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흑 좌승주 시리즈를 기대해주신다니 제가 더 정신을 차려야겠네요.
요즘 제가 늘 나사가 빠진 것처럼 살고 있어서요. ㅠㅠ 응원 감사합니다. 헨리님.
[박소해의 장르살롱] 18. 이것은 유익한 안내서다
D-29
박소해
Henry
제가 질문을 올리고도 라챗의 파도에 몸을 실었더니 까먹고 있었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박인성
한국적 프랜차이즈 캐릭터라면 아쉬운 경우들은 많치요 앞서서 시리즈화된 미스터리 소설들도 있지만 제 개인적 취향에서는 충분히 만족스럽지는 않았습니다. ㅎㅎ <비밀의 숲>의 황시목 같은 캐릭터가 현실적이면서도 적절한 캐릭터라고 생각하지만 2편이 좀 많이 아쉬웠죠. 역시나 시리즈 프랜차이즈가 자리잡는게 어려운 일이기는 합니다. 역시 기대는 좌승주 시리즈에 걸어보는 것으로...
박소해
ㅠㅠ 제가 나사를 다시 머리에 꽂아보겠습니다. (빠진 나사야 어딨니... 다시 와라~~)
밥심
좌형사님의 인기 유지 및 상승을 위해서는 사진사 아가씨와의 로맨스 속도를 잘 조절하셔야겠어요.
박소해
로맨스는 아무래도 어디까지나 양념이니까요. ^^ 전체 이야기의 균형을 생각해가면서 좌승주를 연애시키는 것으로...
Henry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좌형사!!!
박소해
(빠진 나사를 찾으러 돌아다니고 있다...)
박소해
헨리님 첫 질문을 다시 올렸습니다!
고수희
뭔가 진검승부의 분위기가(덜덜...)
고수희
평론가님 답변 너무 빨라요;;;;
박소해
박 평론가님 생각의 속도는 고속도로 레벨!
밥심
저는 몇 타 치시나 그것이 궁금했습니다. ㅋㅎ
우주먼지밍
오늘 채팅에서 평론가님은 사회적 구성물로서의 인간 존재를 많이 말씀하셨고 저 역시 동감합니다.
르네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형 이론에 대한 글을 읽고 나서, 내 욕망은 철저하게 타자의 욕망이라는 것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게 되었어요.
또한 <비평 이론의 모든 것>을 읽으면 첫 번째 소개되는 이론이 정신분석 비평이고 두 번째가 마르크스주의 비평인데, 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 직장 생활을 오래 하면 오래할수록 마르크스주의 비평이 좀더 수긍이 가는 느낌이랄까요.
인간 존재의 본성도 그 존재가 속한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배경, 그 존재가 어느 지위와 계급인지 너무나 많은 것들이 복합되어 펼쳐지니까요.
박소해
실제로 한국의 역사를 살펴보면 나라가 국민을 구하는 게 아니라 국민이 나라를 구한 경우의 수가 무척이나 많아 씁쓸한 마음이 듭니다. 그런 역사를 통과해 살아낸 민족이기에 스스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박인성
한국적 멜로드라마는 공적으로 발생한 문제에 대하여 항상 사적으로(개인과 가족)이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 양상 속에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마스터플롯 골격이 다양한 장르로 갈래화되는 것 같습니다. <괴물>같은 재난 서사에서는 가족이 국가를 대신해서 문제를 해결하게 되고 따라서 온전히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항상 희생과 눈물이 남습니다. 한국적 공포물도 대부분의 경우 공적인 방식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사적으로 위로하고 애도하는 이야기가 되지요. 미스터리가 가진 장점과 차별성이 여기에 있는 것 같습니다. 미스터리는 어쟀거나 공적인 원인이 구르고굴러서 개인의 범죄로 돌출하지만, 그 해결과 책임에 있어서는 공적으로 역할을 고민하게 만듭니다. 반드시 주인공이 형사나 탐정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말이죠
박소해
<괴물> 같은 재난물에 비해 미스터리가 가진 미덕이자 차별점이로군요.
고수희
여러번 다시 읽게 되는 글이었습니다
박소해
저도요. 고수희 님 오늘 와주셔서 넘 좋았습니다. :-)
화제로 지정된 대화
박소해
Q. 이번에 한강 작가님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저에게도 무척 큰 의미로 다가왔는데요. 특히 인터뷰에서 한강 작가님에게 어떤 작품을 제일 먼저 읽으면 좋겠느냐고 물어보니 제주 4.3을 다룬 <작별하지 않는다>를 제일 먼저 읽어주면 좋겠다고 답변하셨습니다. 4.3을 다룬 사회파 미스터리 단편 <해녀의 아들>을 쓴 저로서는 무척 감동적인 장면이었는데요. 박 평론가님께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이번 한강 작가님의 노벨상 수상으로 저는 제주 4.3이 더이상 제주만의 것, 한국만의 것이 아니라 세계의 것이 되었다고 봅니다. 이제 제주 4.3은 세계적인 소재에 편입된 것이지요. 그런 의미에서 단편 <해녀의 아들>을 곧 장편으로 확장하려는 계획을 세우면서 여러 가지로 마음 속이 복잡해지는데요. 아까 한국의 역사 미스터리 중에서 인상적인 작품이 없었다고 비판해주셨는데요. 단편이 아닌 장편 <해녀의 아들>이 4.3과 한국 독자들 앞에서 갖추어야 할 미덕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장편 <해녀의 아들>은 어떤 장편소설이 되어야 할까요? (기억나실지 모르겠는데 작년 총회 때 황금펜상 시상을 마치고 회식 자리에서 제가 말씀드렸던 것 같아요. 단편 <해녀의 아들>과 아무 이음매 없이 부드럽게 이어진 장편소설을 구상하고 있다고...)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