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평전> 함께 읽으실래요?

D-29
바흐가 음악의 아버지라면 비발디는 음악의 큰아버지겠네요? 헨델을 음악의 어머니라 하는 바람에 헨델이 여자인 줄 알았다는 사람도 많더라구요. 바흐와 헨뎰이 결혼해서 낳은 아기의 이름은? 이러면 '모차르트'라고 대답하는 사람도 많고요. 정답 : 음악! 썰렁하게 해서 죄송하구요.. '음악의 아버지' 호칭을 들은 사람은 조스캥 데 프레, 아돌프 하세 등 여러 사랑이 있어요. 당대의 가장 뛰어난 음악가에 대한 찬사죠. 바흐는 19세기 유럽 시민사회의 주류였던 기독교 신자들이 음악의 왕으로 복권시켜 놓았는데, '음악의 아버지'라고 불렀다는 기록을 저는 아직 못 뵜어요. 이릉 붙이기 잘 하는 일본인들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죠. 베토벤 교향곡 5번을 '운명'이라 부른 것도, 해마다 연말이면 베토벤 교향곡 9번을 연주하는 것도 일본인들이 만든 관행이라고 합니다.
아니... 작가님 썰렁 유머가 제 취향입니다. 그런데 베토벤 5번 교향곡을 그러면 다른 나라에서는 운명 교향곡이라고 부르지 않는 건가요? 영웅, 전원, 합창교향곡도 한국과 일본에서만 통용되는 별칭인 건가요?
유럽/미국에서는 베토벤 교향곡 5번 C단조 Op.67라고 부르죠. (물론 영어 독어 불어로.. 썰렁) 독일어로 'Schicksal'이라 부르는 걸 한번 본 적이 있는데 이건 일본 영향이 역류한 결과인 듯? 3번 <에로이카>, 6번 <전윈>은 그쪽에서도 그렇게 부르고요. 초연 당시 일화와 자필 악보에 근거가 있어요. <전원> 교향곡은 앙드레 지드 소설 제목이니 유럽에서 그렇게 부른다는 증거.^^ 9번은 4악장 합창의 실러 시 제목 'An die Freude'로 부르는 경우가 많고 간혹 'Choral'이라 부르기도 하죠. 베토벤이 의도적으로 붙인 제목은 아닌 듯요.
와. 감사합니다, 작가님. 40년 넘게 '5번 교향곡=운명'으로 알고 있었는데 한 대 맞은 느낌입니다. 번거롭게 하는 것 같아서 죄송하지만(게다가 모차르트 이야기도 아니지만), 혹시 베토벤 소나타를 월광, 비창, 열정이라고 부르는 것도 일본발 관습인가요? CD에 Moonlight, Passionate 등으로 적혀 있던 게 기억이 납니다만...
피아노소나타는 일본인 작명이 아닌 듯요. 월광은 원래 '환상곡풍의 소나타'라고 악보에 써 넣었는데 베토벤 사후 시인 루트비히 렐슈타프가 1악장에 대해 "달빛 내리는 루체른호에 배가 떠 있는 풍경이 떠오른다"고 한 뒤 달핓, 즉 월광이 됐다고.. 얼마전 임윤찬이 이 곡 연주한 뒤 "달빛을 떠올리며 연주하지는 않았다"고 했지요. 베토벤 소나타의 제목은 악보 출판업자가 악보 판매에 도움되라고 붙인 경우가 많은 듯.. 베토벤이 직접 제목을 붙인 건 8번 비창, 26번 고별, 이맇게 두 곡 뿐입니다. 베토벤 교향곡 5번을 운명이라 부르는 게 일본에서 유래했지만 꼭 틀렸다고 할 수는 없으니 너무 충격받지는 마시길..^^
삭제한 글
(1774년) 6월 4일 바순 협주곡 K.191 을 유튜브에서 들었습니다. 바순 협주곡은 처음 들었습니다. 오케스트라에서 저음을 받쳐주는 악기로만 알았는데, 바순이 주인공으로 내는 소리를 들으니 참 좋습니다. "두 눈에 눈물이 고여 있는데, 입가에는 미소를 짓고 있는 듯한" 느낌의 피아노 협주곡 k.271도 너무 좋습니다. 좋은 음악 듣게 계기를 주신 작가님께 정말 감사 드립니다. 한 가지 정말 기본적이고, 어떻게 생각하면 무식한 질문 하나만 용기를 내서 드릴게요. 음악에서 장조, 단조란 과연 무엇인지요? 단조는 좀 처지고 우울하고 고요하고, 장조는 기쁘고 활발하고 그렇다는데 저는 음악을 들을 때 어느게 장조이고 어떤게 단조인지 구분이 잘 안되기도 하고, 구분하려고 애 쓰지도 않아서요. k.191도 Bb라는데 음악 감상하는 데 어떤 장점과 맥락이 있을까요?
