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쏘공은 읽을 때마다 새로 읽히는 부분이 많아요. 그래서 명작인가 싶습니다. 읽은지 오래 되셨다면 다시 읽기 추천드려요!
[📕수북탐독] 7. 이 별이 마음에 들⭐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서영인

지구반걸음
맞습니다. 적극추천합니다! ㅎㅎ

아린
저 어렸을때.. 아마 중학생??
혼자 머리 자르러 갔는데 .. 컷트해 주세요.
라고 했는데
상고머리??이렇게 물어봐서 뭔지도 모르고 네..라고 대답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상고머리가.. 상고여학생스타일??인거 같더라고요
여전히 왜 그 스타일이 상고머리인지..잘 모르겠지만요

김하율
아아... 상고머리가 그런 기원이 있는 뜻인줄 몰랐네요. 지금도 저희 어머니는 제 두 살 아들에게 상고머리로 잘라줘라, 라고 이야기 하시거든요. 하.. 일상에 깃든 단어들에 역사가 잠들어 있네요.

물고기먹이
네에에에에?!?!? 상고머리가 있어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린
ㅋㅋㅋㅋㅋ 검색해 보니까..제가 알던 그 뜻이 아닌거 같기도 하고요.ㅠㅠ....

김하율
뭐가 됐든 충격입니다 ㅋㅋ 헐, 합성어였다니.


장맥주
저는 바보같이 저 단어가 무슨 조선시대부터 내려오는 순우리말인 줄 알았어요. 어마어마하게 틀렸네요. ^^;;;

물고기먹이
상고머리 어원이라니 ㅋㅋㅋㅋ 넘 웃깁니다 ㅎㅎㅎㅎㅎㅎ

김하율
여공 1970, 저도 좋아하는 책입니다. 그 시절에 대해 많은 것을 기록하고 있는 책인데요. 이 별이 마음에 들어를 써야겠다고 마음 먹게 했던 책 중 하나랍 니다. 기록하는 자의 책무 같은걸 느꼈다고 할까요. 자꾸 기록하고 읽어야 잊지 않는다는 마음이요. 지금 이 시국도 역사의 한장이 되고 어떤 방식으로든 또 누군가 기록하겠죠.
화제로 지정된 대화

이정연
주말 잘 보내고 계시죠?
‘가족’을 화두로 질문을 드렸더니 여러분이 의견을 주셨네요. 고맙습니다.
같은 주제로 질문을 더 하겠습니다.
75페이지를 보면 ‘사실 이 시장통에 이모네라는 이름은 수십 군데쯤 된다. 하지만 고모네‘를 본 적은 없는 거 같다고 시장을 다니는 사람의 팔 할은 생각했다. 니나를 포함한 나머지 이 할은 아무 생각이 없었는데, 니나의 경우로 말할 것 같으면 이모도 없지만 고모도 없기 때문이다. 니나의 행성에는 가족이란 개념이 없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고모보다 이모를 가깝게 느끼는 건 생물학적인 근거가 있다는 과학 기사를 본 기억이 나는데요. 산업 구조가 변하고 가족에 관한 생각이 다양해지면서 가족 구성도 많이 변하는 것 같습니다. 핵 가족을 넘어 핵 개인의 시대로 접어든다는 분석도 있고요. 여러분은 가족이라는 제도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하리라 보시나요? 더불어 세태에 관한 질문을 드리면, 여러분은 이모와 고모 중 어느 분과 더 친밀한지, 친척들과도 교류가 많은지도 궁금합니다.

물고기먹이
가족이라는 제도가 굉장히 다양하게 만들어 질 것 같다란 생각이 듭니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혼자서 살기에 굉장히 외로운 동물(?)이라는 생각이 있기에 이제는 애완동물이라고 안부르고 반려견, 반려묘 처럼 동물들도 하나의 가족이 되는 시대에 와있잖아요?!
전에 어떤 기사를 봤는데 결혼을 하지 않는 비혼주의자 여자 두명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함께 살고 있기에 가족이라는 묶음으로 봐서 국가의 가족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시던 기사를 읽었던 것 같아요 예를 들어 동거인이지만 입원을 했을 때, 가족으로써 할 수 있는 권리, 수술동의서 및 가족돌봄휴가 등을 요구하는 내용이였습니다.
미래에는 이러한 굉장히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생길 것 같습니다.
저도 전에 한번 고모와 이모에 대해 생각을 해본적이 있는데요.
꼭 엄마의 동생이 아닌, 피가 섞여있지 않더라도 엄마의 지인들을 삼촌/이모라고 부르잖아요?! 그리고 그러한 분들은 대게 호의적으로 잘 해주시구요!
그래서 기억에 고모들이 잘해준 기억보다 이모가 잘해주신 기억이 더 많아서 이모가 더 호의적인가?
싶다가도 친밀도를 생각하면 이모는 소고기 사드리고 싶은데 고모는 그냥 마주치고 싶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살짝 입장을 바꿔서 제 친오빠의 자식들에게는 제가 고모잖아요?!
어렸을 때 친오빠에게 맞고 큰 기억뿐이라 친오빠의 자식들보다 1살씩 형, 언니인
제 자식들이 저 친구들을 한번 쥐어박았음 하는 내리갈굼이 마음속에 살짝 있긴 합니다.
실제로는 그러지않지만요...암요...아이들도 만나면 나이대가 비슷해서 엄청 잘 놉니다.
엄마 아들(친오빠)를 생각하면 그닥 좋은기억이 없는게 그 감정의 오로라가 아이들까지 전염시키는 것 같아요.
고모들은 내리갈굼의 감정이 있는게 아닐까란 생각을 살짝해봅니다. ㅎㅎㅎ
친척들과의 교류는 거의 없습니다. 내 가족, 부모님까지 챙기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친척까지 챙기기에는 좀 마음의 여유가 없는 듯한 느낌이랄까요. 각!자!도!생! 합시다!!!

