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독서
단 1페이지라도
D-29
혜초모임지기의 말
혜초
높은 수준의 인간에게는 즐거움이 되고 자양분이 되는 것도 저열한 인간에게는 독이 된다.
-<선악의 저편>, 2장 30절-
『니체 극장 - 영원회귀와 권력의지의 드라마』 p.19~20, 고명섭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내 활동을 키워주지도 않고 내게 직접 활기를 불어넣지도 않으면서 단지 나를 가르치려고만 하는 모든 것을 나는 증오한다.
- 요한 볼프강 괴테-
『니체 극장 - 영원회귀와 권력의지의 드라마』 p.5, 고명섭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나를 가르치려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자신의 삶을 더 돌보면 될 만한 사람들이었다. 내가 나의 삶을 돌보면 되듯, 그들도 자신을 더 잘 돌보면 될 일이다. 그러니 이제 내 삶에 대한 간섭은 그만 두셔라.
혜초
“ 그가 쓴 첫 책이 '자서전'이었다는 사실은 그의 제1 관심사가 자기 자신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가 그 책을 스스로 읽어보고 싶어 했다는 것은 자기 관계 안에서 만족을 느끼는 강한 나르시시즘이 있었음을 알려준다. ”
『니체 극장 - 영원회귀와 권력의지의 드라마』 p.45, 고명섭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신이 인간이 된 것은 인간이 자신의 천국을 영원한 내세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상에 건설하려 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천상의 세계에 대한 환상 때문에 인간의 영혼은 현세의 삶과 잘못된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러한 환상은 사람들의 유아기적 산물이다. ”
『니체 극장 - 영원회귀와 권력의지의 드라마』 p.49, 고명섭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믿음 속에만 존재하는 영원한 내세를 위해 현재 경험하고 있는 현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런 믿음을 가진 사람이 불러올 비극을 이미 충분히 겪었다. 현실을 부정하는 믿음이야말로 헛된 망상에 지나지 않는다.
혜초
“ 혹, 진정한 탐구자는 자신의 물음이 가져올 결과에 상관없이 질문을 하는 사람이 아닐까? 왜냐하면, 우리가 물음을 던질 때 그것이 휴식과 평화와 행복을 구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진실, 그것이 극도로 추악하고 불쾌할지라도 진실을 원하기 때문이다. ... 은총을 주는 것은 믿음이지, 믿음 뒤에 있는 객관적인 실체가 아니다. ... 모든 진실한 믿음은 결코 속이지 않는다. 그것은 믿음을 지닌 자가 믿음 안에서 발견하고자 하는 것을 얻게 해주지. 그러나 진실한 믿음은 객관적 진리를 입증하는 데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길이 나뉜다. 만약 네가 영혼의 평화와 행복을 원한다면 믿어라. 하지만 네가 진리의 사도가 되고 싶다면, 질문하라. ”
『니체 극장 - 영원회귀와 권력의지의 드라마』 p.62, 고명섭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사람은 자신과 가장 닮은 자에게 끌리는 법이다. 자신의 표면이 아니라, 내면의 무의식적 욕망을 닮은 자, 그 욕망을 건드리는 자에게 매혹된다.
『니체 극장 - 영원회귀와 권력의지의 드라마』 p.105, 고명섭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그에 의하면, 인간의 본질에는 창조적인 힘이 있는데, 인간은 그것을 가지고 환영을 만들고, 그 환영은 인간을 다시 구속한다. ... 즉 인간의 해방이란 스스로 생산한 환영과, 사회적 관계에서 유래하는 속박에서 풀려나는 것이다. ... 하지만 "우리 밖에 있는 저 피안의 세계"가 없어지더라도 "우리 내부의 피안의 세계"는 여전히 남아 있다. ... 내적 피안의 세계는 또한 우리 내부에서 일어나는 보편 개념의 지배, 예를 들면 인류, 휴머니즘, 자유 등과 같은 보편 개념의 지배를 뜻한다. 우리 자아는 자신이 의식하는 한 이런 개념의 그물에 갇혀 있다. ... 슈티르너가 목표로 삼는 것은 개인을 ... 그의 본질적 감옥에서 해방시키는 것이다.
-슈티르너 철학에 대한 자프란스크의 해설 중- ”
『니체 극장 - 영원회귀와 권력의지의 드라마』 p.179, 고명섭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인간은 수많은 환영에 스스로를 구속시키고 그 안에서 안식을 찾는 것 같다. 그 편이 혼자 무언가를 해내야 하고 지금의 고통을 극복해야 한다는 막막함과 두려움보다는 낫기 때문이다. 그런 고독이 가져오는 두려움은 재앙에 대한 극심한 고통과도 견줄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어쩌면 자유를 바라면서도 완전한 자유를 바라지 않는 것 같기도 하다.
혜초
“ 대중에게 속하기 를 원치 않는 사람은 오로지 자기 자신의 나태함을 없애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너 자신이 되어라! 지금 네가 하고 있는 것, 생각하는 것, 원하는 것은 모두 너 자신이 아니다!"라고 외치는 자신의 양심을 따르기만 하면 된다.
-<반시대적 고찰>, 제3부 '교육자로서의 쇼펜하우어', 1절- ”
『니체 극장 - 영원회귀와 권력의지의 드라마』 p.183, 고명섭 지음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