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채식지향인’입니다. 살면서 준채식 생활을 두 번 시도했는데 두 번 다 실패했고, 가끔 고기도 먹는 형태로 세 번째 시도 중입니다. 개를 사랑하고 공장식 사육을 반대하지만 고기를 못 끊고, 그런가 하면 비건‘주의’에도 확신은 없습니다.
준채식 생활 경험과 음식 윤리, 동물권에 대한 생각을 담은 에세이를 2025년 하반기에 낼 예정인데, 그 전에 아래 책들을 빠르게 읽어보려고요. 안 읽은 책들이라 수준이 어떤지 장담 못합니다(제가 읽은 책 중에서는 할 헤르조그의 『우리가 먹고 사랑하고 혐오하는 동물들』과 셸리 케이건의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 윤지로의 『탄소로운 식탁』을 추천합니다).
아래 일정으로 읽어보려고 합니다. 깊이 있는 토론을 하면서 읽을 거 같지는 않네요. 완독에 의의를 두고, 전자책으로 읽으면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들을 캡처 이미지로 올리는 정도일 것 같습니다. 모임 기간은 보름씩으로 하되, 목표는 7일 동안 한 권씩 읽는 것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함께 해주셔도 좋습니다.
1. (1/1~1/7) 채식의 철학 / 토니 밀리건
현재 모임 진행 중 https://www.gmeum.com/meet/2188
2. (1/8~1/14) 채식의 배신 / 리어 키스
3. (1/15~1/21)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 브라이언 케이트먼
4. (1/22~1/28) 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 멜라니 조이
5. (1/29~2/4) 어떻게 먹을 것인가 / 캐롤린 스틸
6. (2/5~2/11) 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 / 마르타 자라스카
7. (2/12~2/18) 죽음의 밥상 / 피터 싱어, 짐 메이슨
8. (2/19~2/25)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9. (2/26~3/4)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김태권
10. (3/5~3/11) 물건이 아니다 / 박주연
11. (3/12~3/18) 비만의 사회학 / 박승준
12. (3/19~3/25) 지속가능한 삶, 비건 지향 / 미지수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② 채식의 배신 (리어 키스)
D-29
장맥주모임지기의 말
미스와플
여기 즐거운 마음으로 참여하게 됐는데, 읽을수록 괴로워지지 말입니다. 계속 괴로우려고 가입했어요. ^^
장맥주
<채식의 배신>은 앞부분만 조금 읽었는데, 생각지 않은 방향으로 독자를 괴롭게 하더라고요. 어쩌면 이번에 읽을 12권 중 가장 괴로운 책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
siouxsie
맞아요. 자꾸 불편해야지 다른 존재들에 대해서도 생각하는 것 같아요.
그런 의미에서 말 못하는 동물들이 아무 말 안 한다고, 회색 건물에 가둬 놓고 사육해서 얌얌쩝쩝 맛있게 먹기만 하는 건 정말 아닌 것 같아요.
장맥주
탈무드에는 ‘(유대인들이 먹지 못하는 돼지고기로 만든 음식인) 소시지를 먹을 때는 웃으며 먹어라’라는 가르침도 있던데... 뭐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 동물 윤리는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여러 방향으로 불편해집니다. 명쾌하게 결론도 안 나고.
siouxsie
그래서 우리가 책도 읽고 계속 이야기를 나누는거 거겠쥬?
제가 얼마 전에 영어공부를 하다가 '지속가능한'이란 단어에 꽂혔어요. sustainable 이었는데, 전엔 눈에도 들어오지 않던 단어가 '채식의 철학'읽으면서 계속 눈에 띄었어요.
전 이 책들을 읽으면서 지속가능한 무언가를 찾는 것 같아요.
장맥주
저도 같은 마음이에요.
