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역사에서 어려운 시절을 겪기만 하고 만약 이 세상을 마쳤다면 슬픈 이야기로 끝나겠지만 그 와중에 힘든시절의 여자로 고난들을 스스로 이겨나가고 살았다는 것과 죽음도 결국 내가 원하는 모습으로 끝났다는 것에서.
처음에는 너무 무겁게 읽었는데 나중에는 처음보다는 조금은 가벼운 마음으로 읽게 되더라고요 ...
[이 계절의 소설_가을] 『이름 없는 여자의 여덟 가지 인생』 함께 읽기
D-29
아린
금정연
여러 인물들이 나누어 보여줬던 이야기를 한 인물 안에 구축한 것 역시 인물의 새로윰이라고 봐야 할 것 같아요. 흙을 먹던 소녀가 흙을 끊고 살다가 다시 흙 을 먹는 할머니가 되었다는 건,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는 사실의 은유가 아닐까요? 저에게는 그렇게 느껴집니다.
호디에
소설적 인물과 사건의 새로움을 생각해보자면, 아무래도 한국전쟁 이후 냉전 시기를 다룬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제강점기나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은 꽤 많은 데에 비해 전쟁 이후 한반도 땅에서 있었던(진실 규명이 어려운) 스파이라는 소재가 독특했습니다. 미.소 스파이 소설이야 정말 많이 접했지만 남.북한 스파이 소설은 한두편을 제외하면 딱히 떠오르지 않습니다(기억나는 소설은 <빛의 제국> <제3의 남자> 정도). 그런 측면에서 인물과 사건은 어느 정도(?) 새로웠습니다.
금정연
맞아요, 저 역시 남북한 스파이 소설은 별로 생각나는 게 없는데 묵 할머니의 이야기를 통해 짧게나마 읽을 수 있어서 좋았어요. <제3의 남자>는 아직 읽지 못했는데 한번 읽어봐야겠네요!
빛의 제국북으로 귀환명령을 받은 남파간첩의 24시간을 긴박하게 묘사한 『빛의 제국』은 냉전문학의 이념적 계보를 스파이스릴러라는 장르로 해체해버리고, 신념과 가치의 경계가 허물어진 곳에서 인간 실존의 의미를 묻는 문제작이다. 기존판에는 없었던 작가의 말을 싣고 오류를 바로잡았다.
제3의 남자박성신 작가의 장편소설. 아들 최대국의 시점과 젊은 시절의 아버지 최희도 시점을 번갈아 보여주며, 아들과 어긋날 수밖에 없었던 아버지의 비밀스러운 과거사를 한발한발 따라가는 한편, 이를 통해 간첩, 안기부, 요정정치, 납북사건 등 6~70년대 한국 사회의 굵직한 사건을 절묘하게 작품에 녹여낸다.
책장 바로가기
밍묭
실제로 있었던 시대를 다루다 보니, 소설이 아니라 실존 인물의 일기를 훔쳐보는 것 같았어요. 읽으면서 '아, 한국이 이러한 고난을 겪은 끝에 지금에 도달했지.' 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라아비현
저도 밍묭님과 같은 새각입니다 실제로 있었던 시대를 다루시다 보니 인물의 일기를 보는거 같았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금정연
마지막 토론 주제는 ‘해석의 다양성’입니다. 다양한 시대, 마치 여러 사람인 것차럼 디양한 주인공의 인생이 펼쳐지기에 어느 시기에 집중해서 읽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것 같아요. 어떠셨어요?
밍묭
벌써 마지막이 되었네요. 저는 특별히 무언가를 해석했다기 보단 묵 할머니의 이야기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게 되더라고요. 그러면서 저 또한 묵 할머니의 이야기가 진실이길 바랐고, 진실이라고 믿게 된 것 같아요. 그 길었던 우여곡절을 지나 할머니가 마지막엔 행복하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금정연
나도 모르게 등장인물을 믿고 싶어지고 그의 행복을 바라게 되는 게, 어쩌면 작가가 들을 수 있는 최고의 찬사 중 하나가 아닐까 싶기도 해요.
라아비현
저도 특별하게 해석하긴 보단 묵할머니의 인생 그 자체라고 생각이 듭니다
Alice2023
요즘은 어떠한 일관적인 메세지를 주려는 이야기보다 다양항 관점을 가질 수 있거나 해석이 가능한 이야기들이 더 끌리는 거 같아요 예를 들어 친구의 신분을 사칭해서 행복을 얻었다면 비난받아야 하는지 꼭 진실을 말해야 하는지 많은 분들이 많이 인용한 문장이었던 가장 친절한 속임수는 속아주는 거라는 말은 그냥 봤을 때는 그냥 멋진 말이네 싶지만 그말을 누가 어떤 상황에서 했는지 알고 보니 너무나도 먹먹한 상황이었거든요 묵할머니의 인생이 사실이든 아니든 속아줘도 된다고 대입할 수도 있고 다시 성미의 남편도 그런 마음이었을까요 이렇게 생각해 보니 재미있네요
금정연
맞아요, 소설 속엔 다양한 시대의 다양한 이야기들이 있지만 아무래도 가장 친밀한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일을 그린 두 부부의 이야기에 더 많이 공감하고 이입하게 되는 것 같아요.
