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장 인상 깊었던 문장 >
"비가 올 것 같아.
너는 소리 내어 중얼거린다.
정말 비가 쏟아지면 어떡하지."
-1페이지
이유 : 1장에서는 비를 총 3번 걱정합니다. 수미상관으로 1쪽과 21쪽에서 두번, 그리고 18쪽에서 한번. 책의 첫 문장을 읽었을 때 호기심이 들었어요. '왜 비가 올까봐 걱정할까?' 본인이 우산을 두고와서 비를 맞을까봐, 그정도 생각이었죠. 하지만 18쪽과 21쪽에서 나온, 비를 걱정했던 이유는 제 추측을 부끄럽게 할만큼 무겁고 차가웠어요. 시체가 너무 많아 밖에 내놓아야 하는데 비가 오면 젖을까봐, 그리고 가족과 친구들을 추모하는 추도식을 나간 누나들과 사람들이 젖을까봐... 이렇게 어린 아이가 당시에 아무렇지 않게 그런 생각을 해야했다는 것이 슬펐습니다. 같은 하늘에서 내리는 비겠지만, 그당시 광주에서 죽음과 슬픔을 적시던 비는 분명 지금과 다른 감상을 불러일으키네요 🥲
[한강 작가님 책 읽기] '소년이 온다'를 함께 읽으실 분을 구합니다.
D-29
라꾸라꾸
소라너
혼들은 만날 수 없는 거였어. 지척에 혼들이 아무리 많아도, 우린 서로를 볼 수도 느낄 수도 없었어. 저세상에서 만나자는 말따윈 의미없는 거였어.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47쪽,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해날
“ p64 그곳으로 힘차게 날아갔다면 너를,방금 네 몸에서 뛰쳐나온 놀란 너를 만날 수 있었을까.여전히 눈에서 피가 흐르는 채,서서히 조여오는 거대한 얼을 같은 새벽빛속에서 나는 어디로도 움직일 수 없었어.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해날
정대가 혼이 되었다. 고통스러워했나, 아니 오히려 무덤덤한것같은 느낌이 드는게 왜 더 슬플까
죽었는대 왜 지금을 살아가는거마냥 행동하는건지 누나를 찾다가 너에게 가자고 다짐하던 그때 책을 덮었다 ㅠ
다시 읽기까지 시간이 꽤 걸렸다 망자의 목소리인데 하 왜그리 생생한건지
밝은밤
“ 누나는 죽었어. 나보다 먼저 죽었어. 혀도 목도리도 없이 신음하려고 하자, 눈물 대신 피와 진물이 새어나오는 통증이 느껴졌어. 눈이 없는데 어디서 피가 흐르는 걸까, 어디서 통증이 느껴지는 걸까.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50p,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밝은밤
정대는 누나의 죽음 예측하고 누나의 혼을 계속 찾으면서 행복했던 기억을 떠올리려는 모습이 안타깝고 혼이 떠다니는 장면이 글을 읽으면서 너무 생생하게 그려져서 너무 마음이 아팠습니다ㅜ
밝은밤
정대는 누나의 죽음 예측하고 누나의 혼을 계속 찾으면서 행복했던 기억을 떠올리려는 모습이 안타깝고 혼이 떠다니는 장면이 글을 읽으면서 너무 생생하게 그려져서 너무 마음이 아팠습니다ㅜ
공돌이
다들 너무 활발히 말씀해주셔서 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ㅎㅎ
다들 11월 10일까지 2장에서 인상적이었던 문장도 남겨주세요!!
공돌이
“ 그들의 얼굴을 보고 싶다, 잠든 그들의 눈꺼풀 위로 어른거리고 싶다, 꿈속으로 불쑥 들어가고 싶다, 그 이마, 그 눈꺼풀들을 밤새 건너다니며 어른거리고 싶다. 그들이 악몽 속에서 피 흐르는 내 눈을 볼 때까지. 내 목소리를 들을 때까지. 왜 나를 쐈지, 왜 나를 죽였지.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57-58,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공돌이
정대의 슬픔과 증오, 분노. 그 모든 감정들이 고스란히 전달되는 문장이었습니다 ㅠ
나무18
죽은 정대의 혼이였군요. 2장의 독백이 끔찍한 살육현장을 보여주는 것이었네요. 64쪽의 동호의 죽음을 느끼는 정대의 혼을 2장의 문장으로 꼽아봅니다. 환타지를 통해 사실을 더욱더 실감나도록 아프게 드러낼수 있음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나무18
그때 너는 죽었어.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64쪽,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율리안나J
“ 그들의 얼굴을 보고 싶다,잠든 그들의 눈꺼풀 위로 어른거리고 싶다, 꿈속으로 불쑥 들어가고 싶다, 그 이마, 그 눈꺼풀들을 밤새 건너다니며 어른거리고 싶다. 그들이 악몽 속에서 피 흐르는 내 눈을 볼 때까지. 내 목소리를 들을 때까지. 왜 나를 쐈지, 왜 나를 죽였지.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58,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율리안나J
죽은 정대의 혼이 억울함을 쏟아내는 듯한 이 대사가 그날에 아픈 기억을 가진 모든 이들이 내뱉는 말처럼 느껴져 마음이 아프네요...
유갱
그러니까 혼이란 건 가까이 있는 혼들이 누구인지는 알지 못하면서, 누군가가 죽었는지 죽지 않았는지만은 온 힘으로 생각하면 알 수 있는 거였어.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Ebook p.90/398,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유갱
정대가 첫 부분에서는 온 힘으로 떠올렸을 때 동호가 떠오르지 않다가 마지막 부분에서는 떠오르는 것을 통해, 동호의 죽음을 인지합니다. 그 배경이 되는 문장이어서 슬프면서도 인상적이었습니다.
Happyseed
“ 썩어가는 내 옆구리를 생각해.
거길 관통한 총알을 생각해.
처음엔 차디찬 몽둥이 같았던 그것,
순식간에 뱃속을 휘젓는 불덩어리가 된 그것,
그게 반대편 옆구리에 만들어놓은, 내 모든 따뜻한 피를 흘러나가게 한 구멍을 생각해.
그걸 쏘아보낸 총구를 생각해.
차디찬 방아쇠를 생각해.
그걸 당긴 따뜻한 손가락을 생각해.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2장 검은 숨,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Happyseed
노벨문학상 수상 시 '시적 산문'이라는 표현이 참 어울리는 부분인 것 같아요.
Happyseed
그리고 "따뜻한 피"와 "따뜻한 손가락"... 둘 다 "따뜻한"이라는 것도 머물게 되는 부분이었어요.
율리안나J
“ 네가 죽은 뒤 장례식을 치르지 못해, 내 삶이 장례식이 되었다. 네가 방수 모포에 싸여 청소차에 실려간 뒤에. 용서할 수 없는 물줄기가 번쩍이며 분수대에서 뿜어져나온 뒤에. 어디서나 사원의 불빛이 타고 있었다. 봄에 피는 꽃들 속에, 눈송이들 속에. 날마다 찾아오는 저녁들 속에. 다 쓴 음료수 병에 네가 꽂은 양초 불꽃들이.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p.102~103, 한강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