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씨 부인전>이란 드라마 혹시 아세요? 그 드라마의 어제 방영분에도 '소수자'들이 나오는데, 말씀하신 대로 뭔가 비밀이 있어 보이고 나와 조금이라도 다른 듯한 사람을 가만두질 못하는 건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도서 증정] <나쁜 버릇>을 함께 읽어요.
D-29

아고라

보금
사극에서 그리는 소수자 이야기 궁금해요. 그당시 누군가에게는 생존이 달린 문제이기도 했을 것 같아요.

숩니
나 스스로 나를 정의하기 전에 남들이 먼저 편견과 폭력으로 나를 한계에 가뒀다.
『나쁜 버릇』 p.86, 알라나 S. 포르테로 지음, 성초림 옮김
문장모음 보기
지혜
그렇군요. 그 드라마도 한번 봐야겠네요.
레몬
당시 허세에 가까웠던 중성적 문화는 우리 트랜스들의 욕망을 자극하는 동시에 더욱 고통스럽게 하는 신기루에 불과했다.
『나쁜 버릇』 p.59, 알라나 S. 포르테로 지음, 성초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레몬
이 문장과 비슷한 맥락으로 걸크러쉬와 브로맨스라는 단어들이 얼핏 조금 더 개방적인 사회를 표방하는 듯하나 성소수자의 존재를 비가시화 한다고 생각해요.

아고라
성별이분법에 매여 있는 단어들이라는 데 동의합니다.
레몬
“ 마르가리타는 계속해서 조롱의 대상이 되는 건 피할 수 있었지만 결코 여자 대접을 받지는 못했다. 그녀는 모범적으로 행동해야 했고 문제를 일으켜서도 안 되었다. 그것도 매우 유동적으로 적용되는 규범 안에서. ”
『나쁜 버릇』 p.72, 알라나 S. 포르테로 지음, 성초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레몬
성소수자를 비롯한 많은 사회적 소수자에게는 사회적 다수자보다 훨씬 높은 도덕적 잣대가 요구되는 것 같습니다. 도덕적이고 모범적이어야 하며 이타적이고 희생하지 않으면 사회 구성원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설령 그렇다고 할지언정 다수자들의 시혜적인 태도로 사회의 틀 끄트머리에 겨우 편입시켜 준다는 점이 씁쓸합니다.

보금
사람이 본래 나약해서 그 화살이 나에게 돌아올까 두려워 혐오의 대상을 계속 찾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아고라
오늘 우리가 함께 읽을 부분은 94쪽부터 137쪽까지입니다.
(제이/산블라스 너머/가족/페르 셈프레)
원치 않은 모습으로 내 몸이 변하는 역겨운 기분과 여자로서의 환희를 모두 느껴보세요.

보금
“ 내 몸에 대해 느끼는 혐오감이 어릴 적과는 달랐다. 전에는 땅의 현실에 묶여 달님이 내게서 멀어지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느낌, 천상에 있는 아름답고 만질 수 없는 어떤 것과 내가 멀어져 가는 느낌이었다면, 이제는 기형적이고 팽창된 느낌이 더해졌다. 나 자신이 죽은 껍질로 싸인 물체 같았다. ”
『나쁜 버릇』 p.95, 알라나 S. 포르테로 지음, 성초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보금
“ 나는 남는 자리가 있는데도 남자들이 두 사람씩 옆자리에 딱 붙어 앉아 있는 것을 처음 보았다. 자기가 원하는 자리에 앉아 있는 남자들을 본 나는 우연의 일치라고 생각하는 것들조차, 그러니까 공공장소에서 어떤 자리에 앉느냐 하는 것들조차 엄격한 사회적 규범의 지배를 받는다는 걸 그제야 깨달았다. ”
『나쁜 버릇』 p.106, 알라나 S. 포르테로 지음, 성초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보금
나는 생애 처음으로 나 아닌 다른 사람이 되기를 원치 않았다.
『나쁜 버릇』 p.137, 알라나 S. 포르테로 지음, 성초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보금
우연이라 생각되는 것, 혹은 무의식적인 일이라 치부했던 것들이 그래서 누군가에게는 더 상처가 되고 간절한 일이겠죠. 가까이에 있는 존재도 알아차리지 못할 때가 많기에 더 많이 읽고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야 할 것 같아요.

아고라
오늘 우리가 함께 읽을 부분은 138쪽부터 179쪽까지입니다.
(자기실현적 예언/야상곡/별거 아니야/마라노/칼립소)
남성의 특징을 갖추기 시작하는 자신의 몸에 대해 혐오감을 느끼면서도 남성성을 흉내 내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화자의 모습을 보면서 어떤 생각이 드셨나요?

아고라
함께 읽기 9회 차 중 오늘이 벌써 5회 차입니다.
열심히 참여해주시는 분들께는 모임이 종료될 무렵 수료증을 발급해드립니다.
그리고 인터넷서점에 서평을 써주시거나 sns에 포스팅을 해주신 분들 중 좋은 글을 써주신 분들께는 선물도 드릴 예정이니, 인터넷서점이나 sns에 글을 작성하신 후에는 꼭 알려주세요.

보금
삶을 이어간다는 것은 모든 걸 포기하는 걸 의미했다.
『나쁜 버릇』 p.143, 알라나 S. 포르테로 지음, 성초림 옮김
문장모음 보기

보금
모순적이게도 삶을 이어나가는 것이 나를 부정하는 일로 여겨지는 게 얼마나 괴로울까 헤아려봅니다.

아고라
이 책을 읽은 어떤 분이 "꼭 트랜스젠더로 살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하는 걸 듣고 좀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냥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는 것=자기를 부정해야 하는 일'인 사람을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좀처럼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아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