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까지 다 읽긴 했는데 다 읽으니 오히려 혼란스러운 소설이에요. 반스 님이 숨겨둔 의미들을 제가 잘 찾아내지 못한 기분. (아 역시 호락호락하지 않은 분이야!) 아무래도 처음부터 다시 정독해야겠습니다-
[이 계절의 소설_겨울] 『우연은 비켜 가지 않는다』 함께 읽기
D-29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2891_2024_03_08_21_43_59_071.jpeg)
흰벽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2560_2024_09_30_14_31_56_443.jpeg)
욘욘
벌써 셋까지 다 읽으시다니👏🏻👏🏻👏🏻 저도 분발해야겠어요!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6780_2024_09_19_21_06_09_215.jpg)
금정연
“ 이후 수백 년 동안 지지자들에게 율리아누스는 유혹적인 인물이었다. '패배한 지도자.' 만일 그가 30년 더 통치하여 기독교를 매년 주변으로 부드럽게 몰아내다가 강력하게 그리스와 로마의 다신교를 다시 강화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그리고 그 뒤 수백 년 동안 그의 후계자들이 같은 정책을 추구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그랬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
『우연은 비켜 가지 않는다』 p.160,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문장모음 보기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6780_2024_09_19_21_06_09_215.jpg)
금정연
몇 번 언급한 브라이언 클라스의 <어떤 일은 그냥 벌어진다>에 반스의 이러한 질문이 왜 중요한가 말해주는 부분이 있어 여기 옮깁니다.
"과거가 변할 수 없더라도 대안적인 경로를 검토하는 것은 왜 특정 사건이 일어났는지 이유를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되기 때문이다. 벌어졌을 수도 있는 일을 짐작하는 일은 정말로 일어난 일을 해석하는 데 통찰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서 살펴보았듯 우리가 믿는 서사가 우리의 행동을 형성하며, 역사에서는 서사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역사는 벌어진 사건이 아닌, 우리가 벌어졌다고 동의한 사건이다." 데이비드 번은 이렇게 말했다." (전자책)
어때요, 흥미로운 병렬 읽기가 될 것 같지 않나요?
![](https://image.aladin.co.kr/product/34795/44/cover150/890128717x_1.jpg)
어떤 일은 그냥 벌어진다 - 이 세계를 움직이는 힘UCL 국제정치학과 교수이자 주목받는 사회과학자인 브라이언 클라스는 오늘날 우리를 지배하는 근본적인 가정에 도전하고, 세상을 이해하는 전혀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이 책은 역사와 현실 세계를 종횡하며 무작위적 우연 현상과 그것이 가져오는 거대한 변화에 대해 깊이 파고든다.
책장 바로가기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2891_2024_03_08_21_43_59_071.jpeg)
흰벽
와, 정말 이 소설과 너무 맞아떨어지는 책인데요!
역사에는 만일이 필요 없다고 흔히들 말하 는데, '우리는 일어날 수도 있었지만 일어나지 않은 일을 일어난 일과 마찬가지로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EF의 말이 어떤 의미인지를 설명해주는 듯한 내용이네요. '역사는 벌어진 사건이 아닌, 우리가 벌어졌다고 동의한 사건이다'라는 문장의 통찰이 느껴집니다.
이 소설뿐 아니라 줄리언 반스의 여러 소설들이 어쩌면 끊임없이 제기한 질문이 이 질문이 아니었나 라는 생각도 들어요. 과거에 대한 되새김, 벌어졌을 수도 있는 일을 짐작함으로써 일어난 일을 제대로 해석하는 것.
아무래도 꼭 읽어봐야겠습니다, 이 책도... (이렇게 읽을 책은 쌓여만 가고..)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6780_2024_09_19_21_06_09_215.jpg)
금정연
정말 그렇네요! 말씀 듣고 생각해보니 반스의 다른 소설들에서도 비슷한 질문을 제기해왔던 것 같아 요. 마음 같아서는 전작들을 다시 읽으며 그 사실을 확인하고 싶지만.....................
밥심
왜 원제가 엘리자베스 핀치일까 생각해보 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작가가 제목을 사람 이름으로 지었다면 꽤 많은 의미가 부여되어 있을 것 같은데 서양 이름에 대해 잘 몰라서 더 궁금해지네요. 핀치라는 성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은데 검색해보니 독일계 유대인 성과도 관련있다는 설명이 있네요. 소설에서 엘리자베스 핀치가 유대인이냐 하는 논란이 나오죠. 그리고 엘리자베스라는 이름은 정말 흔한 서양 여자 이름으로 특히 20세기초에 많이 지어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요즘은 고리타분해서 잘 안쓴다고 하는데 오래된 스토아 철학을 신봉하는 엘리자베스 핀치에게는 잘 어울리는 이름같긴 합니다.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6780_2024_09_19_21_06_09_215.jpg)
금정연
개인적으로 '엘리자베스'라고 하면 존 쿳시의 소설 <엘리자베스 코스텔로>가 떠오르는데요, 공교롭게도 <엘리자베스 코스텔로>는 노작가가 세계를 돌며 강연을 하는 내용이네요. 강연 내용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소설과 강연, 에세이의 경계를 흐리는 작품이기도 하고요.
