앗 siouxsie님이 선수를..;; 전 그럼 실로폰;;;
[그믐밤] 29. 소리 산책 <나는 앞으로 몇 번의 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
D-29

borumis

jena
ㅎㅎㅎ 실로폰도 있군요
투톤 블럭이라는 악기도 있어요
이런 악기들은 어떠실까요??
아래는 어떤 악기일지? 보실 수 있는 영상이에요
https://youtu.be/ItstzW7xuDU?si=THlGt8RECENdn_ox
우리가 들은 소리들을 악기에 담아보고 함께 연주하면 좋은 시간일것 같아요
벌써 기대가 됩니다....

siouxsie
제가 탬버린으로 포지션을 바꿔도 돼요 춤도 출게요 데헷

borumis
전 틈새시장을 노려 트라이앵글을 겨냥해보겠습니다! 냐핫

jena
소리를 듣는 활동을 하면서 우리가 듣는것이 ASMR인가요?
라는 질문을 주셨는데,
그렇기도하고~ 아닐 수도 있고 설명을 드릴 여유가 없었어요..
그래서,, 간단히 ??ㅎㅎ 내용을 올려보아요
ASMR은
-특정 청각적, 시각적, 촉각적, 자극에 의해 느껴지는 편안하고 쾌적한 반응 을 주는 소리.
-자율신경을 자극-즐거움, 이완 관련- 하는 소리로 사운드스케이프 안에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음.
-특정한 소리가 개인에게 어떻게 배치되고 느껴지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음
사운드 스케이프: sound와 landscape의 합성어(소리 풍경)
-사운드스케이프는 환경 속에서 들리는 소리를 포함하며,
소리 환경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음.
-소리가 공간과 환경 속에서 어떻게 배치되고 느껴지는데 초점을 두고 있음.
1) 지오포니: 지구가 자전과 종전을 하면서 만들어 내는 소리
예)비 내리는 소리, 천둥소리, 바람 부는 소리
2)바이오포니: 생명체들이 내는 소리
예) 곤충들이 움직이며 내는 소리, 새 소리, 동물들의 소리
3)엔스로포니: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소리
예) 사람들의 대화 소리, 움직일 때 나는 발소리, 노래소리
~~~~~~~저는 모든 소리에 관심이 있지만,,,
저의 관심은 사운드스케이프에 대한 관심이 더욱 크답니다.

jena
노을을 보고 있자니, 구름의 느긋한 움직임이 느껴진다.
과연 도쿄에서 몇 명이나 이걸 보고 있을까/
구름의 움직임은 소리 없는 음악 같다
『나는 앞으로 몇 번의 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 p365, 류이치 사카모토 (Ryuichi Sakamoto) 지음, 황국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jena
모두~ 안녕하신가요?
저는 너무놀란 밤과 새벽을 보내었습니다.ㅠㅠ
이럴땐 어떤소리를 내는 사람이어야하는가?라는
책과 관련해서~~~ 고민이 되기도했어요

siouxsie
제 지인들은 '대통령의 자살골. 으이구 잘했다 잘했어'
'대통령의 이벤트였나요?' 등의 톡을 보냈어요
이런 시국에도 유머감각 잃지 않는 의지의 한국인들!!
그리고 전 학생들에게 보여 줄 영화를 고르다가 이런 영화를 발견했습니다. 개봉일도 12월 12일.....

퍼스트레이디돋보이고 싶은 욕심에 학력과 경력을 부풀리고 논문 표절 의혹에 휩싸인 대한민국 대통령 영부인. 숱한 무속인 관련설, 대통령실과 공관 이전 논란, 국정개입을 넘어선 공동정권설, 과거 저지른 사문서 위조와 주가조작 연루 사건, 고가의 디올백 수수,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민간인 국정 개입 의혹 등 다이내믹한 대한민국의 영부인의 실체적 이야기를 다룬 용산 VIP를 둘러싼 문제적 다큐멘터리 영화
책장 바로가기

jena
설마~? 하고 보았는데,
제가 아는 그 얘기를 다룬 영화이군요....
여러 생각을하게되는 그런때인듯 해요ㅠㅠ

jena
2️⃣이책을 읽으며.. 함께 읽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책이있으면 나누어보아요~~~
