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평전> 함께 읽으실래요?

D-29
가장 쉬운 고급 음악이자 가장 뛰어난 대중음악이 자유음악가 모차르트의 손에서 탄생했다. 이 구절에서 마음이 웅장해지는 이 느낌은 뭘까요. 호른 연주자 로이트게프에게 쓴 메모에는 그의 천진난만한 유머가 느껴져 절로 미소가 지어졌네요. 나이와 상관 없이 둘 사이 허물 없이 지내는 친밀감이 느껴졌어요. 콘스탄체가 알로이지아에게 느꼈을 복합적인 감정에서 어떤 드라마가 읽혔어요. 부부의 세계 같은^^ 모차르트가 아버지에게 보낸 편지에서 알로이지아에 대한 미련이 남았음을 적은 부분에서 '사랑이 죄는 아니잖아!'가 떠오르기오 했고요. 모차르트를 거부한 걸 후회했다는 알로이지아의 말에서 그나마 살아있을 때 선을 넘지 않은 게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싶기도 했네요. 마지막 라이문트의 죽음에 심장이 내려앉았네요. 아들의 죽음을 100일 동안 몰랐다니, 얼마나 절망했을까요.
p.165 "모차르트의 삶을 알려주는 팩트가 부족할 때 상상의 날개를 펼치면 소설이 된다." 1786년 프라하 여행부터 1791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소설 소재가 꽤 있을 듯요.. 가령 런던행이 무산된 것은 콘스탄체의 반대 때문인가? 그렇다면 콘스탄체는 왜 런던행에 반대한 걸까? 모차르트는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절반먄큼이라도 당신이 나를 사랑해 준다면.." 이렇게 썼는데 실제로 어땠길래 그렇게 썼을까?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너무 많아요. 이 부분은 기존의 영어권 소설에서 다루지 않았는데, 개연성 높은 소설을 누가 써 주시면 좋겠어요.^^
k421의 메뉴엣을 책의 내용과 함께 들어봤어요. 첫아이를 낳을때 진통을 듣고 아이디어를 얻어 작곡했다는 이야기가 함께하니 음악이 영화처럼 느껴지네요. 콘스탄체의 고통을 함께하는 모차르트의 마음이었다는 걸 고통스러운 순간의 표현도 아름다움이라는 모차르트의 음악이네요. 그리고 첫아이의 죽음도 너무 슬프구요.
콘스탄체가 첫 아이 낳을 때 비명 지르는 거 들으며 작곡했다는 K.421의 메뉴엣..(훗날 영국의 노벨로 부부에게 콘스탄체가 증언하며 주제를 노래까지 했죠). 아내의 비명을 들으며 모차르트가 느낀 고통과 연민의 마음이 담긴 듯.. https://youtu.be/-ct7ots5QQ8?si=7n7ar3u4BItCerRR 요건 피아노협주곡 D장조 K.175를 빈에서 연주할 때 빈 사람들 좋아하는 스타일로 새로 쓴 론도 D장조 K.382.. 트럼펫/ 팀파니가 장난감 나팔/북소리 같아서 크게 사랑받았죠. 연주/녹음이 참 좋군요. 드레스덴인가 라이프치히 고아원 아이들이 이 곡 연주하려고 모차르트를 찾아 나서는 영화가 있는데, 제목과 주인공 이름이 기억 안 나요. 그걸 왜 책에 안 썼을까..ㅠhttps://youtu.be/VgC59mgQrss?si=gcLABJdPAOIeJeZl ps. 앗, p 367f에 썼군요! 원제 Trillertrine, 1991 주인공 이름 트리네.. 참 아름다운 영화! 화질 엉망이지만 유튜브에 영화가 있네요! https://youtu.be/44lrKPggjas?si=nLcuK4qOaHp1U1n8
11장. 이제 모차르트의 이야기도 반 정도 온 것같네요. "청중의 환호를 얻으려면 너무 쉬워서 거리의 마부도 따라부르게 쓰거나, 반대로 지적인 사람도 이유를 모른 채 그저 좋아하도록 써야해요." 이 황금의 법칙을 저도 알고 싶네요 :) 전 오늘 장에서 모차르트가 친구들과 그냥 즐기려고 썼다는 곡 <리본>이 너무 귀여웠어요. 가사가 정말 통통 튀고 사랑스럽지 않나요? "말씀 안 하시면 두 분 다 혼내드릴 거야."이런 대사라니! 그런데 아무리 통신이 지금처럼 빠르지 않은 시대였다고 해도, 어떻게 아들이 죽은지 100일이 됐는데도 부모가 그걸 몰랐을까 싶어요.
