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한다는 착각>의 책 처음은 ‘안나 카레니나는 왜 달리는 기차에 몸을 던졌을까‘ 이다. 책을 읽으면 안나의 그 마음을 알 수 있을까?
책속의 책, 집에 있던 책
D-29
Jh모임지기의 말
Jh
“ 안나는 정확히 어떤 유의 인간인가? 안나와 대화를 나누면 어떻게 느껴질까? 러시아 국가와 불평등에 대해 어떻게 보고 있을까? 안나는 브론스키와 불륜관계를 맺으면서 받은 치욕에 저항함과 동시에 무너져 내렸는가? ”
『생각한다는 착각 - 뇌과학과 인지심리학으로 풀어낸 마음의 재해석』 p38, 닉 채터 지음, 김문주 옮김
생각한다는 착각 - 뇌과학과 인지심리학으로 풀어낸 마음의 재해석우리가 수백 년간 품어온 선입견에 대담하게 도전하며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 완전히 새로운 지평을 제시한다. 자신의 꼬인 마음을 해결하려 애쓰는 대신 삶을 알아가는 창조적인 프로젝트에 더 집중해야 한다.
책장 바로가기
문장모음 보기
Jh
톨스토이 소설의 경이로움은 이러한 질물들에 답하지 않으면서, 감질나게 매혹적으로 열려 있다는 것이다
『생각한다는 착각 - 뇌과학과 인지심리학으로 풀어낸 마음의 재해석』 p38, 닉 채터 지음, 김문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Jh
“ 우리는 안나를 여러방식으로 읽는다. 안나는 다양한 강도와 조합을 통해 비장하거나, 강박적이거나, 낭만적이거나, 반항적이거나, 거칠거나, 억압당하거나, 사랑스럽거나, 냉정한 여자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개방성은 당연하게도 신체적이든 정신적이든 간에 안나의 특성이 소설 본문에 의해 정해져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
『생각한다는 착각 - 뇌과학과 인지심리학으로 풀어낸 마음의 재해석』 p38, 닉 채터 지음, 김문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Jh
“ 안나는 모스크바 변두리 역을 지나는 기차에 몸은 던진다. 하지만 주인공은 정말로 죽고 싶었을까?…러시아 귀족의 삶이 주는 권태로움과 애인 브론스키를 잃게 되리라는 두려움을 죽음만이 유일한 탈출구로 여길 정도로 견딜 수 없었을까? 아니면 마지막 행동은 단순한 변덕이자 과장된 행위일 뿐,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이러한 일을 한 것은 아닐까? ”
『생각한다는 착각 - 뇌과학과 인지심리학으로 풀어낸 마음의 재해석』 p9, 닉 채터 지음, 김문주 옮김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