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은서점 2024 생각학교 도서

D-29
예수는 아주 숭고한 종교적 상상력의 '순수성'에 바탕을 두고서 선과 악에 대한 자연의 불편부당성을 신의 공정한 사랑이 계시된 것으로 해석한다. 물론 세속적인 이성은 이러한 자연의 불편부당성을 자연의 불공정성으로 간주할지 모른다. Jesus, in the sublime naivete of the religious imagination at its best, interprets the impartiality of nature toward the evil and the good, which secular reason might regard as its injustice, as a revelation of the impartial love of God.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86쪽/p.44,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왜 자연의 불편부당성을 불공정성으로 간주할까? 불편부당성 = impartiality. 중립성, 공명정대함으로 번역하는 건 봤는데 불편부당성은 처음 봐서 낯설다.
자연 세계에서 보여지는 신의 전능함에 도덕적 성격을 부여해서 절대자를 신성화한다. 지고의 전능함과 완전무결한 신성함은 양립할 수 없는 속성이기 때문에, 모든 종교에는 보다 합리적인 형태의 신학들이 제거하려고 노력하는 합리적인 부조리의 징후가 있게 마련이다. The omnipotence of God, as seen in the world of nature, invests his moral character with the quality of the absolute and transfigures it into holiness. Since supreme omnipotence and perfect holiness are incompatible attributes, there is a note of rational absurdity in all religion, which more rational types of theologies attempt to eliminate.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86쪽/p.44,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전능함에 도덕적 성격을 부여해서 신성화가 이루어진다는데, 지고한 전능함과 완전무결한 신성함이 왜 양립할 수 없는 속성인 건가?
신의 성스러운 의지는 곧 인격적 의지이다. 철학자들은 인간의 인격의 한계로부터 생겨난 의미들을 함축하고 있는 인격성이란 개념을 절대자에게 적용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은 종교의 시적 상상력에 있어서는 아무것도 아니다. The holy will is a personal will. Philosophers may find difficulty in transferring the concept of personality, loaded as it is with connotations which are derived from the sense limitations of human personality, to the absolute. But these difficulties are of small moment to the poetic imagination of religion.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87쪽/p.44,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personal을 '개인적' 또는 '사적'이라고 번역하지 않고 '인격적'이라고 번역했는데 뒤의 문장에 오는 personality때문에 그렇게 번역한 듯하다. 하지만 personal은 성격/인격의 주체의 인간을 뜻하기보다는 개인으로서의 인간을 가리키는 게 더 맞지 않나 싶다. 개별적/사적인 개념을 보편적 절대자에 적용시키는 어려움을 겪는다는 의미가 아닌지?
신비주의자는 자아를 제거하려고 열심히 노력하지만 결국은 자아에 몰두하는 불합리에 빠질 뿐만 아니라 이기적이지 않은 욕망도 그것은 욕망이므로 이기적이라고 판단하는 이성의 부조리를 범한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89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합리주의적 정치 사상의 도움 없이 종교적 이상주의가 평등주의적 정치 이상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모든 인간의 인격이 초월적 가치를 갖고 있다는 교리는 모든 인격은 동등하다는 교리로 변화되고 있는 듯하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94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이기주의적인 충돌(오타: 충동)들은 매우 심오한 종교적 내관(내면적 성찰)을 통해 발견되고 분석된다. 그래서 이 충동들은 더욱 냉엄하게 단죄된다. 왜냐하면 신비한 종교적 경험에 있어서 자아의 비판적인 눈은 신의 고발하는 눈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험은 사랑을 고무하기보다는 쉽게 이기심을 단ㄷ죄한다. 그 경험은 자애의 이상보다는 초연함의 이상이 된다. 하지만 그것은 모든 이기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기 때문에 사랑의 정신에 강력한 지지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95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impulse -> 충동, not 충돌 오타인 듯.
용기는 꼭 필요하다. 왜냐하면 당장의 현실과 눈앞의 미래만을 내다보게 될 때, 정의로운 사회를 건설하려는 과제는 항상 희망이 없는 듯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97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본업이 신학자이자 목사여서 그런가.. 이번 장은 저번 장들에 비해 많이 시적이고 감동과 열정에 호소하는 듯한 문장들이 많은 듯하다. 읽기에는 더 수월하나 무신론자 입장에서 보기에는 다소 불편했다. 그리고 다소 서양과 기독교 중심이어서 다른 지역의 다른 종교적 입장에서도 다루면 어땠을까 하고 의문이 생긴다.
