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광수도 역시 작가이기 때문에 낭만을 찾고 술을 찾고 여자를 찾는 것 같다.
별것도 아닌 인생이
D-29
Bookmania
Bookmania
연쇄 살인마 은닉 장소나 여자를 데리고 데이트 하는 장소로는 자기에게 익숙한 장소로 데리고 가려고 한다.
Bookmania
마광수는 흰 피부의 여자도 좋아한다.
Bookmania
마광수는 반자연적 미를 숭상한다.
Bookmania
글을 이런 자세로
이런 스탠스(Stance)로 글을 쓰려고 한다.
글을 가볍게 쓰겠다.
현학적으로 글을 쓰면 뭔가 숨기려는 것 같고
솔직하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
말도 그렇지만 글에도 뭔가 느끼한 기름칠을 하면
상대를 속여 진실을 가려 보려는 의도가
숨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상대방을 속이려는 사람은 자기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게 대개는 상대의 혼을 쏙 빼놓는다.
그래서 진짜 작가는-자기를 미화하지 못하게 일부러-입이
대갠 걸고 옷을-상대방이 아닌 내게 맞춰-아무렇게나
입으며 술을 좋아한다.
그래도 글에선 여전히 솔직하지 못한 것 같아
술의 힘을 빌려서라도 취중진담(醉中眞談)을 하려 드는 것이다.
글이 상대방에게 잘 보이려 비위를 맞추는 게 아니라
스스로 솔직하면 언제나 당당하고 솔직하니까
글에 뭔가 활력이 붙고 생명력이 배가 된다.
그의 글은 한계를 모르게 된다.
또한 자기 모습을 그대로 남에게 보여주게 된다.
기존 틀과 주류에서 벗어나려 한다.
글은 독창성과 개인 상상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주류나 기존 틀은 사회가 원활히 돌아가게끔
여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걸 왜? 하는 것보다 현재의 안녕질서가 먼저다.
그냥 단순히 다수의 보통 사람이 원하는 거,
바로 그거다.
가장 모범적으로 보이는 생각이나 행동을 제시한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거, 교과서적 훈계.
다분히 획일적이고 각각의 개성을 소홀히 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극단적인 경우가 군대인데, 독재자는
모든 국민을 군대처럼 일사불란하게
지휘 통제하려 한다.
자기 말이 국민 개개인까지 미쳐
세뇌해 자기 생각대로 조종하려 드는 것이다.
개성이 강하고 가장 독특한 예술인들이
이를 용납할 리 없다.
이래 이것과 정반대 방향으로 가야 자기들이
자기 기질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술가들이 강하게 주장하는 게 ‘자유’와 ‘다원’인데,
기존 틀이나 주류는 이것과 반대인 획일이므로
여기서 벗어나는 글을 써야 진정 작가의 개성이 살고
인간의 강점도 점점 강화되리라 보는 것이다.
그렇지 않음에도
너무 희망만 노래하면 오히려 불행하고,
현실 모습 그대로 절망까지 직시하는 글을 견지하려 한다.
더럽고 보기 싫은 것으로부터 눈을 돌리는 게 아니라
“바로 이게 현실의 모습이다.”라고
그대로 기술(記述)하는 것이다.
그게 일상이 아닌 전쟁, 살인, 계엄 치하에서 나타날 때
너무나 큰 충격으로 다가온다.
“아니야, 이럴 수는 없어!”
계엄이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가당키나 하냐며
누가 예상이나 했겠나.
그러나 그런 징후는 있었다.
인정하기 싫은 그런 징후들을 외면했지만 그대로
그 징후를 직시했다면 그렇게 큰 충격으로
우리에게 다가오지는 않았을 것이다.
현실을 정확히 가리지 않고 봐야 그 대안도
정확히 세울 수 있는 법이다.
정확히 모르는데 어떻게 올바른 대안이 나오나.
인간 세상에서 안 일어날 일은 없다.
언제 어디서나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
625때 김일성이 밀고 내려가면 남한의
노동자, 농민들이 열렬히 환영할 거라고 굳게 믿었고,
이번 계엄도 알고 보면
시민과 양심 있는 군인들의 변수를 고려하지 못했다.
이처럼 현실을-정확한 통찰 없이-오판하면 그 결과는 뻔하다.
생각이 80년대 전두환 시절에 멈추어 있어서
시민의식이 급상승하고 군인들도 나치 전범인 아이히만의
‘생각 없음’에서 벗어난 걸 혼자만 몰랐던 것이다.
다 자기 좋을 대로 생각하고,
보고 싶은 것만 본 결과다.
자기에게만 엄청 중요한 것이 남들은 안 그럴 수도
있다는 걸 몰랐던 것이다.
견지할 글의 방향
○ 재지 않고 솔직하게 쓰겠다.
○ 주류에서 벗어나겠다.
○ 현실을 있는 그대로 기록하겠다.
Bookmania
예술가들은 자존심으로 먹고 사는데 자기가 관심 갖는 분야가 아니면 모조리 다 무시하거나 경멸한다.
Bookmania
여자는 자기 만족과 남자들의 음탕한 시선을 즐기기 위해 자기를 꾸미는 것 같다.
Bookmania
마광수는 찰나적 육체적 사랑만을 외치는데 하루키는 단 한 순간의 강렬한 느낌만을 갖고 평생을 그리워하며 사는 사람도 있다고 말한다.
Bookmania
마광수는 여자와 대화를 나누거나 삽입섹스가 아닌 페티시적 사랑을 더 선호하는 것 같다.
Bookmania
글도 자기가 관심 두는 분야에 대해 많이 쓰게 마련이다.
Bookmania
현실에선 그냥 만인이 나를 이해못하니까 그들의 반감에 일일이 토를 달 수 없어 적당히 타협하고(내 소중한 창작 에너지가 낭비되니까) 글에만 내 정신을 오로지 쏟는 것이다.
Bookmania
나도 모델쇼를 좋아하는데 마광수도 그렇다. 같은 점이 참 많다.
Bookmania
일본 AV에서 여자가 노예역을 하는데 대신 남자는 여자에게 성의 진정한 기쁨을 주는 것 같다.
Bookmania
마광수는 성적으로 남자에게 베푸는 여자를 최고로 치는 것 같다.
Bookmania
마광수는 센티멘털리스트다.
Bookmania
마광수는 글을 쉽게 잘 쓴다. 이해 안 가는 게 거의 없다. 고마울 따름이다.
Bookmania
원래 다 그런 것이다. 의사들은 의사들끼리 경쟁하고 카이스트애들은 자기들끼리 경쟁하면서 좌절해 자살로도 이어지는 것이다. 이런 게 인간의 어리석음이다.
Bookmania
예쁜 애들에게 화장을 안 해도 예쁘다고 하면 안 믿는다. 진짜인데 그들은 진짜 안 믿는 것 같다.
Bookmania
자기가 진정 하고 싶은 것을 하면 뭔가 욕구불만이 많이 줄어든다.
Bookmania
전엔 안 그랬는데 이젠 늙어 겨울이 너무나 춥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