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달의 소설] 1월 『타임 셸터』 함께 읽어요
D-29
능소화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Ⅴ 신중한 괴물들
379~446쪽
함께읽는사람
이 장에서는 과거 회귀 투표 이후로 혼란한 상황이 지속됩니다. 나는 가우스틴과 나의 경계에서 헤매고 있습니다. 모든 것이 뒤죽박죽이라 읽는 저도 혼란스럽네요...
함께읽는사람
꿈을 꾸었는데 기억에 남는 건 단 한 문구뿐이다. 과거라는 천진한 괴물. 꿈은 잊었지만 그 문구는 남았다.
『타임 셸터 - 2023 부커상 인터내셔널 수상작』 p.427, 게오르기 고스포디노프 지음, 민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함께읽는사람
“ 기억이 적을수록 과거는 많아진다. 기억하는 한, 지나간 시간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숲 한가운데에서 밤중에 불을 피우듯이. 악령과 늑대가 사방에 웅크리고 있다. 과거의 짐승들이 포위망을 좁혀오지만 아직은 감히 원 안으로 들어서진 못한다. 이 알레고리는 단순하다. 기억의 불길이 타오르는 한 당신이 주인이다. 불길이 잦아들기 시작하면 짐승들은 점점 더 크게 포효하며 점점 더 가까이 다가온다. 과거라는 짐승의 무리. (중략)
나는 기억한다, 과거를 과거에 묶어두기 위해...... ”
『타임 셸터 - 2023 부커상 인터내셔널 수상작』 p.441~442, 게오르기 고스포디노프 지음, 민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함께읽는사람
이 소설을 나중에 떠올리면, '기억을 통해 과거라는 괴물을 묶어두기' 이 문장이 생각날 것 같아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에필로그
447~452쪽
함께읽는사람
에필로그는 앞선 이야기들을 의심스럽게 만들면서 끝을 맺습니다. 가우스틴과 타임 셸터는 이야기 내에서 실제로 존재했던 걸까요? 아니면 '나'의 만들어낸 이야기일까요?
센스민트
작가가 의도적으로 이렇게 얘기하는 바가 명확하지 않게 기술하기로 작정한 것인지 아니면 제가 이런 작법에 익숙치 않아서 전체 스토리를 못 따라 가는 것인지 아니면 번역의 문제인 것인지 읽는 내내 계속 의문이 들었어요. 서평 작성해야 하는데 정말 느낀 바를 솔직하게 쓸지, 이 책 고유의 특징이라도 찾아 내서 쓸지도 고민이 되네요 ㅜ
함께읽는사람
서평이 기본적으로 남들에게 보여지는 것이고, 그 책을 설명하는 기능도 있으니까, 이런 고민을 하시는 게 당연한 것 같아요. 저의 의견을 말씀드리면, 저는 독서는 개인적인 것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 사람의 개인적인 어떤 부분과 만나서 자신만의 해석이 나오는 게 아닐까요? 물론 그 책의 핵심이 되는 내용은 다들 비슷하게 감지하겠지만요... 그러니까 서평은 자유롭게 쓰시고, 개인적 감상과 보편적 의미을 잘 조화시켜 보시면 어떨까요?^^ 쓰고보니 별로 실질적인 도움은 안 되겠네요... 그렇지만 서평도 쓰시다보면 점점 감이 생기실 거라고 믿습니다! 센스민트님 화이팅입니다!
센스민트
마감이 임박해서 며칠 전에 급하게 서평 남겼는데 조언해 주신대로 자유롭게? 쓴 것 같아요. ㅎㅎ 앞으로 개인적 감상+보편적 의미 잘 버무려서 써 볼게요~ 조언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감귤
@함께읽는사람 감사합니다! 덕분에 이 까다로운 책을 완독할 수 있었어요. 서평 남기러 갑니다 ㅎㅎㅎ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