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님들 많은 모임 같아서 걱정이 됩니다.모임내의 이야기를 내가 소화할 수 있을까. 내 궁금증을 내려놓아도 될 자린가..하고요. 그저 내가 좋아하는 이야기가 어떻게 만들어졌나 궁금해서 들어왔는데....
책 앞부분을 조금 읽어 봤는데, 맞는 이야기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과라서 그런지 진짜 과학적 설명인지 약간 의문을 가지며 읽고 있습니다. 무리해서 뇌과학을 잇는 것이 아닌가 우려가 있었습니다.
몇 분 어렵다는 말씀 듣고 내가 오독하는 건 아닌지 다시 점검하며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토리 탐험단의 첫 번째 여정 [이야기의 탄생]
D-29
책읽을맛
![](https://phinf.pstatic.net/contact/profile/blog/53/23/keewon77.jpg)
이기원
저도 이과이고 공대 나왔습니다. 때문에 더 흥미로웠습니다.
이 책은 작가를 위한 책이라기 보다 일반인을 위한 교양서에 가깝습니다. 걱정 마시고 재미있게 읽으시기만 하면 됩니다.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8563_2024_12_26_09_47_32_292.jpg)
나래
“ 좋은 이야기는 인간 조건을 탐구한다. 극의 표면에서 벌어지는 사건보다 인물에 더 집중한다. 낯선 마음으로 떠나게 되는 흥미진진한 여행이다. 첫 페이지에 등장하는 인물은 결코 완벽하지 않다. 우리가 그 인물에게 호기심을 느끼고 극적인 싸움을 제공하는 이유는 그가 성공하고 매력적인 미소를 가졌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가진 결함 때문이다 ”
『이야기의 탄생 - 뇌과학으로 풀어내는 매혹적인 스토리의 원칙』 p.84, 윌 스토 지음, 문희경 옮김
문장모음 보기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v2/profile_18304_2025_01_03_10_31_07_166.jpg)
교담
“ 인과관계야말로 인간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중략) 장면은 극적이어야한다. 장면을 시작할때는 주인공에게 문제가 있어야하고, 절정에 이를 때는 주인공이 좌절하거나 다른방법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한다. P.79 ”
『이야기의 탄생 - 뇌과학으로 풀어내는 매혹적인 스토리의 원칙』 1 장 만들어진 세계, 윌 스토 지음, 문희경 옮김
문장모음 보기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IMG_7896.jpg)
도원
이야기는 우리의 존재에 의미가 있다는 착각을 일으켜서 삶의 혹독한 진실을 외면하게도 해준다."
『이야기의 탄생 - 뇌과학으로 풀어내는 매혹적인 스토리의 원칙』 서론, 윌 스토 지음, 문희경 옮김
문장모음 보기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IMG_7896.jpg)
도원
많은 이야기가 예기치 못한 변화의 순간에 시작된다. 그리고 그 순간을 통해 이야기는 이어진다.
『이야기의 탄생 - 뇌과학으로 풀어내는 매혹적인 스토리의 원칙』 1장. 만들어진 세계, 윌 스토 지음, 문희경 옮김
문장모음 보기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IMG_7896.jpg)
도원
“ 현실에서 우리가 만나는 얘기치 못한 변화는 대부분 전혀 중요하지 않은 일이다. (중략). 그래도 변화가 중요한 순간들이 있다. 그럴때 우리는 행동한다. 그리고 그 순간에 이야기가 시작된다. ”
『이야기의 탄생 - 뇌과학으로 풀어내는 매혹적인 스토리의 원칙』 1장. 만들어진 세계, 윌 스토 지음, 문희경 옮김
문장모음 보기
![](https://gmeum-application-production.s3.ap-northeast-2.amazonaws.com/uploaded/profile/images/IMG_7896.jpg)
도원
참가자들이 답을 알고 싶은 강렬한 충동에 이끌려 그 시간만 끝나면 공짜로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는데도 굳이 정보를 더 얻기 위해 기꺼이 돈을 지불한다
『이야기의 탄생 - 뇌과학으로 풀어내는 매혹적인 스토리의 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