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아우스터리츠』에 이어 에세이 『공중전과 문학』을 읽습니다.
※ 한 권을 세 시기로 나눠서 읽습니다. 9일씩 총 27일간 진행할게요. 내용이 가볍진 않습니다.
※ 한 시기 넘어갈 때마다 게으를 수 있도록 하루 텀을 두겠습니다.
※ 한 시기가 끝나면 간략히 [#소감] 말머리를 달고 제 짧은 감상을 남기겠습니다.
-1차 시기: 10/07-10/15
-2차 시기: 10/17-10/25
-3차 시기: 10/27-11/04
안 읽고 얘기하셔도 좋고 아는 척 하셔도 좋고 생판 딴 얘기해도 좋습니다.
독서와 장기와 체스와 뒷담은 원래 훈수 두는 맛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참여 인원과 관계없이 10/7에 시작합니다:)
(2) [제발트 읽기] 『공중전과 문학』 같이 읽어요
D-29
russist모임지기의 말
화제로 지정된 대화
russist
[#1차 시기 시작~]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게오르그 제발트의 『공중전과 문학』을 읽습니다.
저는 금요일 오후인 오늘, 일찌감치 회사 일을 마무리하고 책을 펼쳤습니다. 각자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식으로 책을 펼치시길 바랄게요. 7쪽부터 머릿말에서 "질서 강박적인 우리"에 관한 인상적인 한 대목을 인용하면서 1차 시기 열겠습니다.
책이 끝날 즈음에는 각자 뭔가를 가지고 돌아가셨으면 좋겠네요:)
russist
편지의 상당수는 어딘지 기우뚱한 성격을 띠고 있었다. 그렇지만 집으로 배달된 다양한 문서와 편지에서 나타난 바로 그 미흡함과 갑갑함에서, 수백만 명이 전쟁 막바지에 겪었던 그 유례없는 민족적 굴욕의 경험이 결코 발화된 적도 당사자들끼리 공유된 적도 없으며, 후세대들에게 전해진 적도 없다는 것을 읽어낼 수 있었다. 장대한 독일 전쟁・전후 서사시가 오늘날까지도 쓰인 적 없다는 거듭된 한탄은, 질서 강박적인 우리의 정신에서 생겨난 절대적 우유성의 폭력 앞에서 우리가 좌절한 (어떤 점에서는 전적으로 이해할 만한) 것과 연관이 있다.
⏤본문 8-9쪽.
로즈마리
예전 독일을 여행하고 쓴 에세이에서 기차내에서 보였던 동양여자를 쳐다보던 독일할머니에 대한
작가가 느낀 소감의 내용이 문듯 생각났어요
자부심이라고 할 수도 없고 민족적 우월성??,,...
"절대적 우유성" 이라는 단어가 어울릴까요
russist
어떤 에세이일까요? 제발트인가요? 궁금하네요. 인용문은 전후 독일의 질서강박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쓰여진 것 같습니다. 우유성은 일상 대화에서는 잘 나오지 않는 철학 개념이라고 하네요. 참고 자료가 있어서 알려드립니다.
"사물이 지닌 성질에는 그 성질이 없어지면 사물 자체도 스스로의 존재를 잃어버리는 것과, 어떤 성질을 제거하여도 그 사물의 존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있다. 후자의 성질을 가리켜 우유성(Accident, 偶有性) 또는 우성(偶性)이라고 한다. 즉 비본질적인 성질을 가리키는 말이다. 역사적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사용한 개념으로서, 중세의 스콜라 철학을 거쳐, 17~18세기에도 사용되었다."⏤네이버 철학 지식백과
로즈마리
김형경 작가의 "사람풍경"이었던것 같아요
우유성이 제가 생각했던 우유성이 아닌것도 같고요
공중전과 문학을 중간정도 읽다가 이해가 잘 안되기도 하고 잘못읽고있나 싶기도 해서
처음부터 다시 읽고 있네요
조금 천천히 읽어보려고 하네요
russist
김형경 작가였군요. 예전에 심리 에세이인 좋은 이별을 읽은 적이 있어서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그것도 한번 읽어봐야겠군요.
저도 우유성이라는 단어를 여기서 처음 접했어요. 실체 속에 내재된 성질을 의미하며 무게, 모양, 색깔, 소리, 맛 따위를 일컫는다고 하네요. 예컨대 소크라테스가 햇볕 아래서 몇 시간을 보낸 후에 얼굴이 그을렸다면 이 자체는 우연적인 변화인데, 이때 실체가 소크라테스라면 얼굴의 창백함이나 그을림의 정도를 우유성이라고 구분했다고 하네요. 본질적인 것을 의미하는 실체의 반대 개념으로 제시되며 우연적인 속성을 지칭하기 위한 철학 개념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혹 틀렸다면 누구라도 언제든 알려주세요.
로즈마리님 덕분에 저도 꼼꼼히 여러 번 읽고 있습니다. 잘 이해가 안 되긴 저도 매한가지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esra
머리말
우리는 시선을 뒤로 향할 때, 특히 1930년에서 1950년 사이의 시기로 향할 때면 항상 시선을 던지는 동시에 거두어들인다.
자신들이 보았던 것을 기록하고 그것을 우리 기억 속에 짜넣어두는 데 한 세대의 독일 작가 전체가 그토록 무능했던 가장 주요한 원인은 후세에 남길 자기 이미지를 미화하는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집착했기 때문이다.
[단상]
패배와 굴욕의 경험을 공유하고 후세에 전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가 후세에 남길 자기 이미지의 미화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전쟁 직후 현실을 직시하는데는 시간이 필요했을 수도 있겠지요.
시선을 던지는 동시에 거두어들인다. 그 동시성이 눈 앞에 암막을 드리웁니다.
1997년 대학 강연에서 이야기한 내용을 1999년 출간했다고 하니, 이 문제 제기를 하는데도 시간이 많이 걸렸군요.
처음 글을 써봅니다. <이민자들> 이후 다시 제발트의 글을 읽어보는군요.
조금씩 읽으면서 밑줄과 단상을 공유해보겠습니다.
russ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