김하율
내리갈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왠지 막 공감이 가는 단어네요. 저도 나이차가 있는 오빠에게 어릴적 괴롭힘을 많이 당하긴 했지만 조카들을 갈구고 싶진 않은데 그 이유가 새언니하고 관계가 좋기 때문인거 같아요. 저는 오빠보다 새언니를 더 좋아하거든요 ㅎㅎㅎ

물고기먹이
아 작가님께서 새언니 이야기 하시니깐 또 생각해보니
새언니도 저에게 친오빠의 모지리같은 부분은 계속 이야기 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모는 엄마 뿐만 아니라 저희 아부지 욕도 꽤 하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사실 리스너의 달란트가 있나봅니다 다들 나에게 하소연해ㅋㅋㅋㅋㅋㅋ

김하율
앗, 우리 지금 메신저 하고 있는건가요? 실시간 댓글이 ㅋㅋㅋ 물고기먹이님 저하고 비슷한 부분이 많네요. 제 별명이 '성실한 청자' 예요! ㅋㅋㅋ 저도 리스너 기능이 굉장히 높은 인간입니다. 우리 엄청 조용한 곳에서 만나요!! ㅎㅎ

물고기먹이
넘 좋습니다 그믐에 잘 붙어있다보면 분명 작가님과도 만날 수 있는 시간이 있을 것 같아요!!!!
맛점하세요 작가님!!♥

김사과
지금 막 김하율작가님의 <어쩌다 가족>을 다 읽었습니다. 일단 정말 재밌네요. 첫 단편부터 빵-터졌어요. 가족이라는 심오하고도 심각하고 뻑하면 신파로 흐르기 쉬운 주제로 이렇게 재미있는 책을 엮어내시다니! 김하율작가님 팬할래요~
어쩌다 가족을 읽고나니 이 별이…에서 니나와 장수의 관계, 가족 아닌 가족인 이모들, 굴보와 그 아이. 더 새롭게 다가옵니다.
저는 적당히 화목하다 불화한 가족에서 자라서 적당히 불화와 화목을 오가는 가족으로 살고있어요. 한 번 결혼하고 아이를 낳으면 죽을 때까지 끊어지지 않는 관계죠. 앞으로도 이런 가족의 형태가 얼마나 지속될진 모르겠지만 이제는 끈적끈적한 피와 애정으로 이루어진 관계에 집착하진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이모와 고모에 대해 말하자면 저는 이모는 철없는 포지션, 고모는 따뜻한 포지션이었어요. 이모가 더 가깝고 친하 지만 내가 뭔가 잘못을 했을땐 고모 뒤로 숨겠다하는 식이었어요. 친척이라는건 정말 촌수의 가까움과 상관없이 자주보는게 최고인것같아요. 현재 저의 아이들은 고모 삼촌 다 있지만 어쩌다보니 조부모님 다음으로 자주 본 사람이 고모할머니라 고모할머니가 제일 친근합니다.

김하율
사과님, 감사합니다. 어쩌다 가족까지 섭렵하시고 대단하십니다. 사실 친인척은 촌수가 중요한 거 같지 않더라고요. 이웃사촌이라는 말이 있는거처럼 가까이 자주 본 사람이 제일 친합니다 ㅎㅎ

아린
아무래도 아이들은 엄마쪽 여자 가족이나 친구들과 더 어울리는 상황이 많게 되니까. 자연스레 더 이모가 가깝지 않을까 싶어요.
제 딸도. .제 친구들한테. 이름 붙여서 **이모. ##이모. 이런 식으로 부르거든요.. 그런데 아빠 쪽 여자친구? 는 없다보니. && 고모..? 이런 호칭의 사람이 없긴 해요...
가족이라.. 저는 조금 더 유연해지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촌수보다는 얼마나 더 자주 보는지.. 얼마나 더 친한지.. 이런 거요.. 또 딸 이야기지만.. 딸 입장에서 친한 친척이 팔촌?인가.? (자주 보거든요..) 이고.. 오히려 사촌은 설날 추석만 보니까 데면데면 하기도 하고요...
그리고,, 가족끼리 부르는 그 호칭도.. 제발 좀 없어지면 좋겠고요.. 아가씨나.. 도련님이라고.ㅜㅜ.. 부르는것도 좀 부자연스럽고.. 그래서 호칭 없이 부르고요.... 그리고 동서인데 나이가 저보다 많아서.. 동서라고 부르기 좀 뭐해서.. 또 호칭없이 부르고요. ..ㅎㅎ..
이런 서열상 호칭이 없어지면.? 좀더 친해 질 사람들을 친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가족도 1인 가족, 2인가족, 한 부모가족 등등 더 자유로운 형태가 많아 질 텐데.. 그 가족들이 아빠엄마딸아들 4인체제에 들어가지 않았다고 세모눈으로 보는 일은..점점 더 없어질테고..또 그렇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정연
@아린님, '누구 이모'는 정말 많이 쓰죠? 식당 종업원, 가까이 지내는 아는 아주머니에게도요.
전에 올린 게시물도 그렇지만 요즘에는 혈연에 의한 가족도 좋지만, 그렇지 않은 '대안 가족'도 늘어가고 있어요. 말씀하신 것처럼 가족을 좀 더 넓게 써서 호칭을 떠나 너른 마음으로 가까운 사람들을 받아들였으면 해요. 그게 정말 가족 아닌가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