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대로 되는 것이 없는 듯한, 사춘기라는 말도 지겹게 느껴지는 그 시절을 저희 모두 겪어 보았기에 이 소설이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것 같아요. 좋은 서평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북다] 《어느 순간을 가리키자면(달달북다07)》 함께 읽어요! (1/23 라이브 채팅!)
D-29
북다
다독영
좋았던 문장을 필사 해보았습니다~ 곱씹을 수록 재밌는 소설 같아요 ◡̈
북다
어머나! 너무나 귀엽고 아름다운 서체로 필사해주셨네요!
제제나무
늦었지만 수령 인증합니다ㅎㅎ 이번에도 책 표지가 너무 이뻐요💙 달달북다 시리즈는 책이 참 이뻐서 모아놓고 보면 더 행복해지는 것 같아요:)
북다
이번 표지도 정말 영롱하지요! 모아 두고 보니 정말 반짝반짝 예쁩니다.🥰
물고기먹이
오잉 휴잇님을 여기서 뵐 줄이얏!ㅎㅎ 반갑습니다 물고기먹이 입니다 :D
꼬무신
하이틴 로맨스 답게 여러분은 어느 부분이 달달하셨나요? 아마 대부분 저와같은 부분에서 심쿵하지않았을까 싶은데 말이죠..ㅎㅎㅎ 동미의 "나한테서 냄새나?" 라는 질문에 "좋은 냄새나 너한테" 라는 석진의 말에 괜히 내가 설렘했습니다^^
북다
그쵸 그쵸, 하이틴 로맨스다운 풋풋한 설렘이 느껴지는 장면이었어요. 저도 읽으면서 괜히 발을 동동 굴렀답니다.😀
꼬무신
작가님의 작업일기는 소설속의 또 다른 단편소설같은 느낌을 받았어요. 그래서 작가님의 작업일기에 한참을 머물러있었답니다^^
북다
달달북다의 또 다른 매력 포인트 중 하나가 바로 작업일기이지요. 또 한 편의 단편소설 같다는 말씀에 무척 공감하게 되네요.
물고기먹이
맞아요! 달달북다 책을 두번째 접했는데 작업일기의 소소한 매력이 참 좋더라구요!ㅎㅎ
하얀사과
🎈이 책을 읽은 후..
먼저 책을 읽으면서 느껴진 가장 큰 매력은 이 소설이 그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생생한 감정과 분위기를 마음속에 재현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작품 속 동미와 석진은 서로의 아픔을 나눌 수 있는 유일한 안식처가 됩니다. 하지만 이들의 관계는 서로의 고통을 이해하며 미세한 변화와 성장을 이루어가는 모습이 담겨 있어 더욱 깊이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동미와 석진이 가까워지는 과정을 그리는 방식이 너무나 현실적이고 섬세했습니다. 이들은 소소한 순간 속에서 서로에게 작은 의지처가 됩니다.
기억에 남는 구절 중 하나는 "그때 그 시절 우리는 무언가를 아주 절실히 참고 견뎌내고 있었는데, 그 무언가가 도대체 무엇인지는 아무도 알지 못했다"는 문장이었습니다. 그 시절 우리는 누구나 크고 작은 상처를 안고 있었지만, 그것을 제대로 이해하거나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은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문장은 그 시절의 나 자신뿐 아니라 지금 이 순간에도 불완전한 채로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위로를 건네는 듯했습니다.
소설은 자신들의 청소년 시절을 돌아보고 그 시절의 상처와 고민을 다시금 되새기게 만듭니다. 동시에 그 시절의 내가 얼마나 애틋하고 소중했는지 깨닫게 되는 순간도 주는 것 같습니다. 작품 속에서 스쳐 지나가는 많은 상징적 장면과 작가의 날카로운 통찰은 청소년기와 삶에 대해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하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작품은 청소년기의 고통, 성장, 그리고 서로의 상처를 치유하려는 작은 손길들을 섬세하게 그려낸 수작이라 생각합니다.
북다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 모두 한 번쯤 느꼈던 감정과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소설이었습니다. 따뜻한 감상평 남겨주셔서 감사드려요.
느티나무
“ 나는 등굣길보다 하굣길을 더 좋아했는데, 천천히 보고 싶은 것들을 볼 수 있기 때문이었다. 슈퍼 앞에 누워 있는 늙은 푸들을 쓰다듬고 복숭아나무에 열린 작은 복숭아 냄새를 오래도록 맡았다. 작은 개천을 바라보며 비가 오기를 기도하고 해랄 뚫어져라 노려보며 무더위를 힐난했다. ”
『어느 순간을 가리키자면』 p15, 예소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동미야. 남을 깎아내리려고 안달 난 사람 얘기는 귀담아듣지 말자. 우리 그러지 않기로 하자."
『어느 순간을 가리키자면』 p34, 예소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학교 바깥에서 명태준은 무엇을 상상하고 무엇을 느끼며 살아갈까. 나는 어쩌면 우리가 같은 지점에서 같은 미래를 상상하며 그 미래를 몹시 두려워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어느 순간을 가리키자면』 p42, 예소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다 실수지. 그맘때는. 근데 어떤 건 돌이킬 수가 없어. 그게 문제야."
『어느 순간을 가리키자면』 p55, 예소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이석진이 큰 가방을 메고 뛰어가는 그 뒷모습이 동미의 마음에 오래도록 남을 장면이라고 생각했다. 나에게는 여름이 지날 무렵 무른 복숭아 냄새가 나는 길목에서 그 뒷모습을 지켜보는 동미의 모습이 선명하다. 인생은 그렇게 쉽게 바뀌지 않고 삶은 원하는 대로 흘러가지 않을 것이며 내일은 똑같이 돌아오겠지만, 그런에도 그 장면은 동미의 마음에 두고두고 남을 것이다. 소설을 쓰면 누군가의 마음에 어떤 장면을 심어줄 수 있어서 좋다. ”
『어느 순간을 가리키자면』 p67, 예소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나는 머문다는 말이 참 좋다. 우리는 늘 어느곳에 머물러 있으면서도 그곳으로부터 멀어지고자 하니까. 그런데 정신을 차려보면 항상 그곳에 머물러 있으니까.
『어느 순간을 가리키자면』 p70, 예소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책을 읽으면서 청소년시절에 걸었던 등굣길을 걸어가며 난 무슨생각을 하며 걸었을까? 생각을 하면서 지난날에 대한 아련한 감정을 느끼네요.
책에서 동미와 석진은 어울리지않아보였지만 사실 누구보다도 잘 어울리는 아이들이라는 느낌이 들었어요. 그리고 작가님의 작업일기를 보며 "소설을 쓰면 누군가의 마음에 어떤 장면을 심어줄 수 있어서 좋다"라는 문장이 마음에 남네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