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하해 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어째서 다들 절 여태 여성으로 알고 계셨던......? ㅋㅋㅋㅋㅋㅋ
[박소해의 장르살롱] 20. <고딕X호러X제주>로 혼저 옵서예
D-29

무경
이지유
무경작가님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무경
감사합니다!

라아비현
수연은 저도 모르게 비명을 지르며 무너졌다. 토독 돌아서던 그것이 하얀 몸체를 돌려 수연을 본다.
『고딕 × 호러 × 제주』 말해줍서 35p, 빗물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라아비현
분명한 피 냄새였다. 그것도 더없이 진한 피냄새
『고딕 × 호러 × 제주』 너희 서 있는 사람들 p 85, 빗물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라아비현
이 두문장이 저에게 인상이 깊었네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무경
오늘 저녁 8시, 라이브 채팅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잊지 않으셨지요?
여러분들이 오시기를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조영주
이따가 숙소서 욜나게 쓰고 접속하겟심다!! 제주서 제주책 라이브챗이라니!!!!!

무경
현지 분위기 물씬 느끼면서! 오오... 부럽습니다!

장맥주
저도 제주에서, 조영주 작가님과 멀지 않은 곳에서 제주책 라이브챗 접속합니다~. 이따 뵐게요!

조영주
아직도 바다 근처 못가보고 있심다 내일은 진짜 가야지 흑

장맥주
<라하밈>에서 궁금한 점이 한 가지 있습니다. 본문에서 ‘분심’이라는 단어가 몇 번 나오고, 작가의 말에도 269쪽에서 두 번 나오는데요. 저는 이 단어를 처음 들었거든요. 다른 분들께는 익숙한 단어인데 저만 몰랐던 걸까요?
국어사전을 찾아보니 ‘억울하고 원통한 마음’이라는 뜻의 憤心이 있고, ‘마음이 어수선하여 주의가 흩어짐’이라는 뜻의 分心이 있네요. 아마 分心인 것 같기는 한데 그래도 뜻이 조금 헷갈려서 @사마란 작가님께 여쭤보아요. 分心의 의미로 쓰신 게 맞나요? 혹시 이게 가톨릭 용어인가요?

편집자N
사마란 작가님은 아니지만, 저도 '分心'의 뜻으로 이해했습니다. 찾아보니 가톨릭에서 많이 쓰시더라고요. :)

사 마란
네 分心이 맞습니다. 기독교에서 일반적으로는 쓰지 않는 표현, 예를 들면 하나님께 영광돌립니다라는 표현을 많이 쓰듯이 기도할 때 자꾸 딴 생각하거나 신앙에 의심이 들 때, 하느님께 집중하지 못할 때 분심든다...라는 표현을 많이 써요ㅎㅎㅎㅎ

조영주
오오 그쵸 위커맨 ㄷㄷ... 미드소마 보고 찾아봤었습죠

장맥주
미드소마 안 봤는데 줄거리만 보면 그냥 위커맨의 리메이크라고 해야겠던데요.

조영주
네 ㅋㅋㄱ 위커맨 오마주래서 거꾸로 찾아봤더랫심다. 위커맨이 훨 세더라고요

장맥주
니콜라스 케이지 나오는 리메이크도 괜찮습니다. 어떤 부분은 좀 더 나은 거 같기도 했어요. 왜 그렇게 욕 먹는지 모르겠던데요.

조영주
어어 그것도 봤던거 같심다 (가물가물)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