이책을 읽으며~죽음에대한 책을 같이 읽어보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때 떠오른 책은 (인생수업) (숨결이 바람될때)...예요
죽음,..을 우울한것, 무서운것..으로만이 아닌
우리에게 모두 다가올 일로
잘...생각해보고
책속에 남겨진 글들로 읽고
생각을 나누어보면....좋을거같다 생각되기도해요
또 어떤 책들이 있을까요?



borumis
저는 Atul Gawande의 Being Mortal (어떻게 죽을 것인가)도 좋았고
우리나라에선 절판되었고 장르소설이지만 제게 죽음에 대한 철학적 고민을 많이 던져준 좀 많이 독특한 추리소설 야마구치 마사야의 '살아있는 시체의 죽음'이요.
어떻게 죽을 것인가의학과 공중 보건의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대폭 늘어났다고 하지만, 생명이 있는 것들은 모두 언젠가 죽는다. 인간의 어떤 시도에도 불구하고, 종국에는 죽음이 모든 것을 이긴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의 저자 아툴 가완디의 문제의식은 바로 그 지점에서 시작된다. 우리가 언젠가는 반드시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라면, 죽어갈 때 취할 수 있는 선택지는 무엇이 있을까? 그 자신이 의사이기도 한 가완디는 우선 의료계의 변화를 촉구한다. 관절염, 심장질환 같은

살아 있는 시체의 죽음기이한 설정과 창조적 세계관으로 일본 본격 추리소설 역사상 가장 참신한 작가로 인정받고 있는 야마구치 마사야의 데뷔작. '죽은 이가 되살아난다'라는 초현실적인 소재에 사학死學을 기반으로 한 현실적인 룰을 적용한 작품이다. 살인예고장, 밀실 살인 등 추리 소설의 상습 소재를 총동원하면서도 그것들을 비틀어 새로운 재미를 준다.
책장 바로가기

jena
(살아있는 시체의 죽음)......제목이 무섭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매우 궁금하네요..
(어떻게 죽을것인가) 관심 도서 목록에 있었는데
이책도 궁금하고요~^^

jena
(음악으로 자유로워지다)
류이치 사카모토의 책을 함께 이어 읽고싶어서..
E book으로 보았는데~종이책을 주문해두었어요~^^
언제부터 함께 읽음 좋을지? 생각중입니다.
언제부터 시작하면좋을까요?ㅎㅎㅎ
그리고,
(나는 몇번의 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는
다 읽으셨나요?
29일동안 함께 읽은 소감도 나누어가고 싶어요~^^

siouxsie
전 언제든 참가합니다!

jena
소리로 함께한 그믐밤
함께 기록한 소리글들이 어찌 되고있는지? 궁금하시죠?
멋진 영상과 함께 만들어지기 전~~
음악을(영상은 달라질 수 있어요)살짝 공개해보려합니다
김새섬 님이 작성해주신 글
'오늘 밤, 달이 뜨는 소리,
우리가 사라지면 암흑이 찾아온다'를
바탕으로 만든 곡은
곧 살짝 공개해드려요~^^

siouxsie
방금 듣고 댓글도 남겼어요~노래도 직접 부르신 건가요?
놀라움이~~~노래도 느무 좋아요

jena
네넹~^^
수지님의 댓글 보았어요
세상의 기술적 도움을 받아 탄생 된 곡입니다...ㅎㅎㅎ
저도 작곡을 할 수 있지만..
빠른 시간안에 그 날의 기록을 음악으로 만들어 내기는 어려워 기술의 도움으로 탄생시키게 되었어요~~^^

김새섬
와!!!! 음악 진짜 너무 좋아요~~ jena 님 천재 아니신가요?
저 지금 몇 번을 듣고 있는지 몰라요. 그믐밤 주제곡 탄생!!!

siouxsie
그러니까요. 노래 넘 좋아요
뭔가의 도움을 받으셨다고 하는데 전 그런건 모르겠고 '우리가 사라지면 암흑이 찾아온다 해도 이 순간 우리는 빛을 따라가요.' 귀에서 맴돌아용

jena
제가 여러개의 명령어와 질문을 넣었지만,
저의 완전한 창작물은 아니어서 조금 쑥스러워요~~ㅋㅋㅋ
함께 다시 만나는 날
그믐만의 멋진 연주곡도 만들어 녹음해 보고 싶네요
이런 멋진 독서 모임을 할 수 있는 건 그믐이기 때문이겠쥬?~ㅎㅎㅎㅎ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