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젝은 폭력을 세 종류로 구분한다.
폭력 성찰의 방법으로 어떤 현상을 직접 보지 말고, 그 배후, 그 맥락을 둘러보는 것이다.
크게 두가지로 구분한다. '주관적 폭력'과 '객관적 폭력'이다.
그리고 '객관적 폭력'은 다시 '상징적 폭력'과 '구조적 폭력'으로 구분한다.
주관적 폭력은 직접적인 폭력, 명확히 식별 가능한 행위자가 저지르는 행위이다.
객관적 폭력은 비가시적이고 간접적인 폭력이다.
여기에 상징적 폭력은 언어가 의미 세계를 대상에 부과할 때 따라 붙는 근본적인 형태의 폭력이다.
언어의 상징성은 '윤리적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예를 들어 각자가 겪어 알고 있는 것(고통)을 망각하고 부인하면서 그 상징적 효력(명분)에 의해 유예하는 '물신주의적 부인'에 의존한다.
그리고 구조적 폭력은 기업의 이윤 극대화를 위한 전략들의 '거짓 급박함' 같은 폭력이다.
지젝은 벤야민의 '신적 폭력'을 다룬다. 이는 신자유주의, 글로벌 자본주의의 체계에 내재된 구조적 폭력의 해결책 모색의 일환으로 본다.
신적 폭력의 구체적인 예로 1891년의 파리코뮌을 든다. 그리고 레닌의 회귀를 주장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론 <필경사 바틀비>의 '하지 않은 것을 행하는 것'을 대안으로도 제시한다.
읽고 싶지만 잘 안 읽히는 책 읽기1
D-29
ssaanngg
화제로 지정된 대화
ssaanngg
10강 갈퉁의 폭력론: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를 중심으로
ssaanngg
갈퉁은 "평화는 혁명적 사상"이라고 선언한다.
이 혁명은 장시간의 인내와 고도의 훈련이 요구되는 끝이 없는 과정이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평화를 직접적 폭력의 부재를 가리키는 소극적인 평화가 아니라 구조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의 부재까지를 포함한 적극적 평화로 규정한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ssaanngg
11강 한병철의 폭력론: <폭력의 위상학>을 중심으로
ssaanngg
한병철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성과사회'로 규정하고, 이 사회를 특징짓는 이른바 '긍정성의 폭력'을 주로 문제 삼고 있다.
자기 실현을 위한 긍정적 노력이 과도해 지면 그것은 피로로 나타난다. 이런 피로는 자기착취의 이면이며 긍정적 노력은 그대로 자기에 대한 폭력으로 나타난다.
'피로는 폭력이다'
ssaanngg
끝!!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