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트 보고 장맥주님께서 등록하신 인생책 보러 갔어요. 상당히 대중적인 책들이라 반갑네요 ㅎㅎ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D-29
소피아
장맥주
제가 좀 취향이 대중적인가 봐요. ^^ 현학적인 문장을 별로 안 좋아하기도 하고요. @소피아 님 인생책도 궁금합니다~.
소피아
저는 인생책이 무엇이냐 같은 질문을 받으면 몹시 당황해요 (사실 현실에선 이런 질문 받지도 않습니다 ㅎㅎ)
당황하는 이유는 (1) 인생책이 자주 바뀌고, (2) 평소 기록을 안 해두기 때문에 무엇이 인생책이었는지 기억 나지 않으며, (3) 책보다 작가를 선호하는 충성심 있는 독자이기 때문에 책을 꼽기가 힘들기도 해요. 그러니까 이런 식이에요. 미야베 미유키 소설 전부, 마이클 코넬리 소설 전부 ㅎㅎ
서재에 생각나는 대로 대충 꽂아 보았습니다.
borumis
앗 전 인생책이 29권으로 제한되지 않아요..! 이건 그믐 숫자에 맞추려고 한 듯..? ㅎㅎㅎ
장맥주
네, 그믐의 시그니처 넘버가 29입니다. 그나저나 GEB가 @borumis 님의 인생책이군요!
소피아
저도 인도 낙살라이트 나올 때 <저지대> 생각났어요. 그 집안일은 나몰라라 하면서 혼자 대의를 위해 싸우는 척 하는 동생!
줌파 라히리가 혜성처럼 등장할 무렵엔 정말 열광했던 독자인데, 어느 순간 안 읽게 되더라고요. 줌파 라히리 단편은 현실에 필터 끼운듯 낭만적으로 변해가고, <저지대>같은 장편은 인도를 그렸으나 정말 인도 이야기인가? 싶은 느낌이고..(아, 이야기 자체는 훌륭하다는 것 인정합니디) 인도 이야기 쪽은 아룬다티 로이가 나은 것 같기도 하고요..인도 이야기 자체로만 치자면, 줌파 라히리 < 아룬다티 로이 <<< 로힌턴 미스트리 < (어나더 레벨) 살만 루슈디 —> 저한테는 대략 이런 순서
그냥 줌파 라히리 풍 미국 이야기라면 요즘 엔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가 나은 것 같아요.
오구오구
어머 그런 느낌이군요.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좋아해서 올리브 시리즈, 윌리엄, 최근 바닷가에서까지 모두 읽었어요~ 근데 마지막 바닷가에서는 조금 실망스럽기는 했어요. 줌파 라히리 저지대 ... 꼭 읽어봐야겠네요~
소피아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와 줌파 라히리 둘 다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미묘한 소용돌이를 포착해내는 능력이 최고죠. 눈에 보이지 않은 감정의 결을 매만지고 드러내는 것도 훌륭하고요.
스트라우트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올리브 키터리지에서 파생되는 인간 군상들 -“스트라우트 월드”를 만들어 냈구요. 그 속엔 우리 모두 처럼 후회하고 좌절하고 호되게 다치기도 하지만 다시 또 일어서서 걷고 있는, 영원히 응원하고픈 캐릭터 루시 바턴도 있잖아요.
줌파 라히리 초기 단편들은 정말 대단했는데, 이탈리아어 배우러 로마로 이주한 이후엔 이렇다 할 작품이 없는 거 같아요. 제가 모르는 건지도.. 게다가 시간이 오래 흐르고 나니 줌파 라히리 작품에서는 마음을 줄 만한 인물이 없네요.
borumis
저도 만날 이 두 작가가 헷갈린다는;; 이름도 완전 다른데;;
장맥주
헷갈릴만 하죠. 저한테는 외모도 좀 닮아 보입니다. ^^
장맥주
“ 그렇기 때문에 만약 마오주의자들이 반란에 성공할 경우 국가 통치를 위한 정확한 계획을 마련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전 세계 마오주의자들의 스타일로 보건대, 감정적으로 반란을 호소하는 일에는 능하지만 국가 내부의 심각한 병폐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 개선에는 취약하다. ”
『마오주의 - 전 세계를 휩쓴 역사』 534~535쪽, 줄리아 로벨 지음, 심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오타 신고합니다.
539쪽 둘째 문단 첫째 줄, [상당이]→[상당히]
YG
@CTL @소피아 네, 마오쩌둥은 현재 중국 공산당과 또 그 공산당이 이끄는 중국의 정체성을 만들어낸 인물이기 때문에 광장의 마오 사진이 내려지는 날은 소련이 해체되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 중국에서 벌어질 때에야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소피아 님께서 말씀하신 바로 그 상황이 앞에서 제가 잠시 소개해드린 『30년의 위기』(성균관대학교출판부)에 나옵니다. 차태서 선생님께서 미국이 '세계 경찰'을 포기했을 때 동아시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위기 시나리오 가운데 하나로 제시하죠. 차태서 선생님은 중국과 북한(조중 우호 협조 및 호상 원조에 관한 조약) 또 미국과 한국(한미 상호 방위 조약)이 모두 군사 동맹으로 엮여 있기 때문에 대만해협의 위기는 곧 남북 간의 확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하죠.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겠죠;
오구오구
상상만해도 끔찍하네요 ㅠㅠ 전쟁이라뇨
FiveJ
오늘 아침에 완독했습니다. 12장을 읽으면서 <중국 필패>가 오버랩 되면서 흥미롭고 쉽게 읽었네요. 결어 부분에서는 책 전반의 내용이 복습되어 , 책을 자연스럽게 마무리 할수 있어서도 좋았습니다. 12장과 결어부분을 읽으면서 민족주의가 점점더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강하게 부상하는 것 같아 걱정스러운 생각도 들었고, 중국과 인도차이나 국가들의 역사 에 대해 너무 모르고 살았다는 생각도 들었네요. 이번달도 YG님 가이드와 많은 분들의 토론글들 깨알 상식들로 인해 역시나 아주 즐거웠습니다. 주말에는 노이즈 책 구매하러 갑니다. :-) 감사합니다.
밥심
마지막의 연표와 사진이 벌써 가물거리는 책 앞쪽 내용을 상기시켜주어 정리하는데 좋네요. 그리고 역자후기에는 사상가의 사상과 사생활의 관계에 대한 역자의 생각이 나와있습니다(683-684쪽). 이 모임에서 이 주제로 비슷한 이야기들이 오간것 같아 언급해둡니다.
borumis
친절한 마무리죠. 전 동남아, 남미, 인도, 네팔을 거쳐가다보니 너무 감정적으로 소진되고;;;정작 앞의 부분은 가물가물;;;
밥심
그러게 말입니다. 요즘은 바로 전에 읽은 것도 돌아서면 까먹어서 독서가 뭔 소용일까 하는 회의에 빠지기도 합니다만 그래도 읽는 순간의 즐거움을 위해서라도 포기할 수는 없다고 다독여가며 읽습니다.
오구오구
아, 제맘이 그맘입니다. ㅠㅠ
CTL
오! 저는 전자책이라, 결론 끝내고 연표나오길래 책 덮었는데, 이 글 안 읽었으면 그렇게 많이 수록된 사진을 못 보고 넘어갈 뻔 했어요. 역자후기도 나중에 살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