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단어를 바꿔 ‘인문학의 효용은 무엇인가’ 하고 물으면 인문학 전공자조차 말을 더듬게 되는 게 현실입니다. 제 답변은, 인문학은 우리에게 분별력을 준다는 겁니다. ‘내게 무엇이 이익인가’ 혹은 ‘나는 무엇을 좋아하는가’ 같은 질문을 풀 때도 분별력은 필요합니다. ‘나는 어디에 있는가’,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옳은가’와 같은 질문을 풀 때에는 훨씬 더 큰 분별력이 필요합니다.
[보성고] 『산 자들』 작가와의 만남
D-29
장맥주
장맥주
분별력은 정답이 없는 분야의 모호한 능력이라서 객관식 문제풀 이로 전수하기 어렵습니다. 한편으로는 현대 사회가 점점 ‘내게 무엇이 이익인가’, ‘나는 무엇을 좋아하는가’와 같은 수준의 질문에 매몰되면서 집단적으로 분별력을 잃어간다는 느낌도 받습니다. 하지만 저는 사람이 제대로 살아가는 데 분별력은 꼭 필요한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던지는 질문들이 그런 면에서 조금 자극이 되면 좋겠네요.
장맥주
오늘은 「대외활동의 신」을 읽는 날이네요. 「현수동 빵집 삼국지」를 이야기할 때 자기착취라는 용어가 나왔는데, 이번 단편 주인공에게도 같은 말을 쓸 수 있을까요. 어쨌거나 신은 자신의 운명을 더 낫게 만들려고 치열하게 노력했고 결국 꿈꾸던 바를 이루었는데, 그걸로 족한 것 아닐까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장맥주
보성고 학생들께 질문 (13) 신은 대학 졸업 뒤 위축된 마음의 돌파구를 국토대장정에서 찾습니다. 인생의 전환점에서 여행을 떠나거나 유명한 순례 길을 걷는 사람도 흔합니다. 여러분은 괴로울 때 남몰래 매달리는 일이 있으신가요? 혹은 지금은 여건이 되지 못하지만 나중에 힘든 시기가 오면 여러분께 위로가 될 것 같은, 하지만 다른 사람은 잘 이해하지 못할 것 같은 일이 있으신가요?
정이십면체
저는 괴로울 때마다 가보지 못한 여러 지역들을 선정하고 사다리 타기로 정해 그곳에 가보곤 합니다. 일상에서의 괴로움은 반복되는 삶과 대입이라는 심적 부담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곳에 가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장소에 가게 되면 세상이 넓다는 것이 느껴지며 일상의 족쇄가 풀리고 자유로운 삶을 살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대한민국 안에서 어느정도 겉으로 보이는 거리는 비슷하겠지만, 같은 용도의 건물라도 다양한 디자인과 배치, 다양한 사람들을 보면 정신적 고통이 해소되는 것 같습니다.
스프라이트
요즈음 괴로울 때 제가 하는 일은 노래 듣기입니다. 기존에 안듣던 새로운 숨은 띵곡을 찾는 과정이 재밌고 음악을 듣고 있으면 마음이 조금이나마 나아집니다. 지금은 여건 상 못하지만, 나중에는 수능이 끝나면 바로 클래식 기타랑 일렉 기타를 사서 배우고 기타 치는 일로 스트레스를 날리고 싶습니다
가나다라
저는 힘들때 속으로 묵혀두면 괴로움이 사라집니다. 그래서 힘든 일도 다 지나갈 것이라고 믿고 살아갑니다.
추억
저는 힘든일이 있을때 자기전 불을 끄고 누워서 힘든 일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곤 합니다. 보통 잠들기 전 어느새 별거 아닌 일이 되어 있을 때가 많아서 좋아요
다미스럽다밍
저는 아직 남몰래 매달려 본 일은 없지만 뭔가 고민되거나 생각해야 할 일이 있을 때는 그냥 멍을 때립니다. 남들이 볼 때는 어딘가에 집중하고 있거나 뭔가를 보고 있는 것처럼 보일 테지만 주로 멍 때리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멍 때리면서 동시에 아무 것도 안하는 거 그럴 때가 위로가 되는 거 같습니다.
