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이 늦어 부랴부랴 완독 성공했습니다!! 뇌과학적 개념인 통제이론을 바탕으로 사람이 이야기에 빠져드는 근원적인 원리를 알게 된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또, 책 서두에 타 작법책이 캐릭터와 플롯 중 다소 플롯에 치중한 설명을 하고 있다는 점이 매우 공감되었습니다. 제가 쓴 글들에 대한 피드백들을 보면 "운반은 잘 하는데, 캐릭터가 너무 작위적이다."라는 피드백들을 계속해서 받곤 했었거든요. 그렇다면 어떻게 캐릭터를 입체적이고 매력적이며, 작위적이지 않게 만들 수 있는가에 대한 답에 대한 욕구를 이 책에서 많이 찾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스토리 탐험단의 첫 번째 여정 [이야기의 탄생]
D-29
그멍
화제로 지정된 대화
![](https://phinf.pstatic.net/contact/profile/blog/53/23/keewon77.jpg)
이기원
현재까지 확인된 완독자 명단입니다.
미스와플, 책방연희, 구반장, 고스트앤헌터, 완땡,
그멍, 시원한 바람, 뉘신겨, 쓸만치, kristine,
ssaanngg, 루까, 밥심, 호앙,참치단백,
비연, 그끄제, 욱희씨네, 리틀조이, 김하율,
초록바구니, 조지아, 박성은, 책읽을맛, 음작가,
사파리, 나래, 큰곰씨, 영글음, 그리다,
sunflower, 너부리, 포데로사, 네오9 , 칼리언니
수료증은 모임이 끝난 뒤 일괄 발급된다고 합니다. 완독하신 분 언능 자수하세요! ㅎㅎ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3348_2024_05_08_00_04_04_031.jpg)
영글음
4장까지 완독했습니다. ^___^
1월이 거의 다 갔다는 게 믿기지 않을 뿐이요.
리틀조이
글쓰기는 사실 과학?이며, 결함있는 인물의 매력과 중요성을 배운 시간이었습니다. 완독했다고만 댓글을 달면 되나요? 어떤 걸 인증하면 되는지. 채팅 읽는게 너무 어려운 ㅠㅠ
![](https://phinf.pstatic.net/contact/profile/blog/53/23/keewon77.jpg)
이기원
@리틀조이 네, 완독했다고 댓글 다시면 됩니다. ㅎㅎ 반영하겠습니다.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1474_2024_11_16_10_02_19_193.jpeg)
김하율
완독했습니다^^
![](https://phinf.pstatic.net/contact/profile/blog/53/23/keewon77.jpg)
이기원
@김하율 넵 ㅎㅎ 수고 많으셨어용!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8640_2025_01_28_00_38_49_887.png)
초록바구니
약간 어려웠던터라 완독했다고 말해도 되는지 모르겠지만 어쨋든 다 읽었습니다!
![](https://phinf.pstatic.net/contact/profile/blog/53/23/keewon77.jpg)
이기원
@초록바구니 어쨌든 다 읽는 것이 젤 중요합니다.
![](https://ssl.pstatic.net/static/pwe/address/img_profile.png)
조지아
@이기원 조지아 완독했어요. 감사합니다.
![](https://phinf.pstatic.net/contact/20230107_147/1673070110296JFLs5_JPEG/KakaoTalk_20230107_144102490.jpg)
목연이상미
완독하고 수료증 신청해야하는데 아직 반도 못 읽었네요
ㅠ
![](https://phinf.pstatic.net/contact/profile/blog/53/23/keewon77.jpg)
이기원
@목연이상미 힘내세요! 할 수 있다!
박성은
저 다 읽었습니다~~소슬 박성은입니다
![](https://phinf.pstatic.net/contact/profile/blog/53/23/keewon77.jpg)
이기원
@박성은 넵 알겠습니다.
박성은
저 다 읽었어요. 소슬입니다.
책읽을맛
저도 다 읽었다 신청하고 싶지만....
3장 겨우 넘어가고 있습니다.
1장을 읽을 때 많이 투덜댔지만,
2장에 부터 여러 작품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서 저를 끌어당기고 눈을 확 뜨게 했습니다.
여짓껏 나는 얼뜨기 독자였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 하였습니다.
수많은 소설을 그저 감정적 소비만 하고 있었습니다.
