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용 읽기 진도]
12월의 첫 날입니다! 한 해의 마지막 달이기도 하네요.
세 번째 읽기 진도를 공지합니다.
12/1(일) - 12/4(수)까지, 3장 글쓰기 과정 - 성장 (~118p)까지입니다.
한 주가 조금 넘게 '글쓰기 과정'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세 번째 드리는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는,
해당 범위를 읽어가시다가 인상 깊게 읽은 문장을 수집해주시거나,
모호하게 다가오는 부분, 궁금한 부분, 저자의 생각과 다르게 생각하신 부분,
글쓰기 이외의 다른 책이 떠올라 연관짓게 된 경우,
책 꽂기 기능으로 책 소개를 공유해주셔도 좋겠습니다.
새로운 대화의 물꼬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내로
“진짜 문제는 글쓰기가 아니라 당신 자신일 지도 모른다.”는 저자의 마지막 말이 와닿았습니다. 비단 글쓰기뿐만 아니라 각자가 책임지고 있는 일에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생각해요. 더 정확히는 각자 안에 있는 검열관이 지속적으로 자신을 검토하도록 내버려두는 일이겠죠. 일은 지지부진해지고, 스트레스는 쌓여가며, 결국 악순환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 사실을 깨달으면서, 무작정 글쓰기에서 시작된 이 책의 여정은 어느새 업무의 루틴까지, 적지 않은 깨달음을 주고 있습니다.
김나은
안녕하세요 내로님:) 저또한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를 읽으면서 일상의 모든 순간들과 연결되는 단어와 태도들에게 대해 더 깊이 생각하게 됩니다. 마주하고 스며드는 모든 에너지들이 어떠한 형태와 방식으로 이어지고 소멸되어가는지를 더 명료하게 볼 수 있는 작업이 글쓰기구나, 보여지는 것들에 의해 새롭게 보여지고 변화될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구나 싶어서 좀 더 부지런히 써나가야겠다는 마음이 듭니다.
내로
@김나은 님처럼, 저또한 부지런히 쓰고 싶어서 부쩍 고민이 많아졌었고, 마침 그믐이 좋은 기회가 되었어요ㅎㅎ
ICE9
10분 무작정 쓰기도 사실 쉽지 않네요.^^
@김나은 님은 생활 속에서 쓰기 활동을 좀더 익숙하게 해나가시는 것 같아요.
지난 주처럼 격한 감정의 기복이 있는 경우에도 '무작정 글쓰기'를 해보신 적이 있으신지요?
무작정 글쓰기를, 이런 계기로 삼아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김나은
격한 감정의 기복이 있을 때 오히려 더 잘 써지는것 같아요:) 잘 써진다는 의미는 쏟아내어야만 견딜 수 있을만큼의 고통과 자극들이 횃불이 되어주어서 막무가내로 써버리다보면 어느덧 부정적인 감정들이 정화되더라구요. 쏟아낸 쓰레기들을 바라보면서 내가 무엇을 견디기 힘들어하는지 이해하고 다른 시선과 감정으로 바라볼 여유가 생기니 무작정 쓰는 것이 다시 중심잡고 가지치기하는데 도움이 되고있어요.
ICE9
성인이 된 지 한 참 지난(?) 저도 최근에야 '감정 들여다보기'에 관해 다시 생각해보곤 합니다.
어릴 때부터 사람은 상처를 받지 않고 성장할 수는 없는 것 같아요.
그런데 다시 생각해보니 이 상처와 고통이라는 것이 '몸'이라는 매개체가 없이는 발생할 수 없는 거였어요.
그런 의미에서 '감정을 돌보기'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는 중입니다.
몸의 결핍과 필요만 돌보는 것이 아니라 감정도 돌보아주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저는 이 작업에, 김나은님께서 말씀해주신 것처럼 '무작정 글쓰기'를 활용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무작정 글쓰기'로 뱉어진 표현들이 감정들을 마주할 수 있는 거울이자 창이 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감정을 들여다보는 글쓰기 경험을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ICE9
오늘 시도해본 10분 무작정 글쓰기는, 오늘 있었던 일을 가능하면 판단하지 않고 계속 연필을 움직여보는 쓰기였습니다. 중간 중간 머뭇거리기도 하고 오늘 있었던 일의 나열이 되었다가, 잠깐 관련된 저의 생각으로 옆길로 빠지기도 하네요. 피터 엘보의 말대로 ‘진퇴양란’의 상황입니다.
