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지어 저런 모습을 청계천이나 광교호수공원 같은 데서도 종종 보여주기 때문에 시민들이 경악한다고 합니다.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② 채식의 배신 (리어 키스)
D-29
장맥주
stella15
으악, 알고는 있었습니다만 여기서 접하게되니 또 놀라지 않을 수 없네요. 청계천이나 광교호에서도요? 그럼 어떻게 하나요? 사람이 뜯어 말려주나요? 그냥 지켜볼수마는 없...
장맥주
거기까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 ^^;;;
마틸32
배카스리말은 ‘서로 빚지는 것, 서로 생명을 주는 것’이다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마틸32
어제 머리말 읽고 오는 1,2장 읽으려는데 채식은 참 어렵고, 단순히 먹는 것만이 아닌 복합적인 고려 때문에 마음이 늘 불편한 것 같아요. 머리말에 있던 문장 중에 '누구를 믿을 것인가?' 농업에 대한 저자의 판단, 여러 데이터들~책을 읽고나면 더 어려워질까요?!
장맥주
“ 닭은 동료의 죽음을 슬퍼하는 대신 그 시체를 먹는다. 닭을 잡는 날에도 도망가는 대신 먹을 것이 나올 줄 알고 발밑으로 모여드는 것이 닭이다. 피로 범벅이 된 암탉의 가슴은 독수리가 뒷마당에서 닭을 잡아 먹었다는 것을 알려 준다. 독수리가 먹고 남은 시체로 배를 불린 것이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2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와... 닭은 이런가요.
장맥주
“ 그러나 채식주의 윤리는 결국에는 기계적인 모델의 한 변형일 뿐이다. 그 윤리 체계는 우리 인간의 인본주의적 혹은 종교적 윤리 체계를 우리와 비슷하게 생긴 몇몇 동물에게마 확대 적용한 것일 뿐이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2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그 소유자에게 더없이 소중한 각각의 생명은 시작과 끝이 있을 것이다. 각각의 종이 죽고, 산이 죽고 별이 죽는 것처럼. 결국 생명은 그물도 아니다. 생명은 흐름이다. 살아 있는 강. 우리는 그 물 위로 여행하는 뱃사람이다. 언젠가 물고기들이 우리를 먹어서 집으로 데려가 주기를 기다리는.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2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인간과 반추 동물은 같은 식량을 놓고 서로 차지하려는 경쟁 상대가 아니다. 정치적 채식주의자가 착각하는 것이 바로 이 부분이다. 그렇다. 산업 규모의 축산법으로 인해 동물에게 억지로 곡물을 먹이는 일이 자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식생활은 자연의 논리가 아니라 산업 자본의 논리에 의해 정해진 것이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3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 음 보기
장맥주
“ 이들이 추구하는 것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진실이나 정의가 아니다.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와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작은 사실 한 조각에 매달리려는 것이다. 바로 여기서부터 심리적으로 볼 때 정치성이 종교로 변한다고 할 수 있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3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동물이 뜯어 먹고 나면 뿌리 성장이 촉진되어 식물은 더 건강해졌다. 모든 식물은 질소와 미리 분해된 영양분을 필요로 한다. 반추동물은 풀을 먹으면서 이 2가지를 풀에게 제공할 수 있었다. 바로 이 이유 때문에 풀은 다른 식물과는 달리 독이나 화학적 방어물질, 혹은 가시나 돌기 등 동물의 접근을 막는 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도리어 동물이 뜯어 먹어 주기를 원한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5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siouxsie
<채식의 배신>은 20년간 비건으로 살아왔던 저자가 채식주의는 무지에서 비롯한 신념에 불과함을 깨닫고 다시 육식을 시작하며 쓴 통한의 개종서이기도 하다.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7p,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5장의 영양학 관련 부분은 이 저자가 영양학자도 아닌데 얼마나 맞는 이야기일까 싶어서 문장 수집하기가 망설여집니다. 어쨌든 계속 읽는 중입니다.
장맥주
“ 심지어 비건들마저 일부 비건에게 “비건 경찰(the vegan police)”이라는 별명을 붙이곤 한다. 내가 무슨 말을 하는지 비건들은 알 것이다. 공격적이고, 융통성이라곤 눈곱만큼도 없고, 분노가 부글부글 끓어 금방이라도 폭발할 것 같은 상태로 사는 사람들 말이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5장, 리 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채식에 대한 저자의 반감이 너무 지나쳐 보이고 사례로 들고 오는 것들이 썩 들어맞는 이야기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6장은 고개를 갸웃하며 읽었습니다. 수집한 문장도 없네요. 7장도 그럴 거 같습니다.
siouxsie
전 지금 2장 읽는데, 채식 때문에 발생하는 환경 문제에 대해 열거했지만, 공장식 축산을 한다거나 방목을 해서 동물들을 키울 때의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을 전혀 안 하는 것이 마음에 걸립니다. 뒤에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읽습니다.
채식이든 육식이든 이러한 책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건, 결국 뭐가 됐든 낭비를 줄이고 쓰레기를 최소로 만드는 게 '지속 가능한' 방법이지 않을까 싶네요.
siouxsie
우리는 탄소가 한동안 품고 있다가 언젠가 배출하는 많은 존재 중의 하나일 뿐이지 그들의 위에 군림하는 존재가 아니다.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55p,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이 책을 쓰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끔찍한 일이었는지 친구에게 설명하려고 시도하면서 나는 이렇게 말하고 말았다. “비건주의는 컬트 종교와 식이 장애가 혼합된 거야.” 나는 그 말을 하면서도 그 말이 진실이 아니기를 바랐다. 그 단어들은 바로 나를 묘사했던 것들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7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7장에서 기공 선생님 얘기까지 나오니까... 책에 대한 신뢰가 확 떨어집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