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일의 처음엔 읽는 일이 있었다”
《책 읽다 절교할 뻔》은 ‘책방연희’를 운영하는 저, 구선아와 약국 안 ‘아직독립못한책방(일명 아독방)’의 주인장 박훌륭 작가가 서로에게 책을 소개하며 주고받은 서른여섯 편의 편지를 엮은 책입니다. 지루함을 못 참는 두 책방지기가 만나 매우 지적이면서도 생산적인 재미를 벌인 것! 이죠.
지난 9월 그믐에서 <책 읽다 절교할 뻔>을 중심으로 책 수다를 떨었습니다. 함께 읽고 싶은 책으로 <기후 변화 시대의 사랑> <인생의 역사>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아주 정상적인 아픈 사람들> 등 여러 책이 나왔는데요.
3번의 모임 중 마지막 책은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를 읽으려고 합니다.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는 개인의 생애에서 만난 집의 이야기를 통해 개인의 서사, 한 세대의 역사를 이야기 합니다. 이 책을 읽으며 '나의 집' 이야기를 마음껏 해주세요. 요즘 '집' 이야기를 수집하는 저는 이 책을 다시 읽고 있습니다. 그럼 함께 읽어요!!
📍 1월 2일까지 책을 준비해주세요. 1월 3일부터 함께 읽어 보아요.
* 참가비 없음
** 12월에 시작하려고 한 모임이 여러 혼란스러움으로 늦어졌습니다.
*** <책 읽다 절교할 뻔> 첫 번째, 두 번째 모임 참여하신 분들 환영합니다. 물론 모두 격하게 환영합니다.
[책방연희X그믐] <책 읽다 절교할 뻔> 번외편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읽기
D-29
책방연희모임지기의 말
책방연희
함께 읽어줄 마음을 보여주셔서 고맙습니다!! 정말 쉽게 읽히지만, 내 전 생애의 집을 돌아보게 하는 책이어요. 새해를 맞아 돌아보며 계획하게 하는 책이 될 거여요👍
신아
<책 읽다 절교할 뻔>에서 알게된 책들 중 가장 관심갔던 책이에요! 조만간 읽으려고 계획 중이었는데 마침 모임이 열리다니 너무너무 반갑고 감사하네용:)
책방연희
오! 너무 좋네요. 집의 서사가 일화 중심으로 전개되어서 재밌게 술술 읽으실 수 있을 거여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책방연희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는 <책 읽다 절교할 뻔>에 등장한 책 중 하나입니다. 처음 출간하자마자 읽었던 책이기도 하고, 좋아하는 책이기도 합니다.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는 저자의 생애주기에 따라 변한 집의 서사를 따라갑니다. 집의 서사는 저자 개인의 역사이면서 한 세대의 기억이고 도시의 역사의 흔적으로 남습니다.
책은 내내 '집은 나에게 무엇인가?' 질문을 던지는데요. 그믐 동안 함께 책을 읽으며 가족과 집, 여성과 집, 독립과 집, 계급과 집, 자아실현과 집, 내면과 집 등 여러 층위의 집을 생각해보아요!
1. 다크 헤리티지 _집은 나에게 무엇인가? (대구시 중구 북성로)
2. 명문 시절 _길과 담이 가른 신분제의 공간 (대구시 수성구 범어동)
3. 난초 핀 골짜기와 굴러떨어진 해골 _각자도생의 세계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4. 에곤 실레와 루이 비통 _감출 수 없는 현실 (서울시 성동구 금호동)
5. 집다운 집 _아등바등 애쓴다는 것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1)
6. 고백 _혼자여도 괜찮은 사람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2)
7. 서재의 주인 _나의 자리, 엄마의 자리 (고양시 일산동구 정발산동)
8. 착한 딸 _우리가 서로를 알아가던 여름 (서울시 종로구 구기동 1)
9. 산책자들 _상실 이후에 오는 것 (서울시 종로구 구기동 2)
10. 최초의 집 _재현하고 싶은 기억 (서울시 종로구 구기동 3)
Alice2023
날이 저물면 성이 다른 한 여성에게 무급의 노동이 집중되는 가부장제 만연한 집으로 돌아갔다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 지나온 집들에 관한 기록』 하재영 지음
문장모음 보기
Alice2023
저도 고향이 대구라 1, 2장을 너무 재미있게 읽었어요 중심가로 유명한 동성로도 성의 동쪽이었기 때문이었겠구나 생각하며 북성로 집을 통해 그 시절 저희 집과 가족도 떠올려봅니다 똑같은 집이 누군가에는 아늑한 추억이지만 누군가에게는 고된 시집살이의 시절이고 누군가에게는 부양할 가족들만 가득한 그런 집이었네요
책방연희
아! 고향이 대구시군요. 대구엔 2005년도에 가보고 못가본 것 같아요;; 동네의 분위기를 떠올리며 읽으면 저자의 추억도 자신의 추억처럼 느껴질 것 같아요! 물론 같은 도시, 동네가 아니라도 보통의 공감이 느껴지지만요.
신아
저도 고향이 대구이긴 한데... 대구에서 태어나고 초등학교때 까지만 살았다가 떠나서 그런지 북성로 라는 지명은 생소했어요. 그 유명한 동성로와 같은 맥락으로 붙여진 이름이군요!
조부모님 살아계실 때 친가가 북구에 있었는데, 그 집과 동네는 어렴풋이 기억이 나거든요. 물론 북구라고 하여 무조건 북성로와 인접해 있다고 보기는 어렵겠지만.. 부모님께서 그쪽 지역 이야기를 들려 주실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여쭤봐야겠습니다. ㅎㅎ
Alice2023
나는 집이 가진 계급과 자본의 속성을 알아차렸다. 단지와 단지로 이루어진 아파트와 고급 빌라는 비슷한 계급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신분제 공간이었다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 지나온 집들에 관한 기록』 하재영 지음
문장모음 보기
Alice2023
저 또한 수성구 키즈로 2장을 읽으며 공감이 많이 가네요
아파트 이름으로 선 긋기는 저때에도 있었군요
저는 초등학교 때는 전학을 많이 다녀서 저런 분위기를 좀 늦게 파악했거든요
그 이후 작가님이 난곡과 금호동 등 6년 사이 9새의 방을 옮겨 다녔다고 내가 머문 곳은 집이 아니라 방이었다고 할때 제 이야기인줄 알았어요 그만큼은 아니지만 저도 대학 이후 상경해 6년동안 5개의 방을 옮겨 다녔더라구요
책방연희
대부분의 사회초년생이 방과 방을 옮겨 다니죠. 방에서 집으로 넘어가는 때 중 가장 많은 사례가 언제일까요? 아직은 결혼, 인 것 같아요. 결혼, 하며 무리해서라도 집으로 옮기는 사람이 많은듯 해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