바순은 익살스런 느낌도 있지만 모차르트에서는가슴 속에 흘러내리는 눈물 같은 이미지도 있어요. 피아노협주곡 23번의 아다지오, 그리고 <마술피리> 파미나의 아리아에 나오는 바순 소리를 잘 들어보시면 느낄 수 있으실 듯? K.488 https://youtu.be/j8e0fBlvEMQ?si=LbK057arBoMKdsds 마술피리 K.620 파미나 https://youtu.be/wmwzNiYYUE4?si=_TU1hhMaLqIZpVxA 르네상스 시대 이전에는 조성이 아니라 선법을 사용, 바로크 시대에 조성체계 확립.. 장조와 단조는 일본식 조어, 길고잛은 것과는 관계가 없는데 말이죠. 유럽 말로는 밝은 major와 어두운 minor죠. 천재 작곡가들은 특정 조성에 특정한 정서른 연결시키기도 하고- 가령 모차르트는 가장 진실된 마음을. 표현할 때 G단조를 즐겨 쓴 반면 버토벤은 C단조가 트레이드 마크 - 악기의 특성을 살리기 편리한 조성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죠. 우리 일반 음악애호가들은 그럴 필요 없이 그냥 들으면 될 듯요. 상대음감인 제 경우창단도는 구분하지만 이게ㅈ무슨 장조인지, 무슨 단조인지는 잘 몰라요. 하지만 음악 듣고 느끼는 데는 아무 지장이 없지요. 이건 음악가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절대음감=음악재능, 요런 등식은 성릾나지 않아요. 상대음감이 음악성의 처도입니다. 절대음감은 음높이(pitch)에 대한 기억력인데, 요게 생존에 필수가 아니니 살다보면 거의 다 퇴화해서 없어지는 거죠.
고맙습니다. 가슴 속에 흘러내리는 눈물 같은 바순 소리에 귀울여가며 두 영상을 들었습니다. 눈물을 100% 느끼지는 못했지만 너무 좋습니다.
네, 이것도.. <마술피리> 중 밤의여왕 1막 아리아, 딸을 빼앗긴 어머니의 아픔을 노래. 02:00부터 바순 소리. .. https://youtu.be/ov1hRqPnm58?si=2FM7qg-ZASm1nJX-
감사합니다. 소프라노 가수가 밤의 여왕 잘 한다는 그 분이네요
독일의 Diana Damrau죠. 내친 김에 유명한 2막 아리아도.. https://youtu.be/9HEjAkFBBz0?si=_9pyfolpz1U25lhF
오. 저는 이 책 읽다가 모차르트가 사용한 조성에 관심이 생겨서 작가님이 예전에 방송하신 <모차르트의 G단조, D단조, C단조> 제하 팟캐스트 에피소드를 찾아들었는데요, 같은 단조라도 간곡하고 내밀한 슬픔, 공포, 절망 등 색깔이 다양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그걸 참 효과적으로 사용했구나 생각이들었어요. 앞으로는 조성도 눈여겨보게 될 것 같아요. https://podbbang.page.link/EFB6ueNtzR9icYvLA
바순 - 가슴 속으로 흘러내리는 눈물 - 얘기할 때 인용한 마술피리 파미나 아리아(어머니와 왕자에게 버림받은 슬픔 노래 - 밤의여왕 1막 아리아 - 딸을 빼앗긴 어머니의 아픔을 노래 - 둘 다 G단조네요.^^ 파미나 https://youtu.be/jIVdOiyGgo4?si=hC29OVBUAvs5zcZi 밤의여왕 https://youtu.be/ov1hRqPnm58?si=2uBjZyhiftoFWEUN
잘츠부르크의 반항아 편을 보며, 모차르트 음악에 집중하며 보게 된것 같아요. 소개해주신 음악들을 찾아보며 천천히 읽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편에 소개된 음악들이 어린 모차르트의 음악들보다 더 맘에 들어요. 특히 교향곡 g단조 k183 은 듣고 또 듣게 되는 듯합니다. 올려주신 유투브 piano concerto no.23:adagio 도 너무 좋았네요. 바순소리에 집중하며 음악을 들으니 다른느낌이에요.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음악을 함께 들어서 그런지 천재의 순탄하지 못한 삶이 안타깝게 느껴지네요.
모차르트의 이 g단조 교향곡은 막 사춘기를 통과하고 있던 모차르트의 반항심리 자유를 추구하는 시대정신과 만나서 빚어낸 절규가 아닐까?