아기를 맡은 유모가 잘츠부르크의 모차르트 부부에게 편지를 쓰지 않은 듯요. 패닉 상태라서 그랬는지, 알려봤자 도움될 게 없다고 판단한 건지, 이유는 알 수 없어요. 아, 유모가 누군지도 몰라요..ㅠ 유아사망률이 엄청 높아서 모차르트도 여섯 자녀 중 둘민 살아서 어른이 됐고 네 명은 일찍 사망했지요. 아이가 죽었을 때 상황을 알려주는 기록은 없지만 매번 뼈저린 슬픔을 맛보았을 거예요. 아이가 몇 명이든 부모 마음은 똑같겠죠.. 말러는 뤼케르트의 시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에 곡을 붙였는데 모차르트는.......? 아버지 돌아가셨을 때나 자식이 죽었을 때는 너무 슬퍼서 애도 음악조차 못 쓴 걸까요? 1787년 6월 집에서 키우던 찌르레기가 죽었을 때 모차르트는 추도시를 썼지요. (pp.523~524)
후궁 탈출이 대성공을 거뒀는데, 우리의 모르페우스는 100두 카트가 전부였다니 ㅠㅠ. 이번 장은 모차르트가 프리메이슨에 가입해 활동한 사실이 주축이네요. 프리메이슨의 상징을 음악적 기호들로 표현했다는 것도 재밌고, 특히 그때까지 모차르트가 자기 곡 중 최고라고 말한 k.452 피아노 오중주 곡은 정말 아름답네요.
브레츠너란 분의 작품을 슈테파니가 슬쩍 표절했는데 "모차르트란 자가 도용했다"며 소송하겠다고 방방 뛴 거, 웃겨요..ㅎㅎ오중주곡 K.452 참 좋죠?
이번장을 읽고나선 모차르트는 AI 아니었는지 :) 곡을 어쩜 저렇게 많이 썼을까요? 매일 매일 경험들은 다 음악적 영감을 주었을까요? 그런 생각을 해보았어요. 찌르래기와 강아지가 함께하는 작곡하는 모차르트는 전성기의 행복한 모차르트를 보여주는 것 같았어요. 그리고 놀랬던것은 그시절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악학교 그리고 1709년에 제정된 영국의 저작권법이었어요. 와~~ 하는 소리가 절로 나오는 부분이었어요. 아 다빈치코드영화에서 봤던 일루미나티 그리고 프리메이슨, 모차르트와 하이든이 멤버로 활동했고 모차르트 음악에 끼친 영향까지 알면 알수록 신기하고 재미있었습니다. 프리메이슨의 장례음악 k477은 👍 엑소시스트 영화같은데 꼭 bgm으로 쓰일것같은 그런 느낌이었어요.