'핀치'에서는 <핀치의 부리>라는 책을 떠올렸는데, 갈라파고스 섬에서 핀치들의 부리가 오래 이어진 가뭄을 통해 어떻게 진화했는지 실제로 관찰한 진화생물학자인 피터와 로즈마리 그랜트 부부의 이야기를 비롯한 진화생물학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논픽션이에요. 사실 EF와 큰 상관은 없지만...
그래도 굳이 연결해보자면 '핀치' 그리고 '핀치의 부리'는 뉴턴의 '사과'처럼 진화생물학에서 하나의 상징물이죠. 다윈은 진화가 너무 느린 과정이라 한 사람의 생애에서는 관찰하지 못할 거라고 말했는데, 핀치의 부리가 진화하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그 말이 틀렸음을(그리고 당연히 진화론이 옳음을) 실증할 수 있었으니까요. 진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양성'('mono'에 반대되는)이고, 또한 다윈의 진화론은 기독교적 세계관에 카운터를 날렸으니 '배교자' 율리아누스와 연결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따라서 엘리자베스 핀치는 엘리자베스(쿳시의 작품을 연상시키는 형식)과 핀치(다윈의 진화론에서 중요시하는 '다양성'과 율리아누스가 믿었던 '다신교'에서 공통되는 'mono'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제목이라고 우겨봅니다......
밥심
@금정연 님. 책 많이 읽은 분 아니면 할 수 없는 의견을 정성스럽게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자가 엘리자베스 핀치를 실제 소설가 두 분을 모델로 해서 구상했다고 하니 이름인 엘리자베스도 금정연 님 말씀처럼 소설에서 취했을 수도 있겠다 싶네요. 핀치의 경우는 아이디어의 확장이 대단한데요. 갈라파고스의 핀치를 떠올리신 것 자체도 대단하지만 다양성의 진화와 연결해서 의미를 부여하시다니. 맞고 틀리고를 떠나 재밌는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어쨌든 저자에게 제목을 어떻게 붙였냐고 물은 독자나 기자들이 분명 있었을 겁니다. 중요한건 아니지만 정답이 궁금하긴 하네요.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1761.jpg)
호디에
쓰신 글을 보고 곰곰 생각해보니 <엘리자베스 코스텔로>의 엘리자베스와 EF의 분위기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전 <엘리자베스 코스텔로>를 읽으면서 피터 싱어를 떠올렸었더랬는데, 다윈의 진화론이나 다양성과는 아무 상관이 없음에도 피터 싱어가 강하게 주장하는 동물권도 떠오르고... 그렇습니다. (무슨 말인지...)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6780_2024_09_19_21_06_09_215.jpg)
금정연
엘리자베스 코스텔로를 쓰며 분명 피터 싱어의 논의를 참고했을 것 같아요. EF가 동물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지 궁금해지네요.
JJF
“ 교회에 일신교적이고 억압적인 면이 덜했다면, '우리와 비슷하지 않은' 사람들의 추방이 없었다면, 브리튼 사람들은 더 자유럽게 섞였을 것이고, 다른 인종 간 출생은 정상이 되었을 것이고, 백색은 우월의 지표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지위와 돈과 권력을 나타내는 분명한 표지가 지금보다 적은 사회가 되었을 것이다. ”
『우연은 비켜 가 지 않는다』 212-213,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문장모음 보기
JJF
앗 이걸 실수로 두번 올렸네요 죄송합니다..
JJF
다들 둘을 엄청 흥미롭게 읽으셨군요! 저는 둘을 길을 잃은 기분으로 읽었습니다. PG로 시작해서 갑자기 율리아누스 황제의 전기로 넘어가다니... 줄리언 반스가 대단한 작가이긴 하구나 싶더라고요. 엘리자베스의 전기가 나올거라고 생각했던 첫장 마지막의 제 기대를 완전히 뒤엎었습니다. 미완성 프로젝트의 대가가 완성한 첫 프로젝트가 엘리자베스 전기가 아니라 율리아누스에 관한 에세이라니... 그걸 다 쓰고 칭찬받고 싶어하는 듯한 닐의 태도에 슬며시 웃음이 나긴했습니다만 대체 이게 어떻게 이어지는 건지에 대한 고민이 깊었어요.
그러다가 Mono에 대한 언급과 이어지는구나 싶더라고요. 일신교 사회로 흘러가고 있는 로마를 다시 다신교로 돌리려는 마지막 시도였던 율리아누스 황제와 Mono로 시작하는 단어 중 좋은 게 없다던 엘리자베스의 말이 교차하며 여러 생각을 하게 하더라고요.
하지만 여튼 저에게 둘은 너무 어려운 챕터였습니다... 하핳......
