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읽기] 데미안, 이 좋은 책을 왜 이제 읽었던가

D-29
저도 그부분에서 싱클레어가 가장 이상향으로 생각하는 모습으로 인간화시킨듯 했어요. 베아트리체는 이성, 데미안은 본인, 에바부인은 어머니상을 표현한 것은 아닐까 생각했답니다.
그렇게 볼 수도 있겠네요!
중간에 데미안을 싫어하고 음해하는 부분에서는 저는 단순히 싱클레어의 엇나감이 절정에 달하면서 옳은 것에 대해 어떤 트집을 잡기 위함이 아니었나 생각했어요.
하지만 너의 인생을 결정하는, 네 안에 있는 것은 그걸 벌써 알아. 이걸 알아야 할 것 같아. 우리 속에는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것을 하고자 하고, 모든 것을 우리 자신보다 더 잘 해내는 어떤 사람이 있다는 것 말이야.
데미안 p115, 헤르만 헤세 지음, 전영애 옮김
데미안의 충고에 정곡을 찔린 듯 싱클레어는 기분이 언짢아집니다. 데미안은 싱클레어에게 욕망을 부정하며 자아를 넘어서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제 안에서 다른 의지를 가진 어떤 이를 발견해낼 수 있을까요?
선과 정의를 추구하고 욕망을 내려놓으라고 하지만, 싱클레어는 소설 속 어두운 세계를 통해 얻는 흥미를 쉽게 포기할 수는 없었겠지요. 하지만 주위의 좋은 사람들을 계속해서 만남으로써 자신의 욕망을 인정하면서 외부의 선도 받아들이는 순간을 맞이한 것 같습니다. 두 세계의 공존을 위해서는 결국 균형을 잡아주는 조력자 또는 데미안과 같은 내 안의 무언가가 있어야 하지 않나 싶네요ㅎㅎ
그들에게 인류란 무언가 완성된 것으로 보존되고 지켜져야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들에게 있어 인류란 하나의 먼 미래, 우리들 모두가 그것을 향해 가는 도중에 있고 또 그 모습을 아무도 알지 못하며 그 법칙은 그 어디에도 적혀 있지 않은 미래였다.
데미안 - 에밀 싱클레어의 젊은 날 이야기 p. 202, 헤르만 헤세 지음, 두행숙 옮김
비범한 사람은 인류를 바라보는 시선도 다른걸까요?ㅎㅎ
유럽은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 인류의 강력하고 새로운 무기를 만들어냈지만, 결국은 통탄할 만한 정신의 황폐함 속으로 깊이 빠져들고 말았던 것이다. 왜냐하면 유럽은 온 세계를 얻었지만 그러느라 자신의 영혼을 잃어버리고 말았기 때문이다.
데미안 - 에밀 싱클레어의 젊은 날 이야기 p.204, 헤르만 헤세 지음, 두행숙 옮김
과학지상주의의 폐해가 바로 세계 1차대전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벌거벗은 세계사의 사건편과 전쟁편을 읽으면서 인간의 단순한 지적 능력의 상승이 늘 우리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고 나가지 않는 다는 것도 알게 되었어요.
벌거벗은 세계사 : 전쟁편 - 벗겼다, 끝나지 않는 전쟁tvN <벌거벗은 세계사>가 들려주는 프레임 밖의 전쟁 이야기. 세계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순간은 물론, 처음 만나는 의외의 사실들까지 더해 그동안 우리가 보지 못했던 프레임 밖의 전쟁사를 보여준다. 백년전쟁부터 현재 진행형인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세계를 뒤흔든 전쟁의 역사가 입체적으로 펼쳐진다.
벌거벗은 세계사 : 사건편 - 벗겼다, 세상을 뒤흔든 역사tvN에서 방영한 스토리텔링 세계사 <벌거벗은 세계사>가 들려준 프레임 밖의 역사를 담은 책. 신들의 전쟁인 그리스 신화부터 20세기 마지막 전쟁까지,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세계를 뒤흔든 역사적 사건들을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인들이 입체적으로 파헤치듯 보여준다.
특히 이 시기에는 과학지상주의가 만연했다고 하는데, 그렇기에 전쟁이 준 피해가 더더욱 충격적이었을 거라고 봅니다. 전쟁을 반대했던 헤르만 헤세가 과학과 현실에 대한 이야기보다 본질에 더 다가가야 한다고 이야기한 부분도 그런 이유에서였을거라고 생각되어요.
그는 사랑했고 그러면서 자신을 발견한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랑하면서 자신을 잃어버린다.
