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에 대한 내 단상
글은 결국 자기를 위해 쓰는 것이다.
좀 극단적으로 말해 자기를 변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 자기를 실현하기 위해 쓰는 것 같다.
그러면서 행복을, 거기서 찾고 즐기기 위해 쓰는 것 같다.
그 누군가를 위해 쓰기도 하는 것 같다.
그 사람이 단 한 사람일 수도 있고 아예 없다가
우연히 다른 누군가가 내 책을 접해 읽고 뭔가
얻으면 좋을 뿐이다.
나는 내 기쁨을 위해 글을 쓴 것이니
그런 사람이-하나도 없어도 괜찮지는 솔직히 않지만-
하나라도 있으면 그것으로 만족하며 오늘도 끼적인다.
나도 우연히 나에게 맞는 작가를 만나
그의 글을 읽게 됐고 그에게 좋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만은
말하면서 나도 뭔가 희미한 희망을 하고 싶다.
속에 있는 울분과 응어리를 겉으로 드러내
자기 치유를 위해 쓰는 것 같기도 하다.
그리고 글을 통해 자기도 모르던 자기 무의식을
끄집어내고 그것을 언어로 표상화하고
그 과정에 자연 치유가 되는 것 같다.
글은 그걸 통해 주체적으로 살게 하는 동시에
자기를 상대화해서 자기를 객관적으로 보게 해주는
역할도 하는 것 같다.
이건 자기를 아집에 빠지게 하는 걸 방지하고
늘 겸손한 자세로 세상을 보는 눈을 길러주는 것 같기도 하다.
뭐든 그렇지만 너무 글에만 치우치면
누가 그걸 비판이라도 하면 죽여버릴 듯이 덤빈다.
그걸 방지하기 위해서도 단단히 마음을 잡고 있어야 한다.
내 글에 대해 충분히 비판받을 수 있고
내가 준 글을 아예 읽지도 않고 쓰레기통으로
던지는 사람도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이것도 감안해서 나를 위해 쓰는 것이므로 감수하고
견뎌야 하고 그것으로 또 글을 쓰며 나를 정화하고
글로 인한 고통으로부터 나는 충분히 단련되어야 한다.
이걸 보면 역시 글은 자기 자신을 위해,
이 세상을 더 잘 견디고 살아가기 위해 쓰는 것 같다.
나는 이대로 글 쓰는 게 좋다.
유명하지 않은 선에서 글을 쓰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선 자기가 쓰고 싶은 것만 쓸 수 있다.
의무적으로 뭔가 자기 검열 같은 게 끼어들면
의무로 억지로 쓰게 되는 글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나는 그런 단계까진 역시 안 가겠지만 그래도
운이 좋아서도 안 갔으면 한다.
그렇게 되면 내가 전에 안 좋은 말을 했던 것을
어느 계층에선 상처로 끄집어내서 나를 공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나는 글 외에 다른 거로 괴롭힘을 당하기 싫다.
나는 그저 글을 쓰고 싶을 뿐이다.
나는 그냥 책만 읽고 글을 내 맘대로 쓰고 싶은 걸
쓰고 싶을 뿐이다.
내가 좋아하는 글을 쓰면서도 괴로워 머리털을 쥐어뜯고
싶지 않다.
나는 글을 쓰기 위해 글을 쓰는 것이다.
글 쓰는 그 자체가 목적이랄 수 있다.
글을 쓰며 그 속에서 즐겁고 행복하면 그만이다.
애초 내가 원하던 게 그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글을 통해 자아를 실현하는 거고
내가 증명되는 것 같고
진정으로 살아 있음을 느낀다.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D-29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