다만 어떤 면에선 그날 있었던 일/경험했던 일에 대해 하루를 마무리 하며 10분 글쓰기를 활용해도 괜찮을 것 같단 생각을 해봅니다. 게다가 저는 아침형 인간이 아니기에, 모닝페이지를 시도해 볼 엄두는 나지 않고요. 대신 수십년 동안 쓰지 않던 일기를 다시 써보는 기분도 들었네요. 무작정 끄적거리기를 하려고 노력했는데, A4 반정도 분량 밖에 나오지 않네요.(물론 손글씨므로) 폰트10으로 입력하면 절반도 나오지 않겠군요.
제 글쓰기를 되돌아보면 아직 의식이 끊임없이 생각에 개입하고 글쓰기를 방해하는 역할도 하는 것 같구요. ‘무작정 글쓰기’를 ‘무의식적 글쓰기’(29p)라고도 한다는 것이 기억납니다. 좀 더 연습하면 이 의식이 개입하고 방해하는 빈도수가 줄어들지, 아니면 이것도 의식적으로 조절이 가능할지(이 말도 자기모순적이네요^^) 궁금해지기도 합니다.
다른 분들 중에서 <아티스트웨이>를 읽으시고 모닝 페이지를 해오시는 참여자 분들의 경험은 어떠신지 궁금하네요~!!
ICE9
10분 쓰기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교정을 보지 않고 쭉 써나가는 연습이 된다는 것이다. 이 연습에 단련되지 않으면 글쓰기가 어렵게만 느껴진다.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 p56, 피터 엘보 지음
문장모음 보기
ICE9
글쓰기는 해결 불가능한 이런 진퇴양난에서 시작한다.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 p57, 피터 엘보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민혜
우리는 글을 시작할 때와 전혀 다른 방향에서 글이 끝날 거라고 예상해야 한다.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 피터 엘보 지음
문장모음 보기
김나은
모든 생명 에너지는 당신이 무시하거나 망각하고 있는 경험의 어느 한 구석에 갇혀 있는 법이다.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 P.104, 피터 엘보 지음
문장모음 보기
김나은
재료가 더 뜨거운 온도에서 익는 요리, 눈에 보이는 것보다 더 지속적이고 신비롭고 미세하고 밀도 높게 변하는 요리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 P.106, 피터 엘보 지음
문장모음 보기
ICE9
모든 건 탈선에서 시작된다. 글의 전체 맥락과 안 맞아 괄호 친 한 문장에서 새 글이 시작될 수도 있는 것이다. 우리의 느낌과 본능에 기회를 주자.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 p59, 피터 엘보 지음
문장모음 보기
ICE9
글을 쓴다는 것은 대야나 연못을 한 번 채우는 것이 아니라,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물을 계속 흘려 보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 p60, 피터 엘보 지음
문장모음 보기
ICE9
글쓰기 실력을 늘리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일단 쓰기 시작해서 무작정 내리 쓰는 거라면 먼저 체험하는 것은 혼돈과 방향 상실이다.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 p63, 피터 엘보 지음
문장모음 보기
리베라Libera
생명체는 대부분의 과정을 시
간의 흐름과 함께 순환하고 발전하여 마지막에는 처음 시작할 때와 전혀 다른 형태를 취한
다.
『글쓰기를 배우지 않기』 p.67, 피터 엘보 지음
문장모음 보기
리베라Libera
“ 글쓰기는 잠시도 가만히 있지 않고 날뛰는 말을 타는 것이고,
그 말은 붙잡고 있는 동안에도 계속 모습을 바꾸는 프로테우스다.
필사적으로 말을 붙잡아야 하겠지만,
너무 세게 붙잡으면 말은 스스로 변신하지 못하고
결국 글쓰기의 진실도 전해주지 못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