데미안 - 에밀 싱클레어의 젊은 날 이야기 p. 210, 헤르만 헤세 지음, 두행숙 옮김
제게는 데미안이 인생책은 아니지만, 문장 하나하나를 떼어놓고 보면 인간의 본질을 꿰뚫거나 통찰력있는 문장들이 많은 듯합니다. 우리는 왜 사랑하면 자신을 놓아버리는 걸까요. 왜 나보다 사랑의 대상에 더 몰입하게 될까요. 나 자신도 모르면서 타인을 알려고 하는 욕망의 근저에 무엇이 있는 걸까요.
반대로 나를 생각하지 않은 감정이기 때문에 '사랑'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게 아닐까라고도 생각해보기도 했네요. 나를 너무 사랑하게 되면 외부에 사랑을 두지 않을 것 같아요.
사랑하면 자신을 잃어버린다는 말은 일면 맞는 것 같습니다. 만약 자신을 지키며 사랑한다면 상대는 사랑이라 느끼지 못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
사랑도 총량의 법칙이 있는건지 자기애가 강렬하면 타인은 사랑을 덜 느끼게 되나 봅니다ㅎㅎ
많은 얼굴들에서 나는 하나의 표시를 보았다. 그것은 사랑과 죽음을 의미하는 아릅답고 고귀한 표시였다. 나도 역시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의 포옹을 받았다.
데미안 - 에밀 싱클레어의 젊은 날 이야기 p.226, 헤르만 헤세 지음, 두행숙 옮김
그러나 나는 이따금 열쇠를 찾아내 완전히 나 자신 속으로, 어두운 거울 속에 운명의 영상들이 어른거리는 그곳으로 내려가면, 거기서 그 검은 거울 위로 몸을 굽혀서 나 자신의 모습을 본다. 바로 나의 친구이자 나의 인도자인 그와 완전히 닮은 나 자신의 모습을.
데미안 - 에밀 싱클레어의 젊은 날 이야기 p.232, 헤르만 헤세 지음, 두행숙 옮김
이 마지막 장면 하나로 그동안 들어왔던 '데미안과 싱클레어가 사실은 동일인일 것이다'의 의문이 풀리게 되었습니다. 사실 소설 자체가 명암대비가 뚜렷하고 데미안이라는 존재가 늘 필요할 때만 등장하며, 데미안이 타인과 소통하는 장면이 없다는 것에서 어렴풋이 예상하고는 있었습니다만, 이 마지막 장면을 통해 독자의 예상을 확신으로 바꾸어 주어서 좋았습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북다/책 나눔] 《하트 세이버(달달북다10)》 함께 읽어요![문예세계문학선X그믐XSAM] #02 마크 트웨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 함께 읽기STS SF [응급실 로봇 닥터/책 증정] 저자들과 함께 토론[아티초크/시집증정] 감동보장!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시집과 함께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내가 사랑한 책방들
[책증정] 저자와 함께 읽기 <브루클린 책방은 커피를 팔지 않는다> +오프라인북토크[그믐밤] 3. 우리가 사랑한 책방 @구름산책[책방연희X그믐] 책 읽다 절교할 뻔 이야기와 함께 성장하는 "섬에 있는 서점" 읽기 모임
나 혼자 산다(X) 나 혼자 읽는다(0)
운동 독립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현실 온라인 게임
함윤이 작가님이랑_4월 9일 수요일 저녁 7시 (라이브 채팅)
[북다] 《위도와 경도》 함윤이 작가와 함께하는 라이브 채팅! (4/9)
🎵 책으로 듣는 음악
<모차르트 평전> 함께 읽으실래요? [김영사/책증정] 대화도 음악이 된다! <내일 음악이 사라진다면> 함께 읽어요[꿈꾸는 책들의 특급변소] 차무진 작가와 <어떤, 클래식>을 읽어 보아요. [그믐밤] 33. 나를 기록하는 인터뷰 <음악으로 자유로워지다>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북킹톡킹 독서모임] 🖋셰익스피어 - 햄릿, 2025년 3월 메인책[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계속 이어가는 연간 모임들이지만 언제든 중간 참여 가능해요.
〔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 4월〕 달걀은 닭의 미래다 스토리탐험단 네 번째 여정 <베스트셀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②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 (브뤼노 라투르)
같은 책 함께 읽기 vs 혼자 읽기
[이달의 소설] 2월 『닐스 비크의 마지막 하루』 함께 읽어요자유롭게 : '닐스 비크의 마지막 하루' 읽기..☆
매거진의 세계로~
편집부도, 독자들도 샤이한 우리 매거진 *톱클래스를 읽는 여러분의 피드백을 듣고 싶어요.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홍정기 작가와 <계간 미스터리> 79호 함께 읽기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한국인 저자가 들려주는 채식 이야기 🥦🍆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⑨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김태권)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⑩ 물건이 아니다 (박주연)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⑪ 비만의 사회학(박승준)
한 사람의 인간을 깊이 있게 들여다봅니다
<모차르트 평전> 함께 읽으실래요? [그믐북클럽] 8.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읽고 알아가요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