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챕터 Ⅳ. 그림 中 '10 홀바인의 그리스도'라는 이야기를 보면, <백치> 속에서 이폴리트가 홀바인의 이 그림을 보고 느낀 점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는데요
"십자가에 매달리기 전에 받았던 끝없는 고통, 상처, 고뇌, 십자가를 지고 가거나 넘어졌을 때 행해졌던 보초의 채찍질과 사람들의 구타, 마침내는 여섯 시간 동안 계속되었던 십자가의 고통을 다 참아낸 자의 시체였다. 사실 그것은 방금 십자가에서 내려진 인간의 얼굴이었다. 또한 신체의 어떤 부분은 아직 굳어 버리지 않아서 죽은 자의 얼굴에는 지금까지도 그가 느끼고 있는 듯한 고통이 엿보였다. 그 얼굴에는 조금도 부족한 데가 없었다. 그것은 가치 없는 진실이었고 실제 인간의 시신은 그러해야 했다. 그와 같은 고통을 겪고 난 후 인간이면 누구나 그 같은 모습이어야 한다. (후략)"
그림에 대한 설명은 이해하기 쉽지만, 이어지는 내용은 카라마조프에서 대심문관 시체의 악취로 빚어지는 무신론의 반어법 마냥 어렵습니다
"홀바인의 그림이 지닌 사실주의는 그리스도 부활의 기적이 만들어 낸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제자와 추종자들이 가졌던 신앙이 그들로 하여금 그리스도 부활의 기적을 목격하게 해준 것이다. 홀바인은 도스토옙스키식 논리에 따르면 리얼리스트이며, 그는 기적을 믿었고 그 믿음을 화폭에 담아 놓았다. 그것을 알아차리거나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은 관자에게 달려 있다. p.365"
흠... <백치>를 읽다가 <도스토옙스키의 철도, 칼, 그림>으로 한번 빠지니 더 어렵네요 다시 <백치>로 갑니다 ^^

도스토옙스키의 철도, 칼, 그림수십 년간 도스토옙스키를 파고들었으며 러시아 문학을 알리는 일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온 석영중 고려대학교 교수가 『백치』를 해설한다. 도스토옙스키의 5대 장편소설로도 꼽히는 『백치』는 극심한 고통 속에서 쓰였고, 작가가 특별히 사랑했다고 알려져 있다.
책장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