JJF
“ 교회에 일신교적이고 억압적인 면이 덜했다면, '우리와 비슷하지 않은' 사람들의 추방이 없었다면, 브리튼 사람들은 더 자유럽게 섞였을 것이고, 다른 인종 간 출생은 정상이 되었을 것이고, 백색은 우월의 지표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지위와 돈과 권력을 나타내는 분명한 표지가 지금보다 적은 사회가 되었을 것이다 ”
『우연은 비켜 가지 않는다』 212-213,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문장모음 보기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2891_2024_03_08_21_43_59_071.jpeg)
흰벽
저는 바로 이런 의외성 때문에 줄리언 반스가 좋더라고요^^
그러나 저는 셋에서 길을 잃었답니다... 그 이후 닐의 행보가 아리송하더라고요. EF의 전기를 쓰겠다는 건지, EF의 구남친을 찾겠다는 건지... 아니 닐의 행보는 그렇다치고(그냥 EF에 대한 팬심으로 이해), 소설의 흐름이 둘까지는 맥락이 잡혔는데 셋에서 갑자기 흐트러진 느낌? 물론 문제는 줄리언 반스가 아니고 저일 겁니다. 며칠 지나서 처음부터 정독해보려고요...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6780_2024_09_19_21_06_09_215.jpg)
금정연
3주차에 다시 이야기할 수 있겠지만, 저는 이것이 결국 서사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가 생각해요. 역사뿐 아니라 스스로의 인생에서도, 그리고 남을 판단할 때도 역시 우리는 서사를 통해 이해하잖아요. 물론 서사는 완벽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종종 서사는 부족할 뿐만 아니라 유독하기도 해요. EF에게 일어난 '망신 주기'가 그렇고 '배교자 율리아누스'라는 딱지 자체도 그런 것처럼요. 하지만 그것이 악의적인 비난이라서 나쁜 건 아니에요. 서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다양성을 허용하지 않는 단일한(mono) 이야기라는 점에서 누군가에 대한 무조건적인 찬양 역시 누군가에 대한 악의적인 비난과 똑같이 나쁜 것일 테니까요. 그리고 그러한 단일성이 바로 EF와 율리아누스가 비판했던 것이고요. 닐은 EF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찬양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고, 그래서 작업을 시작했는데, 어느 순간 자기가 하는 일이 EF의 생각과 정반대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길을 잃은 게 아닐까요? 따라서 닐을 따라가던 소설 또한--필연적으로, 그리고 이 소설을 단일한 결말로 닫아버리지 않기 위해 의도적으로--흐트러질 수밖에 없는 것이고요. 두서없지만... 올려주신 감상을 보고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 2권에 율리아누스의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요, 그중 율리아누스가 믿었던 다신교에 대해 이런 구절이 나와요.
"그리스 신화는 '신자들의 마음을 전적으로 사로잡아버리는 단단하고 분해 불가능한' 사상 체계가 아니다. 이 신화는 '느슨하고 신축성 높은 여러 이야기들'로 이루어져 있고, 따라서 '이 신들을 예배하는 자는 자신의 종교적 믿음을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었다."
작은따옴표는 제가 했는데요, 말하자면 닐은 자신이 EF에게 사로잡혀 '단단하고 분해 불가능한' 이상적인 인간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깨달은 거죠. 물론 그전에 믿음이 깨지는 과정에서 혼란을 피할 수는 없고요.
소설의 차원에서 보자면, 우리는 소설을 통해 인물들의 서로 대립되는 이야기가 경쟁하다가 결말에 이르러 결국 하나의 이야기가, 진실이 세워지기를 기대하잖아요. 이를테면 '닐은 EF가 완벽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EF에게는 경악할 비밀이 있었다, 빌어먹을 제프가 옳았다, 닐은 절망한다' 하는 식으로요.
하지만 반스가 그린 건 닐이 단일한 서사에서 벗어나 '느슨하고 신축성 높은 여러 이야기들'을 받아들이는 과정--거기서 느끼는 혼란함이고, 따라서 소설 역시 닐의 혼란을 공유하게 되는 거죠. 닐은 혼란스러운데 정작 소설은 말끔하게 막을 내린다면 그건 '느슨하고 신축성 높은 여러 이야기들'이 아니라 '인간이란, 역사란 느슨하고 신축성 높은 여러 이야기들임을 깨닫는 닐에 대한 단단하고 닫힌 이야기'가 될 테니까요. 그리하여 이 책을 읽는 우리는 자신의 문학적 감상을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는 게 아닐까요......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2891_2024_03_08_21_43_59_071.jpeg)
흰벽
아…! 자세한 의견 주셔서 감사해요. 상당히 수긍이 되는 의견에요!! 이런 관점에서 다시 읽고 3주차에 의견 보태겠습니다-
JJF
셋에서 길을 잃으셨다니... 한번쯤은 길을 잃을 수 밖에 없는 소설인걸까요? 정말 셋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얼른 시간을 내서 읽어야겠어요!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6780_2024_09_19_21_06_09_215.jpg)
금정연
일반적인 소설에서 기대할 수 있는 흐름을 내용과 형식 모두에서 피해가는 줄리언 반스! 그게 반스의 매력이면서 동시에 반스를 어렵게 만드는 요소인 것 같아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