제로콜라
저는 친구들과 땀흘리며 운동하며 잡념이나 힘든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열정과 활력을 얻는 것 같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장맥주
보성고 학생들께 질문 (14) 많은 면접관들이 “요즘 젊은이들은 말하는 내용이 다 똑같다, 다 모범답안을 외워 온 것 같다”며 불평합니다. 여러분은 그런 지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면접관 관점에서는 일리 있는 비판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여러분은 대입 면접에 대비해 모범답안을 준비하시나요? 모범답안은 다 똑같아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파송송홍고추타악스팸부대찌개
모범답안은 말 그대로 제시된 질문에서 가장 손해따위를 덜 볼 수 있는 답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손해를 가장 보지 않는 방법을 선택하고자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과연 그것이 나쁜것 것일까요? 자신이 준비한 모든 것을 쏟아낼 마지막 관문의 문턱에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뽑낼 불안정하지만 창의적인 답변과 좋은 선례가 많고 위험하지 않은 안전한 답변 중 어느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어쩌면 이 질문의 답은 청년 고용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갈수록 떨어지는 그 수치가 청년들을 벼랑 끝으로 내몬 것일 수도 있습니다 벼랑 끝에서 위험을 선택할까요? 혹은 안전을 선택할까요?
정이십면체
여러 면접관들이 비슷한 모범답안들에 대해 비판하는 것이 일리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비판점의 근본 원인은 자신들에게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고 봅니다. 많은 사람들은 면접에서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 전의 합격자들의 사례를 보고 답안의 틀을 맞추곤 합니다.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면접관들은 비슷한 모범답안들에 대해 불평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지금까지 면접관들이 모범 답안으로 답한 사람들만 뽑았기 때문입니다. 면접관들은 면접 보는 사람들에게 모범 답안이 정해져있지 않고 각자의 개성이 드러날 수 있는 질문 하는 것을 지향해야 합니다.
스프라이트
면접관 관점에선 충분히 일리 있는 비판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이 모범 답안을 스스로 생각해냈을까요? 아니죠, 이미 누군가가 만들어놓은 답변을 그냥 따라하는 것에 불과할 것입니다. 면접관은 모범 답안을 싫어하는게 아니라, 타율적인 답안을 싫어하는 것이겠죠. 즉, 면접관은 학생이 얼마나 자신의 소신, 가치관에 입각해서 주체적으로 답변을 하는 지를 평가하고자 할 것 같습니다
홀란스럽다
저는 면접관 입장에서 일리 있는 비판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면접관 입장에서는 선택하기 어려워지기 떄문입니다. 만약 제가 대학 면접을 본다면 저는 모범답안을 준비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면접관은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모범 답안들을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모범 답안이 아닌, 나만의 개성있는 답을 하는 것이 면접관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가나다라
모범답안을 외워오는것에 면접관이 비판하는것은 일리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원자들이 창의적으로 대답해야 하는 만큼 면접관들도 창의적인 질문을 해야할것 같습니다.
나기사
저는 보통 모범 답안은 준비하지 않습니다. 비록 모범답안이 합격하기 가장 좋은 방안이라고는 하지만 사실 남의 답을 배껴오는 것이나 다름이 없고, 면접관의 말처럼 그것이 오히려 마이너스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죠. 무엇보다 면접에서 제 생각이 아닌 다른 사람의 생각을 말하 는 것은 제 개성을 피력하지 못하는 것이기에 전 개인적으로 싫더라고요.
ksy1213
모범 답안은 면접자들이 가장 최소한의 피해를 받으 며 자신의 능력을 어필 할 수 있는 답변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모법 답안보다는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며 면접관들에게 자신의 능력을 어필하는 것이 더 좋지만 만약 실수라도 한다면 모범 답안을 외워서 말하는 것보다 못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또한 면접관들이 면접자들과 입장을 바꿔서 생각을 한다면 면접관들도 면접을 보게된다면 대부분은 모범 답안과 비슷한 답변을 할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따라서 모범 답안을 외워서 답변하는 것은 비판을 받을 만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제로콜라
일리있는 지적입니다. 스프라이트님께서 말씀하셨듯, 면접관들은 인터뷰이의 타율적이고 수동적인 답변을 싫어할 것이고, 스스로의 줏대의 답변을 좋아한다는 맥락에선 충분히 가능한 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파송송홍고추타악스팸부대찌개
저는 저 혼자만의 괴로운 일이 있을 때 혼자 껴앉고 도피를 합니다 도피라고 해봤자 집에서 아무 연락 받지 않으며 혼자 만의 시간을 보내는 것입니다 만약 여건이 된다면, 그리고 힘든 시련이 찾아온다면 저는 홀로 자연 속에 있는 오두막으로 가서 외부와의 모든 연락을 차단한 채 여유있는 시간을 보내고 싶습니다 물론 사람마다 시련을 견뎌내는 방법이 다양하니 저의 방법이 이해가 가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수시간동안 털어놓아야 마음이 편해지는 사람들은 저를 이해할 수는 없을 것같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