빈에서 1780년대 반 슈비텐 남작이 저작권법 제정을 건의했는데 요제프 2세가 뭉개다가 백지화해 버렸네요..-_-
저도 열심히 연습을 했지요. 더 연습을 하지 않아도 될 만큼 열심히 했단 말입니다
모차르트 평전 - 음악, 사랑, 자유에 바치다 p418, 이채훈 지음
12장. 무엇보다 모차르트가 드디어 경제적인 어려움에서 벗어났다는 게 기쁘네요. 잘츠부르크에서 한 해 동안 벌어들였던 돈으로, 빈에선 집세를 냈다니. 자유 음악가의 길을 걷고 겨우(!) 3년만에 이뤄낸 성과라니 멋지고요. 저도 @제제10 님처럼, 프리메이슨 내용에선 다빈치 코드를 떠올렸습니다. 프리메이슨, 일루미나티. 예전에 모차르트도 프리메이슨이었다는 글을 여러 번 읽었는데 그때마다 정말일까 싶었는데요. 정말이었네요. 그리고 정치 의식마저 높았던 모차르트! 모차르트 평전을 읽다보니 자꾸 모차르트가 멋져보여요 :)
마자요. 읽을수록 모차르트가 멋져보여요. 의식과 철학이 있었던 음악가~~👍
모차르트가 직접 자금을 대서 오페라를 제작할 생각까지 했다니 정말 대단하죠.. 통큰 사업까지 구상할 줄 알았던 모차르트.^^
드디어 피협20번이 등장했네요. 저의 모차르트 최애곡 중 하나인 피협 20번은 시작부터 감정이 벅차오르다가 이내 다른 차원으로 이끄는 것 같아요. 하이든과의 일화도 흥미롭고 두 거장이 서로를 통해 더 발전하는 사이였다는 게 감동적입니다. 모차르트가 하이든에게 보낸 편지도 감동이에요. 사소한 질문을 드리자면 현악사중주 여섯 곡을 출판할 때 악보를 인쇄하는 데만 12플로린이 들었는데, 판매를 6플로린 30크로이처에 팔면 손해 아닌가요? (바보 같은 질문에 죄송^^) 모차르트 피협21번 안단테에 아버지 작품을 오마주한 것도, 그래서 레오폴트가 눈물을 흘린 것도 무척 감동적이었어요. 무엇보다도 이 안단테를 해석한 작가님의 통찰과 감성에도 놀라지 않을 수 없네요.
피협 20번은 모차르트가 프리메이슨 가입한 뒤 쓴 첫 협주곡이죠. 일부 음악해설가 - 서울시향 SPO 편집자 포함 - 가 "이 곡이 모차르트의 가난을 반영한다"는 식으로 엉터리 해설을 하는 걸 보고 깜놀한 적이 있어요. 성공의 정점에서 맘껏 자신감을 표현한 작품인데 말이죠. 음악 해설한다는 사람들이 이 책을 좀 보고 똑바로 얘기해 주면 좋겠어요. 막보가격과 출판비용은 참 날카로운 질문입니다. 한부 인쇄비용이 12플로린인데 이걸 6.5플로린에 팔면 손해겠죠. 이 내용은 Deutsch의 Documentary Biography에 있는 걸 참고했는데, 저도 옮기면서 갸우뚱했어요. 따로 설명도 없고요. 제 추측으로는, 초판 100부 정도 찍을 때 단가가 12플로린이고 200부, 300부를 찍게 되면 단가가 6.5 아래로 내려간 게 아닐까 싶어요. 실제로 몇부나 팔렸는지는 모르겠어요. 모차르트는 작곡료로 100두카트(450플로린)을 받은 걸로 추정..(p.441) 피협 21번 안단테에 대한 얘기는 다른 연구자들이 한 적이 없을 거예요. "이 곡을 듣고 레오폴트가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는 얘기는 전해지지만 아무도 그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어요. 2006년 파리에서 만난 피아니스트 시프리앙 카차리스는 이 곡 2악장에 아버지의 피아노소나타의 느린 악장이 인용돼 있다고 알려주었어요. 그 순간 "아, 이 때문에 레오폴트가 감격의 눈믈을 흘린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떠오른 거죠. 이건 확증된 팩트가 아니라 꽤 그럴듯한 가설에 불과합니다. 암튼 제가 세운 가설..