지속가능이라는 표현을 한국어에서 보게 된 건 아무리 거슬러 올라가도 21세기 이후인 거 같은데, 영어 sustainable도 비슷하게 21세기 들어서 활발히 쓰이게 된 단어인지, 전부터 많이 쓰던 단어인지 궁금합니다. 회복탄력성 같은 단어는 쓰게 된 게 제 느낌으로는 최근 10년부터인 거 같아요. 진정성이라는 단어를 제가 처음 들은 것도 2005년인가 2006년인가 그랬습니다. 웃기는 단어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나요.
siouxsie
책들도 유행을 타지만, 어느 한 시기에 갑자기 나타나서 많이 사용되는 단어들(재미있는 유행어 말고, 특정 단어)을 보면, 그 시대가 보여 참 신기해요.
작가님이 한 말씀 중에 제일 와 닿았던 건 '신속하고 정확하게'는 모순된 말이지 않느냐라는 거였어요. 저도 그래서 저작권료도 지불하지 않고 자주 써 먹고 있습니다~ 제가 신속하지 못한 사람이라 방점을 두고 있는 쪽은 '정확'이에요. ㅎㅎㅎ
장맥주
그러고 보니 유연안정성(flexicurity)이라는 말은 2000~2010년 즈음에 좀 쓰다가 이제는 안 쓰는 단어가 된 거 같네요. 저도 신속보다 정확을 추구하려 합니다. ^^
siouxsie
근데 신종단어도 엑셀로 정리하시는 건가요? 연도별로?! 언빌리버블~!
장맥주
2008년에 유연안정성 기사를 몇 개 써서 잘 기억하고 있어요. ^^ 1면 톱기사도 쓰고 덴마크 출장도 다녀왔습니다.
siouxsie
2008년 일을 기억하고 계신 게 엑셀 정리 보다 더 놀랍습니다~! 역시 어메이징 장맥주님
장맥주
1면 톱기사 쓴 적이 몇 번 없어서... ^^;;; 기자들에게는 매우 큰 영광이거든요.
siouxsie
이야~몇 번씩이나~!
저도 가끔 고등학교 친구들 만나서 그 때 얘기를 줄줄 할 때면 '내가 망각의 천재가 맞았나'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장맥주
모임 시작일은 아직 조금 남았습니다만 <채식의 철학>을 다 읽었기에 <채식의 배신>도 먼저 시작하겠습니다.
장맥주
“ 이 정치적 열정을 낳은 갈망은 너무도 깊어서 거의 종교적 경험에 가까웠다. 적어도 내게는 그랬다. 그리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내 삶이 전쟁터이자 전투의 함성이기를 원하고 가부장제, 제국주의, 산업화, 그리고 모든 형태의 권력과 가학의 심장부를 겨냥하는 화살이 되길 바란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머리말,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이 모든 오해는 무지에서 비롯된다. 채식주의의 ‘신화’를 처음부터 끝까지 관통하는 이 무지는 농사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부터 생명 과정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한 몰이해까지 도처에 깔려 있다. 산업화된 도시에 사는 우리는 대부분 우리가 먹는 음식이 어디에서 오는지 알지 못한다. 진실을 알고 있다고 주장하는 채식주의자들도 마찬가지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머리말,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나는 완벽한 대차대조표를 원한다. 우리 앞에 놓인 접시 위에 죽은 채 올라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따지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그 음식이 우리 식탁에 도착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죽어야 했던 모든 것을 대차대조표에 넣어야 한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머리말,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바로 이 도덕적 채식주의의 논거를 믿고 싶었기 때문이다. 나는 내 삶과 내 존재가 다른 생명을 죽이지 않고도 지속할 수 있다고 믿고 싶었다. 그러나 그것은 불가능하다. 다른 생명의 죽음 없이 존재할 수 있는 생명은 없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1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왜 얼굴이 있고 없고가 어떤 생물이 더 중요하고 그렇지 않고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었을까? 얼굴의 진짜 의미는 그 생물이 얼마나 인간과 비슷하게 생겼는지를 결정하는 요소라는 데 있다. 우리처럼 생겼는가 아닌가? 여기 다시 인간 중심의 사고방식이 등장한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1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일년생 곡물을 기르는 것은 속죄할 길이 없는 행위라고 나는 확신한다. 생태계를 전면적으로 파괴해야만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 곡물을 기르기 위해 땅에 살던 모든 생명을 제거해야만 한다. 흙도 파괴된다. 흙이 노출되기 때문이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1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