모차르트 평전 - 음악, 사랑, 자유에 바치다 p169, 이채훈 지음
6장 p.229 알로이지아를 사귀는 것을 반대하는게 아니라, 제발 정신 좀 차리라는 메세지였다고 설명했다. 레오폴트가 아들과 아내만 파리로 보내며 얼마나 안절부절하고 속이 탔을까요? 모차르트가 든든하게 잘 해주면 좋았을껄 … 하는 맘이 생기네요. 레오폴트가 실망과 분노를 다스리며 모차르트를 우쭈쭈 해서 어쨌든 잘해라 하고 독려하는 모습이 너무 잘 느껴졌습니다. 뮌헨이며 만하임이며 파리며 가는곳마다 천재 음악가의 대우라기엔 아쉽네요. 어머니의 죽음까지…. 아버지의 존재여부가 크게 느껴지는 장이었습니다.
모차르트는 표정과 느낌이 살아있는 연주를 위해서는 '쉼표'를 잘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쉼표에는 음표보다 더 많은 느낌과 뉘앙스가 들어 있다"
모차르트 평전 - 음악, 사랑, 자유에 바치다 p.201~202, 이채훈 지음
오페라의 등장인물 처럼 구체적인 성격을 갖는 경우가 많은데, 이 점이 그의 음악을 바흐 음악과 구별하는 결정적 차이다.
모차르트 평전 - 음악, 사랑, 자유에 바치다 p.208, 이채훈 지음
주제가 오페라 등장인물처럼 표정 변하고 장난치듯 움직이는 사례는 많은데 피아노협주곡 25번 C장조의 3악장은 좋은 예.. 3:40에서는 오페라 장면전환 같은 대목도 나와요.^^ https://youtu.be/k79_OFRxRKc?si=HnQbRD6ZNvPqN-Ca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책 증정] Beyond Bookclub 10기 <오늘도 뇌 마음대로 하는 중>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중간 참여할 수 있어요!
💊 여러분의 처방책이 필요합니다.
결혼하는 같은회사 직원에게 선물할 책을 추천해주세요.수험생이 시집이 읽고 싶대요. 스무살 청년에게 추천하고 싶은 시집을 추천해주세요.[책처방] 5. 개인과 국가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을 추천받고 싶어요.
독서모임에선 책만 읽는다? 댓츠 노노!
혹시 필사 좋아하세요?문학편식쟁이의 수학공부! 50일 수학(상) 함께 풀어요.스몰 색채 워크샵프리스타일 랩을 위한 북클럽 《운율,서재》
2월 8일(토) 달오름극장에서 만나요.
[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2월 26일(수), 함께 낭독해요 🎤
[그믐밤X그믐클래식] 32. 달밤에 낭독, <일리아스>
2월의 고전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이달의 고전] 2월 『제5도살장』 함께 읽어요[이달의 고전] 2월 『양철북』 함께 읽어요[그믐밤X그믐클래식] 32. 달밤에 낭독, <일리아스>
책도 벽돌, 독자들의 대화도 벽돌!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7. <노이즈>[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작품 말고 작가가 더 궁금할 때!
[그믐북클럽Xsam] 24. <작가란 무엇인가> 읽고 답해요[책증정] 페미니즘의 창시자, 프랑켄슈타인의 창조자 《메리와 메리》 함께 읽어요![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Re:Fresh] 4.『무라카미 하루키 잡문집』다시 읽어요.
illef의 깊이 읽기
AI 교과서(AIDT)우리가 운명이라고 불렀던 것들왕의 목을 친 남자 - 사형집행인 샤를 앙리 상송의 이야기
매달 만나는 젊은 작가의 달달한 로맨스 🧁
[북다] 《정원에 대하여(달달북다08)》 함께 읽어요! (+책 나눔 이벤트)[북다] 《어느 순간을 가리키자면(달달북다07)》 함께 읽어요! (1/23 라이브 채팅!)[북다] 《지나가는 것들(달달북다06)》 함께 읽어요! (책 나눔 이벤트)[북다] 《빛처럼 비지처럼(달달북다05)》 함께 읽어요! (+책 나눔 이벤트)[북다] 《횡단보도에서 수호천사를 만나 사랑에 빠진 이야기(달달북다04)》
📩 닫히지 않는 편지 가게 글월
편지가게 글월 / 백승연 지음 (2024 런던 국제 도서전 화제작)[책 증정] 텍스티와 함께 『편지 가게 글월』 함께 읽어요![편지 가게 글월] 서로 꿈을 이야기하며 안부를 전하는 글쓰기를 하고자 합니다.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SF 어렵지 않아요! 함께 읽는다면
[함께 읽는 SF소설] 03.키리냐가 - 마이크 레스닉[함께 읽는 SF소설] 02.민들레 와인 - 레이 브래드버리[함께 읽는 SF소설] 01.별을 위한 시간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