와 쓰루카와를 자신의 양화라고 여기는 것과 반대로 가시와기는 흔히 말하는 '나쁜 친구'인 것 같아요. 앞장에서 나왔던 여자의 배를 밟은 사건의 의미가 미조구치의 입을 통해 선명해집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5장
158~194쪽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5460_2024_07_03_08_58_20_876.jpg)
고벽돌
시대적 맥락으로만 <금각사>를 바라보는 것은 작품의 여러 매력과 가능성을 외면하는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 <금각사>의 전형성 중에는 독문학의 교양소설을 비튼 듯한 느낌도 있는데 4, 5장이 그렇습니다. 교양소설이 도덕적인 인물로 어떻게 살지를 다루는 것이라고 한다면 <금각사>는 도발적이게도 삶을 거부하는 태도를 취합니다. 여기에 걸맞게 화자는 좀 자기 삶이 없습니다. 소설을 읽다 보면 얘는 왜 제 삶이 없지, 하는 생각이 들어요. 그저 주어진 배경이 있을 뿐이고, 부재하는 삶을 채워주는 건 금각의 환상입니다. 미시마 유키오가 주장하고픈 교양이란 어쩌면 그런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도덕이 위선에 불과할 때 그 껍데기 아래서 도리어 사람을 진정으로 살게 만드는 건 타인에의 가학적인 추동과 머릿속 환상을 향한 집념이라고요. 숫제 내용이란 없고 오직 콤플렉스 뿐인 삶이 어쩌면 우리와 결코 멀지 않으며 그 구체성이 이러함을 낱낱이 보여주는 듯합니다.
sunflower
하숙집 딸을 안으려는 순간 나타난 금각의 환영이라니....절대적인 미와 현실이 양립할 수 없다는 주인공의 믿음이 참...금각을 그토록 사랑하면서도 금각이 붕괴되기를 은근 기대하는 주인공의 양가적 감정이 세심하게 그려진 장이었습니다. 미에 감싸이고 싶다면 인생에 손을 뻗칠 수 없다고 말하면서 금각을 숭배하지만 결국 주인공은 손에 잡히지 않는 영원보다는 실제적인 인생을 만지고 싶어하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링곰
“ 그럼에도 가시와기는 뒷면에서 인생에 도달하는 어두운 샛길을 처음으로 가르쳐준 친구였다. 그것은 언뜻 보기에는 파멸로 돌진하는 듯 보이면서도, 의외의 술수에 능하기에 비열함을 그대로 용기로 바 꿔 우리들이 악덕이라고 부르는 것을 다시금 순수한 에너지로 환원시키는 일종의 연금술이라 해도 좋았다. ”
『금각사 (무선)』 p. 180, 미시마 유키오 지음, 허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링곰
“ 그를 잃고 나서 지금 새삼스레 느끼는 것은, 나와 밝은 대낮의 세계를 잇는 한 가닥의 실이 그의 죽음으로 인해 끊어지고 말았다는 점이다. 나는 잃어버린 낮, 잃어버린 빛, 잃어버린 여름 때문에 울었다. ”
『금각사 (무선)』 p. 186, 미시마 유키오 지음, 허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6357_2024_12_24_11_07_25_556.jpeg)
아침서가
이상한 일이다. 나는 허무와도 연대감을 지니지 못했다.
『금각사 (무선)』 190, 미시마 유키오 지음, 허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6357_2024_12_24_11_07_25_556.jpeg)
아침서가
“ 이 무렵부터 금각에 대한 나의 감정에 미묘한 변화가 생겨난 것 같다. 증오라는 것은 아니지만, 나의 내부에 서서히 싹트고 있는 것과 금각이 결코 서로 용납되지 않는 사태가 언젠가 오고야 말리라는 예감이었다. ”
『금각사 (무선)』 191, 미시마 유키오 지음, 허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지니00
“ 그를 잃고 나서 지금 새삼스레 느끼는 것은, 나와 밝은 대낮의 세계를 잇는 한 가닥의 실이 그의 죽음으로 인해 끊어지고 말았다는 점이다. 나는 잃어버린 낮, 잃어버린 빛, 잃어버린 여름 때문에 울었다. ”
『금각사 (무선)』 p. 186, 미시마 유키오 지음, 허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