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죠? 이게 <채식의 철학> 읽고 나서 바로 읽는 책이어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어요. <채식의 철학>과 <채식의 배신>은 서로 다른 의미로 괴롭네요. 솔직하게 고백하자면 채식 자체도 참 괴롭습니다. 가끔 어떤 날 엄청나게 소시지가 먹고 싶어져요. ㅠ.ㅠ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② 채식의 배신 (리어 키스)
D-29
장맥주
장맥주
“ 전 세계 육지의 3분의 2가 농작물을 키우기에 적합지 않다. 많은 지역이 너 무 춥거나, 너무가파르거나, 너무 습하거나, 너무 건조하기 때문이다. 내 답은 간단했다. ‘그렇다면 사람이 거기 살지 않으면 되지 않는가?’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2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2장을 읽는데 ‘호흡주의’라는 것도 있군요. 괴상합니다.
siouxsie
필립 로스의 '미국의 목가'에 나오는 딸이 믿었던 '자이나교'가 생각나네요. 인간이 자연에 해를 가하는 것을 극도로 제한하는 종교처럼 그려졌는데요. 보통 자이나교도들은 안 그렇겠지만, 여기 나오는 딸의 경우 인간이 눕거나 씻거나 할 때 미생물을 죽일 수 있기 때문에 먹는 것도 최소, 씻는 것도 최소(그래서 외모도 그렇고 냄새도 엄청 나는 걸로 나옵니다)로 합니다. 앉지도 않고 서 있고, 잘 때도 앉아서 잔다고 했었던 거 같고...읽은지 오래 돼서 기억이 안 나지만, 미생물까지 신경 쓰면서 살기엔 제가 너무 크네요.
장맥주
저는 자이나교의 교리는 알았지만, 이미 사멸한 종교라고 생각했어요. 정말로 그렇게 사는 사람들이 아직도 있군요.
미스와플
그런 사람들도 있네요. 죄책감에 살아갈 수 있겠나 싶은데요. 전 누텔라교는 알아도 자이나교는 처음이네요.
장맥주
“ 닭의 집단에 한두 마리가 아닌 그 이상의 수탉을 집어넣는 것은 암탉에게 못할 짓이다. 교미하기 위해 올라타는 수탉이 너무 많아 등에 상처가 날 지경이 되기 때문이다. 그 정도면 동물 학대라 해도 과장이 아니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2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정치철학으로서의 동물의 권리라는 개념은 인본주의의 한 지류에 불과하다. 자유로운 개인이 가진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자 백인 남자만이 아닌 나머지 인간에게도 확대시킨 것과 같은 논리를 동물에게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인 것이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2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자연은 초도덕적이다. 생명은 글자 그대로 한 생물이 다른 생물을 먹는 과정이다. 그것이 동식물을 분해하는 박테리아건 서로를 조여서 죽이려 하는 식물이건, 상대방의 목줄을 공격하는 동물이건, 동물을 공격하는 바이러스건 다 마찬가지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2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젊음의 특권이기도 한 강렬한 도덕적 욕구에는 맞을지 모르지만, 이런 규칙은 근본적으로 슬로건이나 윤리적 상투어에 불과하고 원리주의를 낳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성인의 지식은 이보다 더 많은 것을 요구한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2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일년생 곡물을 기르기 위해서는 많은 것을 파괴해야 하고 그렇게 수확한 곡식은 죽음으로 푹 젖어 있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동물 권리 옹호자들이 동물을 동물 자체로부터 보호하고, 사냥하고 죽이고 먹고 먹히는 동물의 필요와 욕구로부터 보호한다고 나서는 단계가 되면, 그들의 주장은 정말 우스워지고 만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2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자웅동체이고 느리게 움직이는 민달팽이는 몇 시간에 걸쳐 짝짓기를 하는가 하면 수돌고래는 암돌고래를 납치해 집단 강간을 하기도 한다. 자연은 다양한 성격을 지녔지만 칼로 자른 듯한 인간 의 도덕적 규칙을 적용할 수 있는 곳은 어디에도 없다. ”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2장,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돌고래... 이런... 진짜인가. (찾아보니 진짜 그렇고 드문 일이 아니라고 하네요.)
오리과 새들이 그러는 건 알고 있었는데요.
https://www.mk.co.kr/news/culture/10733636
siouxsie
여자인간에게도 이런 오리의 기능이 있었다면 세상의 범죄율 아니 '비극'이 확 줄었을 것 같네요. 그나저나 귀여운 돌고래들이 그랬다니..역시 외모는 믿을 게 못 돼요. ㅜ.ㅜ
장맥주
그 기능이 막상 암컷 오리들의 수모를 그렇게 줄여주는 거 같지는 않네요... 제가 너무 어둡게 보는 걸까요. ㅠ.ㅠ
물고기먹이
우와 진짜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오리...우와
장맥주
심지어 저런 모습을 청계천이나 광교호수공원 같은 데서도 종종 보여주기 때문에 시민들이 경악한다고 합니다.
stella15
으악, 알고는 있었습니다만 여기서 접하게되니 또 놀라지 않을 수 없네요. 청계천이나 광교호에서도요? 그럼 어떻게 하나요? 사람이 뜯어 말려주나요? 그냥 지켜볼수마는 없...
장맥주
거기까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 ^^;;;
마틸32
배카스리말은 ‘서로 빚지는 것, 서로 생명을 주는 것’이다
『채식의 배신 - 불편해도 알아야 할 채식주의의 두 얼굴』 리어 키스 지음, 김희정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