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의 문제는 지금의 한국사회에 어떤 질문을 남기는가. 피해자에 대한 사과와 배상, 회복은 당연하고 이를 위한 논리, 그리고 이후로도 전시 성폭력에 대한 확장된 논의로서 진전되기 위해서 지금, 우리는 책임을 다 하고 있는가. 그에 대한 대답을 듣고 싶어서 집어든 책.
독서 기록용_'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D-29
청명하다모임지기의 말
청명하다
패전 후 이들의 존재를 은폐했던 일본 정부와 더불어, '위안부'를 전쟁범죄에서 제외한 연합군에도 (중략) 책임을 물었어야 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34,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강간은 종종 민족주의라는 프리즘을 통해 굴절될 뿐만 아니라 군사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정당화 담론에 동원되기도 한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50,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여성에 대한 대규모 폭력을 민족 경계에 기반해 기소하는 것은 1990년대 중반의 페미니스트 정치에 있어 최선의 방법이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53,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따라서 그녀들이 입은 피해는 민족적 피해로 환원될 수 없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81,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오랫동안 그녀들에게 덧씌워진 스티그마를 스스로 벗어던지고 자신들이 입은 성적 피해에 대해 당당하게 가해자의 죄를 물으며 투쟁을 이어가겠노라는 결의를 표명한 것이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03,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점은 '가시적인 것을 분배하는 방식 내에 희생자를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09,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귀향>은 '위안부' 경험과 관련해 이렇게 현재의 침묵과 과거의 비명이라는 두 개의 목소리의 계열체로 구성되어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p.116~117,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민족의 '어린 소녀'를 지키지 못하고 제국주의 일본(인)에게서 '유린당하는' 것을 막지 못한 데서 오는 죄책감의 이미지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 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25,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귀향>의 지옥도는 극단적인 부감 쇼트를 통해 조망적관조적 속성을 한층 더 강화할 뿐만 아니라 압도적인 외양의 지배를 선언함으로써 그려지는 대상을 추상화한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32,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이미 식민지 조선은 근대의 시간에 포섭되었음에도 말이다. 고향-집은 말끔하게 표백되어 있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36,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소녀에서 할머니로의 전환은 일본군 '위안부'를 재현할 때 하는 전형적인 방식이다.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 - 민족주의와 망언의 적대적 공존을 넘어』 p.143, 권은선 외 지음, 김은실 엮음
문장모음 보기
채팅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