명작들을 보며 왜 명작인지, 지루하다고 생각 된 부분들이라든가 이걸 너무 좋다고 이야기하는 사람을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이제 알게 되었습니다. 제 표피적인 독서때문이였다는 것을...
의도와 다르고 뜻하지않는 수확에 당황하고 속 시끄럽기도하지만
이제 좋은 도구를 하나 갖추게 된 것 같습니다.
어떻게 써야하는지 여러 책을 읽으면서 기술을 익혀야 하겠지만요.
좋은 모임을 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의례적인 말이 아니고 기회를 주셔서 진짜 고맙게 생각합니다.
이 모임이 아니였으면 이 책 3장까지라도 꾸역꾸역 읽지 못했을 거에요.
모임에 글 한자라도 남기려고 찬찬히 읽었던 것도 중요한 요인이였고요.
정말 감사합니다.
![](https://phinf.pstatic.net/contact/profile/blog/53/23/keewon77.jpg)
이기원
@책읽을맛 3장까지 읽으셨으니, 수료증 드리겠습니다. 꼭 다 읽으세요!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8563_2024_12_26_09_47_32_292.jpg)
나래
저도 흥미진진하게 벌써 다 읽었는데, 공유를 게을리했네요. 통제이론이 인간의 기본이라는 전제가 인상적이었고, 다 읽으니 어느새 결함이 캐릭터(사람)의 매력이라고 여기게 되었네요. 요약해설도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모임도 신청했습니다^^
![](https://phinf.pstatic.net/contact/profile/blog/53/23/keewon77.jpg)
이기원
@나래 수고하셨어요. 저는 통제 이론이 좀 어렵더라구요. 나중에 다시 통제이론만 따로 공부해 보려구요.
kristine
3장 page 218 아래부분에서 세익스피어의 위대성이 나오는데.. 공감이 되어 적어봅니다.
흔히 세익스피어의 존재성은 심리적 진실에 있다고 말한다. 최근 연구 되고 있는 마음의 과학에서 이 말이 놀라울 정도로 입증 되었다. 세익스피어는 항상 심리적으로든 신학적으로든 사람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설명 하는데 회의적인 입장이었다.
그리고 그의 회의적인 태도가 전적으로 옳았다는 사실이 현대의 과학으로 입증 된 것이다.
사실 누구도 자신이 어떤 행동을 왜 하는지 잘 모른다. 리여왕 또 이아고도 나도 당신도 마찬가지다. 세익스피어는 인물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관객이 그 이유를 짐작할 여지를 남겨서 관객의 가축화 된 뇌를 훌륭하게 가지고 놀 수 있었다.
우리에게는 인간 행동에 원인과 결과 보다 더 흥미로운 것이 없다. 섹스피어는 극적 질문에 답을 모호하게 제시함으로써 타인과 그의 기묘함에 대한 우리의 무한한 호기심에 접근 한다음 인물과 작품에 경이롭고 집요하게 파고 들었다.
또 우리가 이야기에 끼어들 여지를 남겼다. 이를테면 우리는 이야기를 따라가며 생각한다. 나라면 저런 행동을 할까? 이 인물은 왜 그렇게 행동 할까?
근원적인 상처는 뇌에서 모형이 생성 되는 동안 생성 된 것이기 때문에 상처로 인한 결함이 우리라는 존재에 통합 된다. 한마디로 내면화 되는 것이다.
우리는 왜곡되고 부서졌는데도 절대적으로 선명하고 현실적으로 보이는 세계 모형을 통해 세상을 내다 보면서 성장 한다.
때로는 실제 현실이 반발 할 수도 있다. 결함 있는 모양에서 예측 하지 않는 대로 주변 환경에 무언가가 변하거나 우리는 그의 따라 적절히 대처 하지 못 할 수도 있다. 이런 혼란을 잠재우려고 해 보지만 환경에 변화가 모형의 결함을 직접 타격함으로 혼란을 누르는데 실패하고 갈등을 겪을 수 있다. 우리가 옳을까 아니면 사실은 우리의 잘못일까
이렇게 우리의 정체성을 이루는 심오한 신념이 잘못된 것으로 밝혀 진다면 대체 우리는 누구일까 이렇게 극적 질문이 제기 되고 이야기가 시작된다.
우리가 누구이고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지 알아내려 한다는 것은 이야기가 던지는 도전을 받아들인 다는 뜻이다. 우리는 변화할 만큼 용감한가? 이야기에 플롯이 그리고 인생이 우리에게 묻는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