작가님이 세운 가설이 너무 좋습니다. 음악에 맞는 이야기를 들려주셔서 부자의 마음에 더 감정이입하게 됐어요. 오늘 내용을 읽으며 k.466 k.467 연주를 들었는데 연주자들의 특권에 대해 생각하게 됐어요. 모차르트의 마음과 감정을 가장 가까이에서 체험한 사람들이 연주자들일 테니까요.
👍👍👍
🙏
13. 모차르트와 레오폴트 부자 사이에 많은 일들이 있었지만, 그래도 아들의 성공을 직접 목격할 수 있었고, 아버지에게 바치는 오마주도 받았고, 뜻깊은 화해를 할 수 있어서 다행이다 싶습니다. 아버지와 아들은 이 이후로 다시 만나지 못했다는게 슬프지만 그래도 다행입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책 증정] Beyond Bookclub 10기 <오늘도 뇌 마음대로 하는 중>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중간 참여할 수 있어요!
💊 여러분의 처방책이 필요합니다.
결혼하는 같은회사 직원에게 선물할 책을 추천해주세요.수험생이 시집이 읽고 싶대요. 스무살 청년에게 추천하고 싶은 시집을 추천해주세요.[책처방] 5. 개인과 국가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을 추천받고 싶어요.
독서모임에선 책만 읽는다? 댓츠 노노!
혹시 필사 좋아하세요?문학편식쟁이의 수학공부! 50일 수학(상) 함께 풀어요.스몰 색채 워크샵프리스타일 랩을 위한 북클럽 《운율,서재》
2월 8일(토) 달오름극장에서 만나요.
[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2월 26일(수), 함께 낭독해요 🎤
[그믐밤X그믐클래식] 32. 달밤에 낭독, <일리아스>
2월의 고전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이달의 고전] 2월 『제5도살장』 함께 읽어요[이달의 고전] 2월 『양철북』 함께 읽어요[그믐밤X그믐클래식] 32. 달밤에 낭독, <일리아스>
책도 벽돌, 독자들의 대화도 벽돌!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7. <노이즈>[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작품 말고 작가가 더 궁금할 때!
[그믐북클럽Xsam] 24. <작가란 무엇인가> 읽고 답해요[책증정] 페미니즘의 창시자, 프랑켄슈타인의 창조자 《메리와 메리》 함께 읽어요![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Re:Fresh] 4.『무라카미 하루키 잡문집』다시 읽어요.
illef의 깊이 읽기
AI 교과서(AIDT)우리가 운명이라고 불렀던 것들왕의 목을 친 남자 - 사형집행인 샤를 앙리 상송의 이야기
매달 만나는 젊은 작가의 달달한 로맨스 🧁
[북다] 《정원에 대하여(달달북다08)》 함께 읽어요! (+책 나눔 이벤트)[북다] 《어느 순간을 가리키자면(달달북다07)》 함께 읽어요! (1/23 라이브 채팅!)[북다] 《지나가는 것들(달달북다06)》 함께 읽어요! (책 나눔 이벤트)[북다] 《빛처럼 비지처럼(달달북다05)》 함께 읽어요! (+책 나눔 이벤트)[북다] 《횡단보도에서 수호천사를 만나 사랑에 빠진 이야기(달달북다04)》
📩 닫히지 않는 편지 가게 글월
편지가게 글월 / 백승연 지음 (2024 런던 국제 도서전 화제작)[책 증정] 텍스티와 함께 『편지 가게 글월』 함께 읽어요![편지 가게 글월] 서로 꿈을 이야기하며 안부를 전하는 글쓰기를 하고자 합니다.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SF 어렵지 않아요! 함께 읽는다면
[함께 읽는 SF소설] 03.키리냐가 - 마이크 레스닉[함께 읽는 SF소설] 02.민들레 와인 - 레이 브래드버리[함께 읽는 SF소설] 01.별을 위한 시간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