진화적인 천년왕국주의는 항상 안락한 특권 계급의 바람이다. 왜냐하면 이 계급은 자신들이 역사에서 절대자가 갑자기 나타난다는 사상을 받아들이기에는 너무나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이 계급의 이상은 역사 속에 있으며 최종적인 승리를 향해 그 길을 가고 있는 것이다. 이 계급은 신과 자연, 현실과 이상을 동일시하는데, 이는 그 계급이 보기에 고전적 종교의 이원론적 사상들이 너무 비합리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설사 비합리적이라 하더라도) 현대 사회의 야수성으로 고통받는 사람들만큼 고통을 받지 않아서 현대 역사를 재앙이나 파국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징. 98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brutality를 자꾸 야수성이라고 번역하는데 차라리 잔혹성이 낫지 않을까?
종교란 항상 절망의 끝에 세워진 희망의 성이다. 사람들은 절대적인 입장에서 보게 되기 전까지는 개인적 사실들과 사회적이고 도덕적인 사실들 양자를 안이하게 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들을 절망으로 몰아넣었던 바로 그 절대주의가 그들의 희망을 다시 소생시켜준다. 진정으로 종교적인 사람의 상상력에서 역사를 심판하는 신은 동시에 역사를 구원할 것이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98쪽,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종교의 확고한 도덕적 자원은 종교적 · 도덕적 자원의 증가를 통해 사회를 구원하려는 종교적 도덕가들의 희망을 정당화시킨다. 가장 순수한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소망들은 헛된 것이다. 종교의 정신은 개인의 생활을 순화하고, 보다 밀접한 사회적 관계들에 건전함을 부여하는 데 있어서는 상당한 힘을 발휘하지만, 현대 사회의 아주 복잡하고 정치적인 문제들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하다. The undoubted moral resources of religion seem to justify the religious moralists in their hope for the redemption of society through the increase of religio-moral resources. In their most unqualified form, these hopes are vain. There are constitutional limitations in the genius of religion which will always make it more fruitful in purifying individual life, and adding wholesomeness to the more intimate social relations, such as the family, than in the problems of the more complex and political relations of modern society.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98쪽/ p. 49,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정당화시킨다 --> 정당화시키는 듯하다.
종교는 또한 자아를 절대화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설사 신이 거룩하고 초월적일지라도 신은 그 속성과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인하여 인간과 관련을 맺게 된다. ... religion results also in the absolutising of the self. It is a sublimation of the will-to-live. Though God is majestic and transcendent he is nevertheless related to man by both his qualities and his interest in man.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99쪽/p.49,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It is a sublimation of the will-to-live 문장 빠져있음. 그것은 삶에 대한 의지의 승화이다.
개인의 생활과 의지를 종교적으로 구별함으로써 그것은 역사적인 상황 속에서 보다 결정적인 힘을 가질 수 있다. ... the religious sanctification of the individual life and will, may make it a more resolute force in the historic situation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증보판 3장, 101쪽/p.50, 라인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북다/책 나눔] 《잠보의 사랑(달달북다12)》 함께 읽어요!<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책 증정] <그 남자는 책을 읽었다> 편집자와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인터뷰 ; 누군가를 알게 되는 가장 좋은 방법
책 증정 [박산호 x 조영주] 인터뷰집 <다르게 걷기>를 함께 읽어요 [그믐북클럽Xsam] 24. <작가란 무엇인가> 읽고 답해요[그믐밤] 33. 나를 기록하는 인터뷰 <음악으로 자유로워지다>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을 사랑하셨던 분들은 놓치지 마세요
[📚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댓글로 쌓아올린 세포, 아니 서평들
작별하지 않는다도시의 마음불안세대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제발디언들 여기 주목! 제발트 같이 읽어요.
[아티초크/책증정] 구병모 강력 추천! W.G. 제발트 『기억의 유령』 번역가와 함께해요.(8) [제발트 읽기] 『이민자들』 같이 읽어요(7) [제발트 읽기] 『토성의 고리』 같이 읽어요(6) [제발트 읽기] 『전원에서 머문 날들』 같이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