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7쪽
뇌가 보는 사물들은 뇌가 판단하는 것보다 더 큰 가치가 있음을 깨닫고 새로운 가치와 기회를 찾고자 하는 과정은 우리 인생을 다채롭게 할 것이다. 물론 뇌가 만들어내는 세상에서 자유롭고자 하는 바람 자체가 뇌가 만들어낸 착각일 수도 있다.
79쪽
인간의 역사는 사회적 편견과 그것을 극복한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80쪽
우리의 뇌가 나의 생존과 적응을 기준으로 매긴 사람들에 대한 점수에만 의존하다가는 그들의 진정한 가치를 보지 못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85쪽
경험한 바에 따르면 식욕을 억제하는 것보다 배고픔과 친해지는 것이 더 쉽다.
89쪽
흔히들 필요가 발명이나 발견으로 이어진다고 말한다. 그러나 자연과 인류의 역사는 그 반대의 경우가 많음을 보여준다.
90쪽
이렇게 중립사물들을 새로운 필요나 목적에 사용하는 것을 활용이라 한다. 필요한 재료를 미리 생각해놓고 그것을 만들거나 찾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인 방법이다. 자본주의 경제는 생산과 활용이라는 선순환을 통해 급속히 발전했다.
96쪽
세상의 모든 오브젝트는 3차원 공간에 존재하며 이것을 3차원으로 인식해야 획득하고 활용하기 좋기 때문이다.
102쪽
스티브 잡스는 “창의성은 단지 어떤 것들을 연결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109쪽
따라서 사람을 평가할 때, 내 기억에만 의지해서는 완벽하지 않다는 점을 늘 알아야 한다.
109쪽
사회적 관계를 만들 때 이러한 뇌 속 소셜네트워크의 특징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상대가 자신의 기억을 바탕으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빨리 파악할 수 있다면 보다 쉽게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113쪽
결국 뇌는 편법으로 나를 인식한다. 내 몸의 모든 것을 나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내 몸에 달린 팔, 다리, 피부와 같은 오브젝트들이 내가 조종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될 때 나로 인식하는 것이다.
114쪽
당시 선봉장이었던 고니시 유키나가는 인지부조화 현상으로 매우 황당했을 것이다. 그들은 왕이 성을 버릴 것이라 생각지 못했기에 왕이 있는 성으로 쾌속 진군을 했다. 이로 인해 전세가 뒤바뀐다.
117쪽
우리가 흔히 이기적이라고 말하는 행동은 나의 범위가 나로 한정되어 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이타적인 행동도 확장된 나를 위한 이기적인 행동으로 설명 가능하다.
125쪽
인생의 성공은 알면 어렵지 않다. 10년 혹은 그 뒤에 일어날 일을 지금 하고서 때를 기다리면 된다.
131쪽
힐베르트는 무한의 존재가 인정된다면 무한이 존재할 더 큰 공간과 차원이 존재할 것이고 정의상 무한인 신의 존재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 - 2021 세종도서 교양부문』 2부 뇌가 만들어낸 세상, 김대수 지음
문장모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