Greengable
저는 읽는 내내 예전드라마 최재성.박상원.채시라씨 주연의 "여명의 눈동자"와 많이 겹쳐보였어요.특히나 목할머니 이야기는 채시라씨가 한 여옥역과도 많이 겹쳐보여 한국의 아픈모든시대를 거쳐온 사람은 도대체 현재가 어떻게 느껴질까?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기에 작가도 믿기지 않아 자꾸 직설적이게 물어본게 아닐까?그럴수 밖에 없지 않나 생각이 들었어요
금정연
과거는 낯선 나라라는 말처럼 그 과거를 살았던 인물들이 겪은 일들은 때론 우리에게 친숙한 미국이나 일본의 사람들이 겪은 일들보다 더욱 낯설게 느껴지기도 하는 것 같아요.
이팝나무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그 어려운 시기를 살아 낸 우리보다 한 세대 앞서서 산 사람들의 이야기죠. 익히 많이 알려진 이야기지만 막상 또 묵할머니의 인생으로 소설을 통해 보니 그 시절을 살아 낸 것만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묵 할머니 뿐만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온몸으로 그 시절을 견뎌냈지요.
시댁만 해도 일본에서 큰딸을 낳아서 해방이 되어 돌아오는 배 위에서 그 딸을 잃었지요. 두 살때요. 여순 10.19때 마루 밑에 숨었지만 이번엔 경찰에게 아 버님과 어머니, 그리고 어린 딸까지 총을 맞았어요. 다행히 다리 병신이 되지는 않았지만 커다란 흉을 안고 살아야했지요.
경중을 있지만 그 시대를 거쳐오는 동안 누구나 상처 하나는 가졌을 것 같아요. 그런데 과연 우리 시대가 그런 분들을 제대로 대접해 주고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나이든 사람의 이야기를 라떼족, 꼰대로 취급하지는 않나 싶습니다. 젊은이들만이 대접 받는 현상이 유독 대한민국에서는 강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금정연
말씀해주신 것처럼 저 역시 우리나라가 세대 간 갈등이 유독 깊은 것처럼 느껴지는데 그건 아무래도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그리고 압축된 근대화를 통해 커다란 사건들이 너무 짧은 시간 동안 일어났기 때문인 것 같아요. 요즘 들어 더더욱 빨라지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세대 간의 구별과 차별이 더욱 악화되는 것 같기도 하고요. 안타까운 일입니다.
이팝나무
아울러 한강의 노벨상 수상으로 5.18과 4.3등 한국의 역사가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 것처럼 이 책도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분단을 거치면서 살아 남아야 했던 여성으로서의 처절한 삶에 많은 사람이 공감했으면 합니다. 더불어 정신대 할머니 문제도요.
Eins
처음엔 비교적 최근의 한국소설의 경향이 그러하듯 너무 사적인 이야기로 읽히지 않을까 싶은 걱정이 많았는데, 읽는 동안 걱정은 잊혀지고 살아있는 것의 몸에 새겨지는 시간의 의미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어요. 시대의 상처라는 말의 무거움과 무서움을 다시금 되새겨보는 경험이었습니다. 어떻게 살아남았지, 이 괴로운 시간을, 싶으면서도 언젠가의 독자가 지금 우리의 시대를 본다면 또 그렇게 읽히겠지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동시대 의 여러 이들에 대해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새로운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금정연
한국 근현대사의 굵직한 이슈들을 묵 할머니라는 개인의 이야기로 풀었지만 저 역시 그것이 개인적이기보단 좀더 역사적이고 보편적인 이야기로 느껴졌어요. 아마 어느 정도 작가님이 의도한 결과겠지요.
마린
추보식으로 구성하지 않았던 건 탁월한 선택입니디. 순서대로 나열했다면 집중하지 못 했거나 덜 흥미로왔을 거에요. 액자소설의 형태도 좋았어요. 이야기에 던져졌다가 다시 뱉어지는(?) 듯한 경험이 흥미진진했어요. 작중 화자의 변화가 있는 에피소드들이 특히 눈길을 끌었어요.
특히 다섯 번째 이야기. 그 소년이 관찰하고 묘사하는 얄루가 좋았어요. 지뢰에 다친 아이를 구하려는 마음. 일곱 번째 이야기 속 미희의 엄마로서는 다소 냉혹하지만 얄루일 때의 순간은 정말 뜨거운 인간애를 보이죠.
여덟 번째 이야기에서도 믿고 의심하고 애도하는 부고작가의 눈에 비친 묵미란 어르신이 있습니다. 타인의 눈으로 읽어내는 주인공. 저는 죽음이라는 결말이 너무 아쉽고 슬펐어요. 아람이를 매일 보는 삶을 사셔도 되는 거 아닐까요? 재촉하지 않아도 죽음은 어차피 찾아오거든요.
저도 궁금한 게 있어요. 일곱 단어였잖아요. 노예, 탈출전문가, 살인자, 테러리스트, 스파이, 연인 그리고 어머니. 하나의 에피소드마다 주제어를 연결시킬 수 있는데 마지막 에피소드에는 어떤 주제어를 붙여야 할까요? 탈출전문가?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